목차 일부
머리말 왜 철학사인가? ... 3
제1장 철학은 삶에 대한 사랑 ... 17
1. 인간은 신과 동물의 중간자 ... 17
2. 완전에의 욕구 ... 19
제2장 놀람은 철학의 시작 ... 22
1. 너 자신을 알라 ... 23
2. 반어법과 조산술 ... 24
3.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이 ... 25
제3장 최초의 철학적 질문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왜 철학사인가? ... 3
제1장 철학은 삶에 대한 사랑 ... 17
1. 인간은 신과 동물의 중간자 ... 17
2. 완전에의 욕구 ... 19
제2장 놀람은 철학의 시작 ... 22
1. 너 자신을 알라 ... 23
2. 반어법과 조산술 ... 24
3.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이 ... 25
제3장 최초의 철학적 질문 ... 27
1. 탈레스의 아르케 ... 27
2. 신화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 ... 28
3. 아낙시만드로스의 무한자 ... 29
4. 아낙시매네스의 공기 ... 30
제4장 철학은 관점 세우기 ... 32
1. 헤라클레이토스의 동적 세계관 ... 33
2. 파르메니데스의 정적 세계관 ... 34
3. 제논의 역설 ... 35
제5장 철학은 어떻게 변해 왔나 ... 37
1. 철학은 만학의 여왕 ... 38
2. 철학은 신학의 시녀 ... 39
3. 철학은 정신과학 ... 40
4. 철학은 이론이 아니라 활동 ... 41
1) 형이상학의 문제점 ... 42
2) 과학과 검증성 ... 43
3) 논리실증주의와 검증원리 ... 44
제6장 소크라테스의 최후 ... 46
1. 조산술로서의 반어법 ... 46
2.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 47
3. 소크라테스의 『변명』 ... 48
4. 『크리톤』:악법도 법이다 ... 49
5. 『파이돈』:영혼의 불멸 ... 50
제7장 플라톤 : 정의란 무엇인가 ... 52
1. 정의의 여신 디케 ... 52
2. 정의는 공정한 것 ... 53
3. 정의는 힘이다 ... 54
4. 정의는 제 몫을 다 하는 것 ... 56
1) 인간의 세 기능 ... 57
2) 국가의 세 계급 ... 57
3) 철인군주설 ... 58
제8장 플라톤 : 영혼이란 무엇인가 ... 61
1. 육체와 영혼 ... 62
2. 올페우스교의 영혼관 ... 63
3. 영혼의 기능 ... 64
4. 영혼은 왜 불멸인가 ... 66
1) 영혼 삼분설 ... 66
2) 영혼과 육체의 이원론 ... 67
3) 영혼불멸의 논증 ... 69
제9장 플라톤 : '이데아'란 무엇인가 ... 71
1. 소피스트의 상대주의 ... 71
2. 이데아론의 출발 ... 72
3. 감상적 세계와 이성적 세계 ... 73
4. 이데아의 성질 ... 74
5. 이데아의 계층 ... 75
6. 이데아의 인식 : 상기설 ... 76
7. 이데아론에 대한 비판 ... 77
8. 이데아와 본질주의 ... 78
제10장 플라톤 : 사랑이란 무엇인가 ... 81
1. 사랑이란 개념 ... 81
2. 『향연』의 주제 ... 82
3. 에로스는 조화의 원리 ... 83
4. 에로스는 완전에의 욕구 ... 83
5. 에로스는 중간자 ... 85
6. 정신적 사랑 ... 87
제11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예술론 ... 90
1. 플란톤 : 예술은 이중의 모방 ... 90
2. 아리스토텔레스 : 예술은 이상의 모방 ... 91
3. 비극의 효과 : 감정의 정화 ... 92
제12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 95
1. 아리스토텔레스와 알렉산더 ... 95
2. 행복이 최고의 목적 ... 97
3. 행복의 두 입장 ... 97
4. 행복은 중용에서 ... 98
5. 중용의 기준과 식견 ... 99
제13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 101
1. '형이상학'이라는 말 ... 101
2. 형이상학의 과제 ... 102
3. 본질은 개물 속에 내재한다 ... 104
4. 질료와 형상 ... 104
5. 운동의 4원인 ... 105
6. 질료와 형상의 관계 ... 106
7. 존재의 계열 ... 107
8. 부동의 동자 ... 108
제14장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시대 ... 110
1. 자연철학의 시대 ... 110
2. 아테네시대의 철학 ... 110
3.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철학 ... 113
제15장 처세훈으로서의 철학 ... 116
1. 키니코스학파 : 무소유의 행복 ... 117
2. 에피크로스학파 : 쾌락의 역설 ... 118
3. 스토아학파 : 부동심 ... 120
4. 회의학과 : 판단중지 ... 122
5. 신플라톤주의 ... 123
제16장 플로티노스 : 유출과 망아 ... 125
1. 철인 플로티노스 ... 125
2. 일자에서의 유출 : 형이상학 ... 126
3. 일자로의 합일 : 신비주의 ... 129
제17장 중세의 사회와 종교 ... 131
1. 중세의 시작 ... 131
2. 봉건사회의 특성 ... 132
3. 중세의 붕괴 ... 135
제18장 기독교는 어떤 종교인가 ... 136
1. 인식에 대한 신앙의 우위 ... 136
2. 아가페로서의 사랑 ... 137
3. 신중심의 종교 ... 138
4. 중세철학 :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 ... 139
제19장 성 아우구스티누스 ... 141
1. 신의 특성 ... 143
2. 신의 창조 ... 144
3. 악의 문제 ... 145
4. 은총의 주체는 신 ... 147
5. 신의 나라와 땅의 나라 ... 148
6. 역사의 의미 ... 149
제20장 왜 보편자 논쟁인가 ... 151
1. 보편자와 개별자 ... 151
2. 보편자로서의 '이데아' ... 152
3. 보편자 논쟁 ... 155
4. 실념론자의 주장 ... 156
5. 유명론자의 입장 ... 157
6. 기욤과 아벨라르두스의 논쟁 ... 158
7. 보편자의 중요성 ... 160
제21장 성 토마스 아퀴나스 ... 162
1. 철학과 신학의 구별 ... 163
2. 존재의 계열 ... 164
3. 신 인식의 방법 ... 166
4. 신의 본성 ... 168
5. 신의 창조 ... 168
6. 악의 문제 ... 169
7. 초월적 윤리설 ... 170
제22장 신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 173
1. 신에 대한 세 가지 증명 ... 173
2. 신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 ... 175
3. 비판과 반론 ... 175
제23장 신은 이렇게 존재한다 ... 178
1. 운동으로부터의 증명 ... 178
2. 동력인으로부터의 증명 ... 179
3. 우연적 존재로부터의 증명 ... 180
4. 완전성의 정도로부터의 증명 ... 180
5. 우주의 질서로부터의 증명 ... 181
제24장 근대의 서곡들 ... 183
1. 근대의 특징들 ... 184
2. 르네상스에 대한 두 견해 ... 185
3. 르네상스 : 자연과 인간의 발견 ... 187
4. 종교개혁 : 믿음과 은총이 구원의 길 ... 189
5. 자연과학 : 자연의 노예에서 자연의 주인으로 ... 191
1) 코페르니쿠스의 천동설 ... 193
2) 케플러의 유성운동의 법칙 ... 193
3) 갈릴레이의 망원경의 발명 ... 194
4)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 ... 195
제25장 베이컨의 과학적 방법 ... 197
1. "아는 것이 힘이다"의 의미 ... 198
2. 학문하는 자세 ... 199
3. 우상론 ... 200
4. 귀납적 방법 ... 201
제26장 홉스의 국가론 ... 203
1. 자연상태 ... 204
2. 국가 ... 206
3. 통치권 ... 207
제27장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 209
1. 『군주론』출현의 배경 ... 210
2. 군주의 요건 : 유덕에서 유능으로 ... 211
3. 이기적 인간성 ... 212
4. 군주의 실제적 지침들 ... 213
제28장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 ... 215
1. 방법적 회의 ... 216
2. 정신·신·물체 ... 218
3. 정신과 물체의 관계 ... 220
4. 인과적 상호작용설 ... 222
제29장 스피노자의 심신 병행설 ... 225
1. 실체는 신이요 자연이다 ... 226
2. 능산적 자연과 소산적 자연 ... 227
3. 정신과 육체의 관계 : 심신 병행설 ... 228
제30장 라이프니츠의 단자론 ... 230
1. 실체로서의 단자 ... 231
2. 정신과 육체의 관계 : 예정조화설 ... 234
3. 최선의 세계와 악의 문제 ... 235
제31장 로크 : 지식은 경험에서 생긴다 ... 237
1. 본유관념의 부인 ... 238
2. 단순관념과 복합관념 ... 239
3. 제2성질과 제2성질 ... 242
4. 지식의 종류 ... 242
제32장 버클리 : 존재는 지각됨이다 ... 245
1. 추상관념의 비판 ... 245
2. 지각적 실재론 ... 247
3. 주관적 관념론 ... 248
4. 무한한 정신으로서의 신 ... 249
제33장 흄 : 경험적 회의론 ... 251
1. 인상과 관념 ... 252
2. 관념의 연상의 법칙 ... 253
3. 원인과 결과의 관계 ... 254
4. 실체의 부인 ... 255
제34장 칸트의 비판적 인식론 ... 258
1. 분석판단과 종합판단 ... 260
2. 선천적 종합판단 ... 262
3. 직관의 형식 : 공간과 시간 ... 263
4. 오성의 형식 : 범주 ... 264
5.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 265
6. 이성의 이념 : 자아·세계·신 ... 266
제35장 칸트의 도덕철학 ... 269
1. 선의지 ... 269
2. 의지의 자유 ... 270
3. 법칙으로서의 도덕률 ... 272
4. 최고선 : 덕과 복의 일치 ... 272
제36장 헤겔의 절대적 관념론 ... 274
1. 이성과 경험 ... 275
2. 존재의 매개성 ... 277
3. 정신의 외화로서의 자연 ... 279
4. 변증법의 기본 구조 ... 281
5.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인 것이다 ... 283
제37장 공리주의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286
1. 공리의 원리와 자기우선의 원리 ... 287
2. 쾌락의 계산 ... 288
3.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288
4. 사회적 공리주의 ... 289
5. 양적 쾌락에서 질적 쾌락으로 ... 291
제38장 후설의 현상학 ... 294
1. 현상학의 이념 ... 295
2. 본질직관 ... 297
3. 자연적 태도와 판단중지 ... 298
4. 순수의식의 구조 : 지향성 hyle noesis ... 300
5. 초월적 존재와 내재적 존재 ... 302
6. 선험성 ... 303
7. 선험적 관념론, 절대적 관념론 ... 304
8. 현상학에 대한 실재론적 해석 : 생활세계 ... 306
9. 관념론적 해석에서의 생활세계 ... 310
제39장 실용주의 : 도구로서의 지식 ... 312
1. 미국철학의 출현 ... 312
2. 퍼스 : 관념의 의미 ... 315
3. 제임스 : 실용적 진리론 ... 318
4. 듀이 : 도구주의 ... 323
제40장 실존주의 : 본래적 삶의 회복 ... 328
1. 시대적 배경 ... 328
2. 실존의 의미 ... 331
3. 실존주의의 두 유형 ... 332
4.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의 변증법 ... 333
5. 야스퍼스의 암호해독 ... 335
6. 하이데거의 불안의 철학 ... 338
7. 사르트르의 기획과 책임의 주체 ... 342
제41장 분석철학 : 의미의 명료화 ... 344
1. 비엔나학파 ... 345
2. 검증원리의 문제 ... 346
3. 검증성의 종류 ... 347
4. 검증원리의 전개과정 ... 349
5. 검증원리에 대한 비판 ... 358
6. 분석철학의 특성들 ... 359
7. 형이상학의 배제 ... 362
8. 명제의 종류 ... 363
9. 가명제로서의 형이상학적 명제 ... 364
10. 형이상학과 시 ... 367
제42장 비트겐슈타인과 언어 ... 369
1. 언어그림이론 ... 370
2. 철학의 개념 ... 374
3. 언어쓰임이론 ... 376
4. 쓰임의 의미 ... 380
찾아보기 ... 38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