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 5
導論 ... 21
제1편 義田과 생산관계 ... 45
제1장 淸 後期 湖南의 義田과 地主-佃戶관계 ... 47
序言 ... 47
Ⅰ. 湖南 義田의 존재형태 ... 48
1) 義田의 분포 ... 48
2) 義田의 성격 ... 58
Ⅱ. 義田 설치자의 신분 구성 .....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 5
導論 ... 21
제1편 義田과 생산관계 ... 45
제1장 淸 後期 湖南의 義田과 地主-佃戶관계 ... 47
序言 ... 47
Ⅰ. 湖南 義田의 존재형태 ... 48
1) 義田의 분포 ... 48
2) 義田의 성격 ... 58
Ⅱ. 義田 설치자의 신분 구성 ... 65
1) 上層 鄕紳 ... 65
2) 下層 鄕紳 ... 77
3) 庶民地主 ... 79
Ⅲ. 호남의 지주 - 전호관계 ... 86
1) 地代 부담 ... 86
2) 押租 관행 ... 98
3) 佃戶의 성격 ... 106
小結 ... 113
제2장 淸 後期 湖南 辰州府의 義田 ... 115
序言 ... 115
Ⅰ. 義田의 설치 ... 115
1) 義田의 설치 과정 ... 115
2) 義田 설치 참가자의 신분 ... 127
Ⅱ. 義田과 義倉 ... 133
1) 義田, 義倉의 운영 ... 133
2) 의전, 의창의 성격 ... 141
Ⅲ. 義田의 생산관계 ... 144
1) 小作地의 분포 ... 144
2) 地代의 형태 ... 151
3) 收租 방식 ... 159
4) 佃戶의 성격 ... 163
小結 ... 168
제3장 淸末民國期 湖南의 公産田과 地主-佃戶관계 ... 171
序言 ... 171
Ⅰ. 농업과 인구배경 ... 173
1) 인구ㆍ경지 ... 173
2) 미곡생산 ... 179
3) 雜糧ㆍ기타 ... 185
Ⅱ. 公産田의 분포와 성격 ... 189
1) 公産田의 분포 ... 19
2) 公産田의 성격 ... 193
Ⅲ. 생산관계 ... 195
1) 지대 ... 195
2) 압조 ... 203
3) 減價平? ... 210
4) 富佃農 ... 215
小結 ... 219
附論 淸 後期 湖北의 義田과 租佃관계 ... 223
序言 ... 223
Ⅰ. 置田의 시기 ... 224
Ⅱ. 치전 관련자의 신분 ... 228
1) 鄕紳層, 서민 ... 228
2) 城居, 鄕居지주 ... 237
Ⅲ. 생산관계 ... 242
1) 地代형태 ... 242
2) 收租 방식 ... 258
3) 지대 외 부담 ... 261
4) 富佃農 ... 263
小結 ... 265
제2편 농촌사회와 농업샌산 ... 269
제1장 淸末民國期 湖廣지방의 농업생산력과 생산관계 ... 271
序言 ... 271
Ⅰ. 미곡생산 ... 273
1) 생산과 유통 ... 273
2) 畝産量 ... 282
Ⅱ. 기타작물 ... 286
1) 二麥ㆍ雜糧 ... 286
2) 경제작물 ... 289
Ⅲ. 생산력의 발달 ... 296
1) 水利開墾 ... 296
2) 농구 ... 308
3) 농사기술 ... 310
Ⅳ. 생산관계의 특징 ... 317
1) 押租 ... 317
2) 富佃農 ... 322
小結 ... 325
제2장 淸末民國期 湖南 邵陽縣의 농촌사회와 농업생산 ... 329
序言 ... 329
Ⅰ. 사회 환경 ... 331
1) 인구와 직업 ... 331
2) 市鎭과 상품유통 ... 339
Ⅱ. 농업생산 ... 347
1) 穀物생산 ... 347
2) 경제작물 생산 ... 355
小結 ... 359
제3장 淸 後期~民國期 湖南의 水利開發과 농업생산 ... 361
序言 ... 361
Ⅰ. 水利開發 ... 364
1) 인구증가 ... 364
2) 水利 확대 改良 ... 368
3) ?田개발 ... 382
Ⅱ. 農業生産 ... 388
1) 水旱災와 農凶 ... 385
2) '穀賤'과 米穀放出 ... 396
小結 ... 400
제4장 淸末民國期 湖南 汝城縣의 新式學校와 敎育財政 ... 403
序言 ... 403
Ⅰ. 新式學校 발전 추이 ... 405
1) 淸末 이전 ... 405
2) 民國시기 ... 410
Ⅱ. 지방재정과 교육비 ... 416
1) 淸 후기 교육재정 ... 416
2) 청말민국기 교육재정 ... 420
小結 ... 431
제3편 米穀시장과 상품유통 ... 433
제1장 淸末民國期 湖南의 미곡시장과 상품유통 ... 435
序言 ... 435
Ⅰ. 米穀시장의 유통정황 ... 437
1) 미곡의 省內外유통 ... 437
2) 雜糧의 省內外유통 ... 446
3) 市場聯系와 유통방향 ... 451
Ⅱ. 상품유통 정황 ... 459
1) 유통상품 특성 ... 459
2) 米價와 물가 ... 467
小結 ... 471
제2장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 473
序言 ... 473
Ⅰ. 穀物생산과 유통 ... 475
1) 米穀 ... 475
2) 雜糧 ... 484
3) 농업생산성 ... 486
Ⅱ. 경제작물 생산 ... 492
1) 면화, 茶 ... 492
2) 烟草ㆍ花生ㆍ기타 ... 495
Ⅲ. 상품유통 ... 498
1) 洋貨와 상품유통 ... 498
2) 미가와 물가 ... 504
小結 ... 511
제3장 淸末民國期 湖南 汝城縣의 상품유통과 물가변동 ... 515
序言 ... 515
Ⅰ. 시장과 상품유통 ... 518
Ⅱ. 물가변동 ... 527
1) 곡물류 ... 529
2) 기타물가 ... 532
Ⅲ. 물가상승의 원인 ... 535
小結 ... 543
附論 淸末民國期 湖北의 미곡시장과 상품유통 ... 547
序言 ... 547
Ⅰ. 미곡시장의 유통정황 ... 549
1) 미곡의 省내외 유통 ... 549
2) 雜糧의 省內外 유통 ... 558
3) 시장聯系와 유통방향 ... 562
Ⅱ. 상품유통 정황 ... 568
1) 상품유통 특성 ... 568
2) 미가와 물가 ... 574
3) '穀賤傷農'과 시장 ... 580
小結 ... 584
結語 ... 587
참고문헌 ... 595
中文摘要 中國近現代的湖南社會 ... 619
찾아보기 ... 62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