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옮긴이의 말 ... 7
편자 서문 ... 11
제1장 한 때 소련이라 불렸던 세계대륙1 / 6의 거대한 국가 : 공간 및 그 공간의 가능성과 문제?
경제적 및 생태적 생존에 관한 질문 ... 25
경제적 강·약지역 ... 26
자연적 기본구조에 관한 통찰력 없이 발전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26
공간규모는 거리의 극복을...
더보기
목차 전체
옮긴이의 말 ... 7
편자 서문 ... 11
제1장 한 때 소련이라 불렸던 세계대륙1 / 6의 거대한 국가 : 공간 및 그 공간의 가능성과 문제?
경제적 및 생태적 생존에 관한 질문 ... 25
경제적 강·약지역 ... 26
자연적 기본구조에 관한 통찰력 없이 발전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26
공간규모는 거리의 극복을 위해 상당한 애로사항이 존재한다 ... 29
지형·지질구조적 발전과 자연공간 형성을 위한 근본요소로서의 기후지대 ... 30
전통적 식생지대와 농업지대 ... 31
구 소련의 공간발전에서 중앙과 변경 간의 관계 ... 33
구 소련에서 오늘날까지 나타났던 공간발전에 관한 여러 개념들 ... 34
생태적 재난상항 ... 36
생태위기 지역과 재난 지역 ... 38
제2장 역사적 관점에서 본 소련의 붕괴 : 1917년과 1991년의 공통분모와 상이점
과거와 미래는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 ... 43
아주 분명하게 20세기에 두 번이나 이미 비틀거렸다 ... 44
소련 초기와 말기의 위기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 45
적시에 해결하지 못한 명백한 질문 ... 47
민족은 다시금 모범적으로 회생하고 있다 ... 48
러이사인들의 민족주의 ... 49
양차 세계대전의 위기는 다시 오는가 ... 50
화재위험의 픽션으로서의 민족개념 ... 51
제3장 러시아의 특별한 길 : 현대에 대한 러시아의 답변으로서의 소비에트 시대
탈(脫)소비에트 러시아로의 여행 ... 57
러시아는 유럽이라고 볼 수 있는가 ... 58
다른 '체제'와 현 체제의 특징들 ... 60
지금 다시금 이중 얼굴이 나타나고 있다 ... 61
과거 논쟁의 계속성 ... 62
자책의 분위기 ... 63
불확실한 뿌리 ... 65
모방과 기피 간에서 끊임없는 지그재그 ... 66
러시아혁명이 일어났지만 모든 사람이 참가한 것은 아니었다 ... 67
극단적 유럽역사로서의 러시아역사 ... 70
전시공산주의 ... 71
제4장 문학의 기능적 손실 : 세계관과 도덕 그리고 정치 토의를 위한 전통적 매개체로서의 문학
권위주의적 러시아에서 여론형성의 특별한 포룸 ... 75
문학잡지는 특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 76
당에 의한 문학의 '국가화' ... 77
'해빙기' : 묵인과 배반 사이에서 ... 78
'비서문학' ... 79
'농촌문학' : 반서구적 그리고 민족주의적 ... 79
이솝 우화적 은유와 연결된 리버럴한 문학 ... 81
러시아문학도 자신의 중요한 위치를 러시아어와 함께 잃어가고 있다 ... 81
서구주의자와 슬라브주의자 간의 과거 논쟁의 부활 ... 82
탈(脫)현대의 변종 ... 84
제5장 민족운동과 소련의 종말 : 민족이 공산주의적 사이비 세계주의의 유일한 대안(代案)
소련체제는 자체의 세속화를 극복하지 못했다 ... 87
왜 소련공산당의 민족정책이 실패했는가 ... 88
러시아 간부가 새로운 교육층에 의해 대치되고 있다 ... 90
이민정책과 언어정책은 빈러시아적 저항을 유발시켰다 ... 92
민족운동의 원동력으로서 환경운동 ... 94
민족상징의 르네상스와 모국어로의 복귀 ... 95
대중동원화는 주권선언과 독립선언을 이끌었다 ... 97
소비에트 군대도 분리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 99
민족운동은 놀랍게도 짧은 시간에 독자적 정치구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 100
새로운 수평적 구조는 중앙의 근본토대를 잃게 하고 있다 ... 102
민족주의적 독재로서의 하락할 위험성 ... 103
분쟁유발적 주제 : 국가시민, 소수민족, 국경선 ... 104
제6장 우크라아나와 벨로루스 : 서방국가로의 독립국가연합에서 독립을 향한 시도
거대한 러시아민족의 젊은 형제 ... 109
동시에 움직이는 역사적 경험들은 독립운동을 감명시키고 있다 ... 112
벨로루스의 특수성 ... 115
우크라이나-제국의 모서리 ... 116
독자적 문화를 보전하려는 모든 시도의 비방과 억압 ... 119
교회간의 투쟁과 교회의 투쟁 ... 120
단계적 방향 전환 ... 122
민족주의 혹은 협조 ... 124
경제와 환경파괴로 인해 이웃 나라와의 공동작업의 필요성 ... 125
폴란드와의 새로운 관계 ... 128
제7장 이슬람 국가들의 미래상 : 소련의 붕괴와 이슬람세계
이슬람 시한 폭탄 ... 133
이슬람은 민족 정체성(正體性)의 기초로 남아있다 ... 134
공식적으로 이슬람은 모슬렘에 대한 국가통제를 보장하고 있지는 않다 ... 135
신비적 아랍형제애의 출현 ... 136
이슬람 반대세력 ... 136
민족주의는 이슬람과 더불어 제2의 이데올로기와 같은 힘을 지니고 있다 ... 137
고정된 동질화 표본의 모색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139
이슬람공동체로의 재편입은 그 곳에서 새로운 세력관계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 140
영향력에 관한 투쟁은 종교부문에서도 시작되고 있다 ... 142
키릴문자 대신에 라틴어 혹은 아랍어 문자 ... 143
터키 경제모델의 매력 ... 144
새로운 경제구조가 태동을 시작하고 있다 ... 147
정치적으로도 터키모델이 표본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 148
새로운 국가연합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 151
제8장 체제전복방법으로서의 민주화 : 고르바초프 이후의 소비에트 정치체제의 변천
위로부터의 민주화를 시도하는 동유럽의 유일한 나라 ... 155
폴란드 모델에 의한 해결에는 협상파트너가 빈약하다 ... 157
페레스트로이카의 비계획화된 결과는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 159
페레스트로이카의 거부에 관한 이유로서는 이데올로기의 붕괴가 상위에 있다 ... 160
사회주의 세계체제의 붕괴는 개혁정부의 권위를 실추시켰다 ... 162
민주화와 시장경제를 동시에 실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 163
제도의 협조에서 역할 중복 혹은 경악할 정도의 공백상태 ... 165
연방의 행동능력은 의회화와 대통령화 그리고 연합화와 행정부 권력상승의 과정 속에서 붕괴됐다 ... 170
어떻게 마지막으로 남은 다민족 대제국(大帝國)이 붕괴되었는가 ... 173
공화국 간 23개의 국경선 중에서 단지 3개 만이 문제의 소지가 없다 ... 178
체제에서 정치세력의 결손 ... 180
새로운 질서는 혼란에서 생성되는가 ... 182
제한된 가능성 하에서 국제적 연대 ... 184
제9장 탈출구 없는 경제재난 : 재고파악의 시도
실패 ... 191
붕괴는 갑자기 찾아왔으나 사전에 프로그램화 됐다 ... 192
수선할 수 없는 체제결손 ... 192
파국적 경제상항 ... 193
왜 시장경제로의 이행이 어려운가 ... 195
책임과 위험에 대한 창조성과 수용성이 부족하다 ... 195
필수불가결한 제도의 부족 ... 198
소유권과 경쟁 그리고 계약자유의 중요성 ... 199
높은 차원의 연결은 무역관계의 새로운 질서를 요구하고 있다 ... 202
안정된 화폐제도의 성립 ... 203
구조적 혁신과정의 도입 ... 204
특히 시간이 부족하다 ... 205
제10장 중앙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이행 : 어려움과 성공의 여러조건들
학문은 붕괴를 전혀 예견하지 못했다 ... 209
중앙계획경제체제에서 세 가지의 기본적 요인들이 대치되어야만 한다 ... 210
다원주의적으로 조직된 환경에서 민주적으로 정당한 정부가 전제조건이다 ... 210
단호한 이행전략의 필요성 ... 212
이행은 시간이 걸리는 과정 ... 213
대규모 혹은 소규모 조치도 존재하고 있다 ... 214
점진적 조치 혹은 충격요법 ... 215
러시아연방의 예, 실제 사회주의의 과거 유산 ... 216
위기관리로서의 경제개혁 ... 217
보리스 옐친 정부의 프로그램 ... 218
프로그램의 어려운 현실화 ... 219
국가개입에 대한 요청이 더욱 커지고 있다 ... 221
고유한 적응위기의 존재 ... 222
확실한 청사진 없이는 사정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 223
제11장 식량현황 : 구 소련 각 국가의 식량경제
불충분한 농업실적의 문제만은 아니다 ... 227
서방 생필품의 원조는 전적으로 문제가 많다 ... 228
경작지 혹은 가축지에서 소비자로 가는 길에서 생산품 손실 ... 230
농업경제의 생산발전 ... 231
생필품 소비 - 지역적 및 사회적 불일치 ... 233
인플레이션과 초과수요 ... 237
사적부문의 생산실적과 생산잠재력 ... 239
농업의 구조개혁 ... 241
제12장 새로운 무질서 : 소련의 붕괴와 세계체제를 위한 그 결과
세계구조적 요소로서의 공산주의 ... 247
중요한 내부변천으로서의 대외정책 ... 249
안전보장정책에서의 신사고 ... 250
1991년 이후 소련의 붕괴와 민족이해의 확대 ... 252
30∼40개의 새로운 공간들과 민족이해 관계가 자리잡고 있다 ... 253
소련파산의 일부를 재편하는 어떠한 시도도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 255
새로운 대외관계가 점차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 256
러시아 사례 ... 257
이웃 국가들의 거대한 공간과 세력중심지의 지향은 새로운 연결망으로의 가능성이 높다 ... 259
어떻게 외부세력이 변천과정과 관계할 수 있는가 ... 260
서방의 영향력 가능성 ... 261
동유럽지역의 학문을 위한 도전 ... 261
모든 것이 오류였다 - 그러나 모든 것이 동일한 정도는 아니다 ... 262
제13장 동유럽으로부터 새로운 민족이동 : 동유럽 블록의 이주 움직임은 사전에 예측하지 못했다
우선적으로 주종을 이루는 이주자 ... 267
본래 우리는 항상 이주의 자유를 요구해 왔다 ... 269
구 소련 안에서의 상당한 내부이주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 270
자격을 가진 노동력의 유출 ... 271
구 소련은 장기적으로 이주 움직임의 잠재력이 존재한다 ... 273
그 지역에서의 이주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75
동유럽으로부터의 노동력은 오랫동안 환영받았다 - 이 노동력은 더욱 더 많아질 전망이다 ... 276
부록 구 소련의 개별 공화국 : 지리, 인구, 정치, 경제에 관한 자료
Ⅰ. 슬라브 3국 ... 282
Ⅱ. 발트 3국 ... 294
Ⅲ. 몰다바 ... 301
Ⅳ. 코카서스 3국 ... 304
Ⅴ. 중앙아시아 5국 ... 31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