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4
제1부 북한시의 역사
건국의 열기와 신인간의 요구 : 평화적 건설기의 시 ... 14
1. '건국사상총동원'운동과 '교양'의 임무 ... 14
2. 해방과 역사의 주체 찾기 : 김일성과 항일의 도덕성 ... 16
3. 제도의 개혁과 동원의 논리 : 보은과 혁명적 낭만주의 ... 23
4.『...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4
제1부 북한시의 역사
건국의 열기와 신인간의 요구 : 평화적 건설기의 시 ... 14
1. '건국사상총동원'운동과 '교양'의 임무 ... 14
2. 해방과 역사의 주체 찾기 : 김일성과 항일의 도덕성 ... 16
3. 제도의 개혁과 동원의 논리 : 보은과 혁명적 낭만주의 ... 23
4.『응향』사건의 의미 : 관료적 통제의 시발 ... 32
5. 착잡한 역사의 시작 ... 38
'국토완정'의 꿈과 절멸의 공포 : 전쟁기의 시 ... 41
1. 전쟁과 '정치의 신성화' ... 41
2. '국토완정'의 꿈과 전장의 낭만화 ... 44
3. 선악의 이분법과 멜로 드라마적 상상력 ... 49
4. 절멸의 공포와 대중적 영웅주의 ... 58
5. '수령'의 형상 ... 66
6. 신성한 공동체의 탄생 ... 70
재건의 의지와 열정 : 전후 복구건설기의 시 ... 73
1.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건설의 꿈 ... 73
2. 사상 강화의 요구 : 낡은 것의 척결 ... 75
3. '새 것'의 힘과 복구건설 ... 79
4. 협동경리의 성과와 사회주의 낙원의 꿈 ... 83
5. 남조선 해방의 열망 ... 93
6. 사회주의의 길로 ... 95
공산주의 사회 건설의 꿈과 새로운 삶의 속도 : 천리마 시대의 시 ... 97
1. 고립주의 노선과 새로운 사상동원의 요구 ... 97
2. 새로운 삶의 속도와 천리마 기수의 형상 ... 100
3. 공산주의 도덕의 기원 : '위대한 과거'로서의 항일 혁명 ... 109
4. 개인숭배의 강화와 혁명적 대가정론의 발아 ... 111
5. 공산주의 낙원의 이미지와 국토의 심미화 ... 118
6. 선취된 주체시대의 상 ... 124
주체시대의 출범과 수령의 형상 : 주체시대의 시 1 ... 128
1. 주체사상과 송가문학 ... 128
2. 수령 형상의 의미와 기능 ... 131
3. 수령 가계의 혁명화와 후계자의 형상 ... 144
4. '부드러운 폭력'으로서의 문학 ... 153
주의주의적 동원체제와 '숨은 영웅'의 형상 : 주체시대의 시 2 ... 156
1. 동원 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 ... 156
2. 주체사상과 주체형 공산주의자의 형상 ... 159
3. '숨은 영웅'과 도덕적 고양에의 요구 ... 166
4. 인민의 영혼과 '량심'에 대한 지배의 욕망 ... 178
'고난의 행군'과 상상의 의병전쟁 : 수령 사후의 북한시 ... 180
1. '거룩한 희생'의 요구 ... 180
2. '고난'의 경험과 자력갱생의 이데올로기 ... 182
3. 선군혁명문학과 상상의 의병전쟁 ... 190
4. 사회주의 낙원의 환상 ... 200
5. 시적 상상력의 고갈 ... 204
제2부 북한정치와 북한시
북한시의 형성과 전개 : 송가, 서사시, 서정시를 중심으로 ... 208
1. 북한시와 '새 인간'의 요구 ... 208
2. 송가 : 새로운 주체의 발견과 열광의 수사학 ... 212
3. 서사시 : 인민적 메시아에 의한 민족해방의 서사 ... 219
4. 서정시 : 증산을 위한 동원과 보은의 사상 ... 225
5. 북한시와 프로시 ... 232
6. 공민(公民)적 의무감과 열정 ... 237
『백두산』과 북한의 서사시 ... 239
1. 해방의 주제 찾기 ... 239
2. 보천보 전투와『백두산』의 창작 ... 242
3. 인민적 지도자의 형상 ... 249
4. 혁명적 낭만주의와 인민적 메시아의 꿈 ... 255
5.『백두산』의 성격과 의의 ... 264
6. 상상에서 현실로 ... 268
임화의 월북 후 활동과 숙청 ... 270
1. 임화의 비극적 운명 ... 270
2. 임화의 월북 후 행적과 작품 활동 ... 273
3. 임화의 작품에 대한 비판과 숙청의 논리 ... 279
4. 반면교사로서의 임화 ... 292
제2차 조선작가대회와 전후 북한문학 : 한설야의 보고를 중심으로 ... 295
1. 창작의 자유에 대한 기대와 좌절 ... 295
2. 소련 공산당 20차 전당대회와 제2차 조선작가대회 ... 299
3. 한설야의 보고와 '독단주의' 비판의 의미 ... 305
4. 도식주의와 문학에 대한 행정적 간섭 비판 ... 310
5. 다시 조여진 사상의 고삐 ... 318
1차 자료 ... 321
참고문헌 ... 32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