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지은이의 말 ... ⅴ
1부 노래의 수사(秀史)
Ⅰ. 역사 시대를 넘어서 ... 3
1. '불함'의 바다를 향한 여정 ... 3
2. 수사의 표상 ... 39
1) 실과 같은 동화와 오줌바다 ... 39
2) 모자의 역사철학과 오리온좌의 만찬 ... 65
3) 도적맞은 데드마스크: 환국의...
더보기
목차 전체
지은이의 말 ... ⅴ
1부 노래의 수사(秀史)
Ⅰ. 역사 시대를 넘어서 ... 3
1. '불함'의 바다를 향한 여정 ... 3
2. 수사의 표상 ... 39
1) 실과 같은 동화와 오줌바다 ... 39
2) 모자의 역사철학과 오리온좌의 만찬 ... 65
3) 도적맞은 데드마스크: 환국의 면모 ... 72
4) 이상의 '비너스의 바다'와 육당의 불함 ... 80
3. 동북아 '슈농 비너스'의 탄생: 자궁의 얼굴 ... 95
1) 불함문화론의 의의와 한계 ... 95
2) 동북아 지역의 비너스: 하트얼굴의 여신과 풍요의 그릇 ... 103
3) 한국의 슈농 비너스: 뿔잔과 팽이그릇의 얼굴 ... 114
4) 이상의 비너스와 정육사탕 ... 143
4. 불함문화의 계보잇기 ... 147
Ⅱ. 육당의 '바다' 경전 ... 155
1. 김여제, 만만파파식적의 바다: 역사사상 투쟁의 옆길 ... 155
2. 계몽적 인식의 슬픔 ... 169
1) 모방적 근대성이란 평가 ... 169
2)〈소년시언〉의〈잡언 十〉: 계몽적 인식의 슬픔 ... 174
3. 육당의 탈역사적 자연주의: 바다와 구름의 일자적 전체성 ... 179
1) 자연과 역사의 대비법 ... 179
2) 계몽적 어조 ... 183
3) 바다의 경전 ... 187
4) 땅(대륙)의 역사 비판: 진시황과 나폴레옹의 역사시대 ... 192
5) 역사적 지평의 바깥: 창조적 물결과 새로운 리듬의 실험장 ... 205
6) 놀ㆍ축제ㆍ태백 ... 207
7) 근대주의적 잠: '나'를 깨우기 ... 214
Ⅲ. 노래의 수사에 대해: 축제와 방랑, 탈출의 문학사적 의미 ... 225
Ⅳ. 수사의 개념과 수사적 시사의 방향 ... 237
2부 노래의 영혼과 역사
Ⅰ. '국가' 바깥으로 나가기: 고대적 '나라'의 재발견 ... 253
Ⅱ. 신채호 시의 그릇과 칼: 종족적 계보의 울음소리 ... 269
1.〈천희당시화〉와 신국체시(新國體詩)의 주체성 ... 269
2. 풍속의 그릇인 민요 혁신과 근대적 시간 ... 274
3. '나라'의 차원으로 확장된 '나': '나'의 계보학 ... 280
4. 칼부름 노래와 주체적 자아 정립의 문제 ... 287
Ⅲ. 정지용의〈백록담〉: 꽃과 하늘호수의 '나라' ... 291
3부 김소월 시에서 꽃-나라-국가의 메나리 나라
Ⅰ.〈산유화가〉의 이상향적 상징 ... 305
1. 성황당의 집과 여자의 사당 ... 305
2. 여인의 향기 ... 318
3. 스승 김억과의 관계 ... 325
4.〈장별리〉와〈비〉의 낙차 ... 336
Ⅱ. 민요시학으로서의 '놀' ... 347
1.〈삭주구성〉의 민요가락 ... 347
2. 수심가의 전통과 사랑의 강렬도(여성주의 정신의 승리) ... 355
Ⅲ. 집의 우주론적 기호들 ... 365
Ⅳ.《해파리의 노래》의 병적 미학을 넘어서 ... 375
Ⅴ. 김소월의 이상향: 노래의 빛 ... 385
4부 무덤 속의 꿈하늘: 고분벽화 예술의 부활과 메나리 찾기
Ⅰ. 신채호의 '산유화': 역사 속의 꽃 ... 403
Ⅱ.〈불노리〉에서〈초혼〉까지:〈탄가〉의 계보 ... 407
Ⅲ. 괴기스런 웃음 ... 415
Ⅳ. 눈물의 왕과 쑥같이 쓴 삶 ... 421
Ⅴ. 김소월의〈무덤〉: 고대적 정신과의 영적 소통 ... 427
Ⅵ. 무덤 속 이상향의 르네상스 ... 437
Ⅶ. 소리만 남은 노래의 사연 ... 449
1.〈대수풀노래〉와〈옛날의 노래여〉 ... 449
2. 김억의 기나리 찾기 여행 ... 454
Ⅷ. 거룩한 넋의 메나리: 부루 종족의 표랑의 역사와 신화 ... 465
5부 노래의 새로운 양식 탐구와 새로운 신화의 형성
Ⅰ.《창조》파의 문제 제기 ... 479
1. 주요한의 '함께 부르는 노래' ... 479
2.〈불노리〉 비판과 '조선의 피'의 이상주의 ... 489
3. 도산 안창호의 이상주의와 김동인의 풍류적 낭만주의 ... 496
Ⅱ. 이광수의 '노래'에 대한 관점과 서사시조〈동명성왕〉 ... 515
6부〈산유화〉의 신성한 기원과 그 계승
Ⅰ. 노래의 역사와 신성한 기원 ... 533
Ⅱ.〈산유화가〉의 역사 ... 545
1. 백제의〈산유화가〉와 향랑의〈메나리꽃노래〉 ... 545
2. 최남선의〈산유화〉와〈꽃두고〉 ... 611
3. 산과 꽃의 우주론적 상징 ... 615
4. 도솔가와 애환가(愛桓歌): 고대의 산유화가 ... 622
5. 대관령 봄축제의 노래:〈영산홍〉 ... 640
Ⅲ. 김소월의〈산유화/해〉 ... 659
1. 약산(藥山)의 진달래꽃:〈진달래꽃〉〈약산동대가〉〈영변가〉의 산과 꽃 ... 659
2. 산과 사슴: 영혼의 높이 ... 681
3. 봄축제의 꽃노래 ... 702
7부 역사의 바닥과 변두리에 남은 신화들
Ⅰ. 성주푸리와 박넝쿨타령 ... 737
1. 백석이 찾아낸 김소월의 박(태양알) ... 737
2. 나라의 종적 기원: 태모신 제비의 알 ... 755
Ⅱ. 백석의 제사그릇: 종(種/宗)적 생명력의 그릇 ... 763
Ⅲ. 역사 전체의 회상과 진정한 나라의 기초 ... 773
1.〈북방에서〉와 유랑의 형식 ... 773
2. 백석의 유랑철학 ... 798
3.〈북방에서〉의 이야기 방식과 종적 역사의식 ... 802
4. 만주지역 소수종족의 태고 신화와 성주신앙 ... 814
참고문헌 ... 831
Abstract ... 839
찾아보기 ... 843
발간사 ... 85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