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발간사 ... 3
들어가는 말 ... 9
제1부 대구ㆍ경북지역의 그리스도교 현황
제1장 대구ㆍ경북지역 천주교의 역사적 발전과정 ... 17
제2장 대구ㆍ경북지역 개신교 보수성의 역사성 ... 39
제2부 대구ㆍ경북지역과 천주교와의 관계
제3장 천주교의 경상도지역 전파와 유교와의 갈등 ... 55
1. 머리말 ... 55
2. 천주교의...
더보기
목차 전체
발간사 ... 3
들어가는 말 ... 9
제1부 대구ㆍ경북지역의 그리스도교 현황
제1장 대구ㆍ경북지역 천주교의 역사적 발전과정 ... 17
제2장 대구ㆍ경북지역 개신교 보수성의 역사성 ... 39
제2부 대구ㆍ경북지역과 천주교와의 관계
제3장 천주교의 경상도지역 전파와 유교와의 갈등 ... 55
1. 머리말 ... 55
2. 천주교의 경상도 전파와 정착 ... 56
1) 천주교의 경상도지역 전파 ... 56
2) 천주교의 경상도지역 정착 ... 59
3. 위정척사론을 통한 영남지역 유림의 천주교 대응 ... 62
4. 경상도지역의 교안 ... 68
5. 맺음말 ... 77
제4장 간디의 사회사상과 서상돈의 국채보상운동 정신 ... 79
1. 머리말 ... 79
2. 간디의 생애와 사상 ... 81
1) 간디의 생애 ... 81
2) 간디의 사회사상 ... 82
3. 서상돈의 생애와 애국운동 ... 87
1) 서상돈의 생애 ... 87
2) 서상돈의 애국운동 ... 88
3) 서상돈의 국채보상운동 ... 89
4. 간디의 사회사상과 서상돈의 국채보상운동 정신 ... 96
5. 맺음말 ... 99
제5장 평신도의 정체성과 평신도 지도자의 신앙생활 및 사회의식 조사 -천주교 대구대교구를 중심으로- ... 103
1. 머리말 ... 103
2. 평신도는 누구인가? ... 105
1) 평신도 개념의 기원 ... 105
2) 교회 역사와 평신도 상 ... 106
3. 대구교구 평신도 지도자의 신앙생활과 사회의식 조사 ... 117
1) 연구 대상 ... 117
2) 연구 방법 ... 118
3) 연구 결과 ... 119
4. 맺음말 ... 130
제6장 종교간 대화의 원리와 실제 - TCRP를 중심으로 - ... 135
1. 왜 종교간 대화인가? ... 135
2. 종교간 대화원리 ... 137
1) 종교간 대화의 기본 태도 ... 137
2) 월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인격주의적 종교이해 ... 141
3) 종교간 만남과 대화 원리 ... 144
3. 종교간 대화의 실제 ... 148
1) 국제적 종교간 대화 ... 148
2) 국내의 종교간 대화 ... 150
3) 대구ㆍ경북지역의 종교간 대화 : TCRP를 중심으로 ... 151
4. 대구ㆍ경북지역의 종교간 대화 비평 ... 153
제3부 대구ㆍ경북지역에서 나타난 정치와 종교(개신교)의 관계
제7장 일제강점기 기독교 민족사상의 형성과 실천 ... 159
1. 머리말 ... 159
2. 대구에서의 3ㆍ1독립만세운동과 이만집 목사 ... 162
3. 이만집 목사의 교회 자치운동 ... 168
4. 이만집 목사의 만세운동과 자치사상에 대한 평가 ... 182
5. 맺음말 ... 188
제8장 일제의 종교정책과 한국인 종교집단의 대응방식 ... 191
1. 머리말 ... 191
2. 기독교 수용의 전개과정과 공문서를 통한 일제의 종교정책 실시배경 ... 192
1) 기독교 수용의 양면성: 신앙적 차원과 민족적 차원 ... 192
2) 대구ㆍ경북지역의 기독교 수용과 전개 ... 196
3. 일제시대 각종 종교단체 관련 공문서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해석 ... 202
1) 시기별 분류 ... 202
2) 발행자별 분류 ... 204
3) 공문 내용별 분류 ... 207
(1) 종교단체 관리와 활용 ... 207
(2) 황국신민화와 애국정책 ... 232
(3) 국민교화정책 ... 237
(4) 국방헌납 및 전시동원 ... 244
4. 맺음말 ... 253
제9장 1980년대 대구지역에서의 민주화 운동과 개신교 - 나길동 목사를 중심으로 - ... 257
1. 머리말 ... 257
2. 대구ㆍ경북지역의 보수성과 기독교의 사회적 위치 ... 260
3. 존재론적인 삶의 지향 ... 266
4. 나길동 목사의 사상과 목회 철학 ... 272
5. 대구에서의 사회적 활동 ... 281
6. 맺음말 ... 290
참고문헌
천주교 부문 ... 293
개신교 부문 ... 29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