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iii
제1부 문학사와 그 주변
문학사의 의미와 방법 ... 3
1. 고통스러운 役事, 문학사의 속성 ... 3
2. 문학사의 유형 ... 5
3. 표준형 문학사 무제 ... 7
4. 시대구분과 그 몇 가지 과제 ... 13
한국현대문학과 유학적 전통 ... 23
1. 머리말 ... 2...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iii
제1부 문학사와 그 주변
문학사의 의미와 방법 ... 3
1. 고통스러운 役事, 문학사의 속성 ... 3
2. 문학사의 유형 ... 5
3. 표준형 문학사 무제 ... 7
4. 시대구분과 그 몇 가지 과제 ... 13
한국현대문학과 유학적 전통 ... 23
1. 머리말 ... 23
2. 지각상태의 참여-시발기 한국문학과 유학 ... 25
3. 국민문학파의 경우-유학적 의식의 전경화 ... 29
4. 1930년대 한국문학과 유학 ... 41
5. 마무리 ... 55
방언과 한국문학 ... 59
1. 머리말 ... 59
2. 어떤 선행 발언-《文章講話》 ... 60
3. 방언과 한국문학-근대화의 도정 ... 62
4. 현대문학의 방언 ... 73
5. 끝자리 요약과 첨언 ... 91
문학을 통해 본 해외동포들의 의식성향 ... 95
1. 작업의 의의 ... 95
2. 작업의 테두리와 방법 ... 96
3. 작품에 나타나는 의식성향 ... 104
4. 현지조사 또는 단순독자의 의식과 결론 ... 124
北韓의 文藝政策과 창작지도이론 ... 131
1. 약간의 전제 ... 131
2. 북한문학의 초기 양상-이데올로기 문학의 테두리 굳히기 ... 132
3. 빈인민·반사회주의, 순수 퇴폐주의 배제·비판 ... 141
4. 6·25와 남로당계 숙청 ... 148
5. 주체문예사상, 그 이론과 그 한계 ... 155
6. 종자이론의 출현과 그 문제점 ... 163
7. 종자이론의 검증-《한 자위단원의 운명》의 경우 ... 168
제2부 시와 시인들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형성·전개 ... 177
1. 모더니즘의 성격 ... 177
2. 두 개의 흐름, 金起林과 李箱 ... 183
3. 모더니즘의 자체 극복 ... 200
素月文學의 정본화 문제 ... 209
1. 素月文學의 테두리 잡기-1단계의 양상 ... 210
2. 제2국면-原典발굴과 새로운 작품 탐색 ... 218
3. 완결된 素月全集을 위한 시도 ... 234
4. 결정판 素月全集의 구도와 뼈대 ... 248
金東煥論 ... 253
1. 상황과 문학, 또는 金東煥의 시대 ... 253
2. 시인의 등장, 초기 시의 의의 ... 255
3. 巴人 문학의 전개, 민요조 서정시 ... 259
4. 巴人 민요시의 논리 ... 271
徐廷柱論 ... 287
1. 시각과 문제점 ... 287
2. 《花蛇集》의 등장, 그 역학 ... 289
3. 기호체계의 열쇠-희랍적인 것과 토속적인 것 ... 294
4. 8·15와 徐廷柱, 탁류 속의 서정 ... 301
5. 전통미학의 완성-후기 시의 차원 ... 308
李熙昇論 ... 323
1. 민족사를 향한 불기둥 ... 323
2. 詩作의 시발, 시조 ... 324
3. 현대시와 一石, 본격기의 야상 ... 332
4. 서정의 전경화, 일제말의 암흑기 ... 340
제3부 한국문단과 문학의 좌표(토론·대담)
1. 현대문학과 고전문학 ... 349
2. 한국문학과 주체성 ... 367
3. 한국문학과 애국계몽사상 문제 ... 383
4. 일본문학의 제문제 ... 401
5. 한국현대시와 그 비평 ... 447
6. 광복 이후의 우리 시 ... 469
7. 90년대의 문학적 의미 ... 487
찾아보기 ... 5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