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序論 ... 11
Ⅱ. 蔭官의 槪念 ... 23
1. 政案의 작성과 관료의 출신성분 ... 23
2. 음관의 용례 ... 27
3. 遺逸 ... 32
4. 特旨와 薦擧 ... 38
5. 南行 ... 49
Ⅲ. 조선전기 蔭官의 실재와 官職體制의 정비 ... 53
1. 蔭出身의 初職과 蔭官의 지위변화 ... 54
...
더보기
목차 전체
Ⅰ. 序論 ... 11
Ⅱ. 蔭官의 槪念 ... 23
1. 政案의 작성과 관료의 출신성분 ... 23
2. 음관의 용례 ... 27
3. 遺逸 ... 32
4. 特旨와 薦擧 ... 38
5. 南行 ... 49
Ⅲ. 조선전기 蔭官의 실재와 官職體制의 정비 ... 53
1. 蔭出身의 初職과 蔭官의 지위변화 ... 54
1) 權務·權知職 ... 54
2) 음관 초입사직의 사례 분석 ... 67
2. 음관의 官界進出과 蔭職의 성격 ... 76
3. 음관의 승진과 한계 ... 88
Ⅳ. 조선후기 음관의 성장과 변천 ... 104
1. 士林政治의 추이와 음관의 성장 ... 105
1) 사림정치의 전개와 음관의 성장 ... 105
2) 산림의 중용과 음관 ... 114
3) 벌열 중심의 인사관행과 음관 ... 119
2. 蔭職의 확대와 官制改編 ... 125
1) 임란 이후 인사정책의 문란 ... 125
2) 인조년간의 인사개편 ... 128
3) 숙종년간의 관제개편 ... 137
3. 蕩平을 위한 人材登用과 蔭官 ... 142
1) 영조의 탕평정책과 음관 ... 142
2) 정조의 왕권강화와 음관 ... 149
3) 嫡長薦을 통한 왕권강화책 ... 158
4. 蔭官의 陞進과 文蔭의 갈등 ... 165
1) 음관의 승진과 한계 ... 165
2) 문관의 인사적체와 文蔭의 갈등 ... 176
5. 蔭官 初入仕職과 守令職 蔭과의 증가 ... 187
1) 음관 初入仕職의 변화 ... 187
2) 수령직 蔭과의 증가 ... 196
Ⅴ. 蔭官의 任用實態와 現況 ... 206
1. 關聯資料의 검토 ... 206
2. 음관의 身分的 地位 ... 222
1) 生員·進士와 幼學의 地位 ... 222
2) 血緣的·地緣的 背景 ... 231
3) 政治社會的 背景 ... 246
3. 蔭官의 初入仕職과 陞進 및 最終官職 ... 264
4. 蔭官의 文科及第 實態 ... 271
5. 守令職 古有 現況 ... 286
Ⅵ. 結論 ... 296
補論
조선은 文武 兩班官僚制社會였는가
1. 들어가는 말 ... 307
2. 양반관료제설의 성립과 반론 ... 309
1) 양반관료제설의 성립 ... 309
2) 양천제설의 비판 및 법제의 개념 ... 318
3. 음관이란 무엇인가 ... 327
4. 문음제와 음서제의 차이 ... 332
5. 조선은 문무 양반관료제사회였는가 ... 339
參考文獻 ... 347
색인 ... 35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