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옮긴이의 말 ... 3
지은이의 말 ... 7
1부 한나라 이전 경학의 형성
1. 주공 및 주나라의 역사 - 경학의 발단 ... 17
2. 춘추시대 경학의 발전 ... 21
3. 공자 및 공자 학파 - 경학 기초의 확립 ... 28
4. 맹자와 경학 ... 58
5. 순자 - 경학 형식의 발전 ... 69
6. 묵자 중의 경...
더보기
목차 전체
옮긴이의 말 ... 3
지은이의 말 ... 7
1부 한나라 이전 경학의 형성
1. 주공 및 주나라의 역사 - 경학의 발단 ... 17
2. 춘추시대 경학의 발전 ... 21
3. 공자 및 공자 학파 - 경학 기초의 확립 ... 28
4. 맹자와 경학 ... 58
5. 순자 - 경학 형식의 발전 ... 69
6. 묵자 중의 경학 영향 ... 73
7. 장자 중의 경학 영향 ... 79
8. 관자와 한비자 중의 경학 영향 ... 83
9. 『여씨춘추』중의 경학 영향 ... 86
10. 육경(六經)과 육예(六藝)의 완성 ... 91
2부 서한 경학사
1. 박사(博士) 성격의 변천 ... 101
1) 박사 성립의 배경 및 그 기본 성격 ... 101
2) 박사 변천의 제2단계 및 그 성격 ... 108
3) 박사 변천의 제3단계 및 그 성격 ... 113
2. 서한 경학의 전승 ... 119
1) 『사기』의 「유림열전」과 『한서』의 「유림전」 ... 119
2) 『역』의 전승 및 그 전승 중의 문제 ... 122
(1) 한나라 초기 이전『역』의 단선적 전승 문제 ... 134
(2) 『역』을 말하려는 사람은 전하(田何)에 근본한다 및 전하ㆍ양하(楊何)의 문제 ... 135
(3) 사법(師法) 문제 ... 137
(4) 맹희(孟喜) 『역』과 초연수(焦延壽)ㆍ경방(京房)『역』의 전승 관계 문제 ... 141
(5) 비직(費直) 『역』의 문제 ... 147
3) 『서경』의 전승 및 그 전승 중의 문제 ... 154
(1) 『서경』은 복생(伏生) 이외에 전해진 판본이 있는가? ... 167
(2) 복생이 그 본래의 경(經)을 잃었다는 모함 ... 169
(3) 복생의 29편 중에 「태서」(泰誓)가 없다는 것 및 「태서」문제 ... 170
(4) 『서경』의 「서문」(序文) 문제 ... 174
(5) 『상서대전』(尙書大傳)의 문제 ... 180
(6) 『고문상서』(古文尙書)의 문제 ... 185
4) 『시경』의 전승 및 그 전승 중의 문제 ... 197
(1) 연나라의한생(韓生)은 한영(韓?)이다 ... 214
(2) 네 학파의 『시경』의 경문(經文) 및 권(卷)을 나눈 문제 ... 214
(3) 『모시』(毛詩)의 금문(今文)ㆍ고문(古文) 논쟁 및 그전승 문제 ... 221
(4) 『시경』의 「서문」문제 ... 224
(5) 모공(毛公)의 문제 ... 239
5) 『예』의 전승 및 그 전승 중의 문제 ... 241
(1) 『유림전』(儒林傳)은 유흠(劉歆)이 저술한 「주관」(周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246
(2) 『대대예기』(大戴禮記) 및 『소대예기』(小戴禮記)의 문제 ... 246
(3) 경학 중 예(禮)의 특별한 의의 ... 250
6) 『춘추』의 전승 및 그 전승 중의 문제 ... 251
(1) 한대『공양전』(公羊傳)의 전승 계통은 동중서(董仲舒)에서나왔고, 호무(胡毋)에서 나오지 않았다 ... 263
(2) 대굉(戴宏)이 전승하였다는 말은 거짓이다 ... 264
(3) 『곡량전』(穀梁傳) 및 그 관직을 세우게 된 복잡한 사정 ... 267
(4) 『좌씨전』(左氏傳) 및 그 전승 중의 문제 ... 271
7) 『논어』의 전승 ... 276
8) 『효경』의 전승 ... 281
9) 『한서』「유림전」을 둘러싸고 반영된 약간의 상황 ... 285
(1) 경학 전승의 의의 ... 285
(2) 박사 이외에 경술(經術)을 위하여 설치한 전문관리 ... 285
(3) 경학에 관직을 세우는 문제 ... 286
(4) 박사의 인원수 ... 287
(5) 교학(敎學)의 상황 ... 287
(6) 전문적 경(經)의 범위 문제 ... 289
(7) 제학(齊學)과 노학(魯學)의 문제 ... 290
10) 고문(古文)에서 고학(古學)까지 - 유흠(劉歆)의 「양태상박사서」(讓太常博士書) ... 292
3. 서한의 경학사상 ... 306
1) 한나라 초기의 경학사상 ... 306
(1) 육가(陸賈) ... 306
(2) 가의(賈誼) ... 310
(3)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빈객 ... 316
(4) 동중서(董仲舒) ... 319
(5) 사마천(司馬遷) ... 323
2) 한나라 중기 이후의 경학사상 ... 328
(1) 사회층면에서 정치방면으로의 진입 ... 328
(2) 경학이 정치방면에서 발전된 과정 ... 330
(3) 상소중에서 직접 제출한 경학 의의 ... 337
(4) 양웅(揚雄) 마음속의 경학 의의 ... 345
(5) 한대경학의 의의 회고 ... 352
부록 : 『춘추좌씨전』과 관련 있는 보충자료
1. 『춘추좌씨전』에 얽힌 몇 가지 문제의 정리 ... 355
2. 좌구명의 "역사로 경을 전해 준다."는 중대한 의의와 성취 ... 369
색인 ... 38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