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론 ... 13
제1장 항쟁의 전주곡 - 인민위원회, 3ㆍ1사건, 입산 ... 25
1. 8ㆍ15 직후의 제주도 상황과 인민위원회 활동 ... 27
1) 제주도 인민위원회 조직과 활동 ... 27
2) 미군의 제주도 진주와 인민위원회 ... 40
3)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선거투쟁 ... 48
2. 1947년 3ㆍ1...
더보기
목차 전체
서론 ... 13
제1장 항쟁의 전주곡 - 인민위원회, 3ㆍ1사건, 입산 ... 25
1. 8ㆍ15 직후의 제주도 상황과 인민위원회 활동 ... 27
1) 제주도 인민위원회 조직과 활동 ... 27
2) 미군의 제주도 진주와 인민위원회 ... 40
3)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선거투쟁 ... 48
2. 1947년 3ㆍ1사건 및 3ㆍ10총파업과 남로당 ... 52
1) 남로당 제주도당과 민전의 결성 ... 52
2) 3ㆍ1사건 및 3ㆍ10총파업 ... 58
3. 미군정ㆍ우익청년단체의 탄압과 남로당 대응 ... 65
1) 3ㆍ1사건 이후의 제주도 상황 ... 65
2) 제주도당 조직개편과 입산 ... 77
제2장 항쟁 - '항쟁을 원치 않거든 인민의 편에 서라' ... 83
1. 항쟁의 발발 : 목표와 전술 ... 86
2. 인민유격대 결성과 단선단정반대투쟁 ... 94
1) 인민유격대 조직과 무장력 ... 94
2) 4ㆍ28회담과 5ㆍ10단선단정반대투쟁 ... 98
3. 8ㆍ25대의원선거 참여와 항쟁의 약화 ... 105
4. 제주도당과 민중의 관계로 본 4ㆍ3항쟁의 의미 ... 111
제3장 학살 - '제주도민을 다 죽이더라도 제주도를 확보하라' ... 121
1. 미군정의 4ㆍ3항쟁에 대한 인식과 대응 ... 124
1) 항쟁의 발발과 미군정의 대응 ... 124
2) 5ㆍ10선거 이후 미군정의 강경 대응 ... 130
2. 군경토벌대의 항쟁 진압과 민간인 학살 ... 145
1) 정부 수립 이전의 진압 과정 ... 145
2) 이승만 정권의 4ㆍ3항쟁에 대한 인식 ... 151
3) 초토화 작전과 민간인 학살 ... 162
제4장 항쟁 그 후 - 망각과 금기에 대한 저항, 그리고 절반의 승리 ... 181
1. 4ㆍ3항쟁의 피해 경험과 망각 ... 184
1) 소개령과 지역공동체 파괴 ... 184
2) 생존을 위한 '반공국민으로 거듭나기' ... 190
3) 빨갱이 논리와 피해의식 ... 199
4) 생존자로서의 여성 경험 ... 207
2. 4ㆍ3항쟁의 기억 투쟁 ... 215
1) 기억의 복원 과정 ... 215
2) 제주4ㆍ3항쟁과 담론의 변화 ... 233
결론 ... 249
참고문헌 ... 257
찾아보기 ... 27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