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부 총론
제1장 최초 국문소설 문제 ... 17
1. 머리말 ... 17
2. 국문소설의 개념 ... 18
2.1. 제1 개념의 국문소설('창작국문소설' 혹은 '원작이 국문으로 지어진 게 확실한 소설')과 해당 작품 ... 18
2.2. 제2 개념의 국문소설('번역체 국문소설' 혹...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부 총론
제1장 최초 국문소설 문제 ... 17
1. 머리말 ... 17
2. 국문소설의 개념 ... 18
2.1. 제1 개념의 국문소설('창작국문소설' 혹은 '원작이 국문으로 지어진 게 확실한 소설')과 해당 작품 ... 18
2.2. 제2 개념의 국문소설('번역체 국문소설' 혹은 '비국문 원작을 국문으로 번역한 것이 확실한 소설')과 해당 작품 ... 21
2.3. 제3 개념의 국문소설('국문본소설' 혹은 '이본의 표기문자가 국문인 소설')과 해당 작품 ... 23
3. 〈홍길동전〉 최초 국문소설설의 검토 ... 25
4. 초기 국문소설로서 주목해 왔거나 새로 부각된 작품들 ... 29
4.1. 국문불서 소재 작품(15세기) ... 30
4.2. 〈왕랑반혼전〉 국문본(1565년) ... 31
4.3. 한강현전(1676년 필사) ... 31
4.4. 강로전 국문본(1630년 국역) ... 32
4.5. 〈왕시전〉, 〈비군전〉, 〈왕시봉전〉, 〈주생전〉국문본(1685년 필사) ... 32
5. 〈설공찬전〉 국문본의 국문소설로서의 위상 ... 34
6. 국문본 〈오륜전전〉ㆍ〈이석단〉ㆍ〈취취〉의 국문소설로서의 위상 ... 36
7. 마무리 ... 39
제2장 한문소설이란 무엇인가 ... 41
1. 머리말 ... 41
2. 한문소설의 개념과 범위 ... 42
3. 한문소설의 인접 갈래 ... 46
3.1. 전기(傳奇) ... 46
3.2. 가전체(假傳體) ... 48
3.3. 몽유록(夢遊錄) ... 50
4. 한문소설 작자층의 소설관 ... 52
4.1. 소설의 허구성과 효용성에 대한 인식 ... 52
4.2. 소설과 작가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 55
5. 한문소설의 특징 ... 57
6. 한문소설의 의의 ... 60
7. 맺음말 ... 61
제2부 연구사 검토
제1장 소대성전의 연구사 ... 65
1. 머리말 ... 65
2. 기존 연구의 부문별 검토 ... 66
2.1. 비교문학적 연구 ... 66
1) 중국 작품(〈설인귀전〉)의 영향 여부에 대한 논의 ... 66
2) 국내 작품과의 선후 관계에 대한 논의 ... 69
2.2. 이본 연구 ... 71
2.3. 작품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 연구 ... 73
1) 설화와 대비한 경우 ... 73
2) 다른 영웅소설과 대비한 경우 ... 74
3) 다른 지인지감(知人之鑑) 유형 소설과 비교한 경우 ... 77
2.4. 소설사적 위치 연구 ... 77
1) 창작 연대에 대한 논의 ... 77
2) 소설사적 위치에 대한 논의 ... 79
3. 맺음말 - 요약과 과제 ... 80
제2장 홍길동전 작자 논의 연구사 ... 83
1. 머리말 ... 83
2. 〈홍길동전〉 작자 논의의 전개 양상 ... 84
2.1. 허균 창작론 ... 84
2.2. 허균 창작 부정론 ... 86
2.3. 허균 창작 재긍정론 ... 91
1) 小說 〈홍길동전〉 창작설 ... 91
2) 傳 〈홍길동전〉 창작설 ... 96
3. 맺음말 ... 100
제3부 실증적인 논의
제1장 〈오륜전전서〉의 재해석 ... 105
1. 머리말 ... 105
2. 지금까지의 해석과 그 문제점 ... 107
2.1. 〈五倫全傳序〉의 원문 ... 107
2.2. 지금까지의 해석과 그 문제점 ... 108
3. 재해석과 그 의의 ... 116
3.1. 재해석의 내용 ... 116
3.2. 재해석 결과의 의의 ... 119
4. 맺음말 ... 122
제2장 〈왕시봉전〉ㆍ〈왕시붕기우기〉의 형성과정 재론 ... 125
1. 머리말 ... 125
2. 〈왕시봉전〉ㆍ〈왕시붕기우기(王十朋奇遇記)〉의 형성과정 ... 126
2.1 기존의 견해와 문제점 ... 126
1) 정학성의 견해 ... 126
2) 정길수의 견해 ... 129
2.2. 새로운 해명 ... 131
1) 새로운 해명의 근거로서의 〈오륜전전서〉 ... 131
2) 새로운 해명 ... 135
3. 맺음말 ... 136
제3장 최근에 이루어진 고소설 분야의 문헌학적 성과들 ... 137
1. 머리말 ... 137
2. 〈주생전〉 국문본 출현의 의의 ... 138
3. 〈왕시봉전〉ㆍ〈왕시붕기우기(王十朋奇遇記)〉와 중국 희곡 〈형차기〉의 관계 ... 139
4. 조선후기 소설 낭독 현장에서 살인을 야기한 작품의 정체 ... 146
5. 맺음말 ... 149
제4부 작가와 작품간의 관계
제1장 채수와 설공찬전 ... 153
1. 머리말 ... 153
2. 蔡壽의 生涯 ... 154
2.1. 제1기(修學期) ... 156
2.2. 제2기(仕宮期) ... 157
2.3. 제3기(隱遁期) ... 161
3. 생애와 작품의 관계 ... 168
4. 맺음말 ... 173
제2장 허균과 홍길동전 ... 175
1. 머리말 ... 175
2. 허균(計筠)의 생애 ... 176
3. 허균(計筠)의 사상 ... 179
4. 허균(計筠)의 문학관 ... 186
5. 허균과 〈홍길동전〉과의 관계 ... 187
5.1. 허균의 생애와 〈홍길동전〉 ... 187
5.2. 허균의 사상과 〈홍길동전〉 ... 188
5.3. 허균의 문학관과 〈홍길동전〉 ... 189
6. 맺음말 ... 189
제3장 김만중과 서포소설 ... 191
1. 머리말 ... 191
2. 반주자주의(反朱子主義)의 전개양상 면에서 본 김만중 ... 192
2.1. 문화관 면에서 ... 192
1) 반화이론적(反華夷論的) 문화관 ... 192
2) 작품세계와의 관계 ... 198
2.2. 문학관 면에서 ... 199
1) 반재도론적(反載道論的) 문학효용론 : 감동론 ... 199
2) 작품세계와의 관계 ... 201
3. 마무리 ... 204
제4장 박지원과 연암소설 ... 205
1. 머리말 ... 205
2. 문학관 ... 205
2.1. 문학창작방법론 : '眞'문학론과 법고창신론(法古創新論) ... 206
1) '眞'문학론 ... 206
2) 문학창작방법론 : 법고창신론(法古創新論)〔善變論〕 ... 209
3. 문학 갈래 선택 ... 213
4. 소재 선택 ... 217
5. 맺음말 ... 220
제5부 주제ㆍ소재ㆍ배경론
제1장 〈왕시전〉에 나타난 혼사장애의 양상과 결혼관 ... 223
1. 머리말 ... 223
2. 혼사장애의 양상 ... 225
3. 결혼관 ... 233
4. 애정전기(愛情傳奇) 소설과의 비교 ... 237
5. 맺음말 ... 239
제2장 고소설 환원구조의 사상적 원천 ... 241
1. 머리말 ... 241
2. 고소설 환원구조와 유ㆍ불ㆍ도교의 거리 ... 242
2.1. 유교사상의 경우 ... 242
2.2. 불교사상의 경우 ... 246
2.3. 도교 사상의 경우 ... 248
2.4. 삼교 사상 교합론의 경우 ... 250
3. 고소설 환원구조와 기층적 존재 사고 ... 252
3.1. 기층의 존재 사고 ... 252
3.2. 환원구조와 기층적 존재사고 ... 253
1) 천상계에서 지상계로의 하강 ... 254
2) 지상계에서 천상계로의 복귀 ... 256
4. 맺음말 ... 258
제3장 고소설 주인공 출생담의 종교적 이원성 ... 259
1. 머리말 ... 259
2. 출생담의 전개 양상 ... 261
2.1. 사대부가의 무자 문제 발생 ... 262
2.2. 부인의 재혼 권유와 기자치성 요청 ... 264
1) 재혼 권유 ... 264
2) 기자치성 요청 ... 267
2.3. 기자치성 ... 269
2.4. 태몽과 신이한 해산 ... 271
1) 태몽 ... 271
2) 신이한 해산 ... 273
3. 주인공 출생담의 종교적 이원성과 그 의미 ... 275
3.1. 종교적 이원성 ... 275
1) 기자치성의 동기와 유교적 효(孝)지상주의 ... 275
2) 기자치성의 대상과 민간적 기복신앙 ... 278
3) 기자치성의 결과 - 태몽ㆍ해산 - 와 도교적 인물의 불교적 윤회전생 ... 280
3.2. 종교적 이원성의 의미 ... 281
1) 종교적 의미 ... 281
2) 소설적 의미 ... 284
4. 마무리 ... 288
제4장 우리 나라 배경의 고소설 ... 289
1. 머리말 ... 289
2.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한 고소설 작품의 목록 ... 291
3. 고소설 배경 지역 중 현재 주목을 받고 있는 곳과 소개된 내용 ... 293
4. 새로 발견된 〈설공찬전〉의 배경지 '순창', 그 관광문화적 활용방안 ... 306
5. 맺음말 ... 312
제6부 부록자료
1. 고소설 논저 목록 이용 안내 ... 317
2. 고소설에 대한 총론적 이해를 위해 보아야 할 책의 목록 ... 319
3. 우리 나라 최초 창작국문소설 〈오륜전전〉의 한문본(川上宗家本) ... 324
참고문헌 ... 330
찾아보기 ... 3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