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론. 복잡계(複雜係)로서 식(食) ... 13
Ⅰ. 머리말 ... 13
Ⅱ. 근대 과학으로서의 영양학 ... 14
Ⅲ. 분석적 방법의 한계와 통합적 방법의 등장 ... 16
Ⅳ. 통합적 방법이 정서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 18
Ⅴ. 식(食)의 사상을 복잡계(複雜系)계에 따라 ... 20
Ⅵ. 식문화는 과학자...
더보기
목차 전체
서론. 복잡계(複雜係)로서 식(食) ... 13
Ⅰ. 머리말 ... 13
Ⅱ. 근대 과학으로서의 영양학 ... 14
Ⅲ. 분석적 방법의 한계와 통합적 방법의 등장 ... 16
Ⅳ. 통합적 방법이 정서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 18
Ⅴ. 식(食)의 사상을 복잡계(複雜系)계에 따라 ... 20
Ⅵ. 식문화는 과학자의 퇴직후 연구가 아니다 ... 22
Ⅶ. 복잡계로서의 식(食) ... 22
Ⅷ. 맺음말 ... 25
제1부 식(食)의 사상 ... 27
제1장 식문화사에 있어서의 사상 ... 29
Ⅰ. 식문화와 사상의 부적합 ... 29
Ⅱ. 의미체계로서의 식(食)의 문화-터부(금기) ... 30
Ⅲ. 질서의 표현으로서의 의미 ... 33
Ⅳ. 취향 또는 메시지 ... 36
Ⅳ. 욕망의 식문화 ... 38
제2장 서구 세계와 식(食)의 문명사 ... 43
Ⅰ. 식의 문명과 사회를 생각한다 ... 43
Ⅱ. 잉여와 결여의 문맥 - 자양과 기아 ... 44
Ⅲ. 단식(斷食)과 대식(大食) ... 45
Ⅳ. 미식(美食)과 절식(節食) ... 48
Ⅴ. 식(食)의 규범과 원리 ... 50
Ⅵ. 식사의 형태와 사회의 조성 ... 51
Ⅶ. 도식(?式)으로 정리 ... 52
제3장 중국의 식(食) 사상 ... 56
Ⅰ. 머리말 ... 56
Ⅱ. 유교와 식(食)의 사상 ... 57
Ⅲ. 불교와 식(食)의 사상 ... 63
Ⅳ. 도교와 식(食)의 사상 ... 67
Ⅴ. 서북방 식생활의 유입 ... 71
Ⅵ. 맺음말 ... 72
제4장 먹는 것의 인식론과 존재론 ... 75
Ⅰ. 철학에 있어서의 식(食) ... 75
Ⅱ. 통찰로서의 철학 ... 77
Ⅲ. '엿보기'로서의 철학 ... 78
Ⅳ. 식(食)의 쾌락, 그리고 파괴성과 배타성 ... 81
Ⅴ. 달리(Dali)가 제기한 문제 ... 82
Ⅵ. 지구의 패자(覇者) 인간의 과제 ... 83
제5장 식사에 있어서의 향락과 금욕의 사상 ... 85
Ⅰ. 향락형과 금욕형 ... 85
Ⅱ. 체형론에서의 접근 ... 87
Ⅲ. 종교적 금욕사상 ... 91
Ⅳ. 종교에서 과학으로 ... 92
[컬럼 기획] 식(食)의 사상 - 회화에서 생각되는 8가지 주제 ... 95
제2부 약식(藥食)의 사상 ... 117
제1장 약선(藥膳)과 의식동원(?食同源)의 유래 ... 119
Ⅰ. 중국요리의 두 가지 흐름 ... 119
Ⅱ. 약선이라는 것은 ... 121
Ⅲ. 중국의 고식양생서[古食養生書(藥膳書)] ... 121
Ⅳ. 의식동원(?食同源) ... 122
[컬럼] 중국의 개고기(食犬) ... 124
제2장 민간 의료 속의 음식 ... 129
Ⅰ. 머리말 ... 129
Ⅱ. 열(熱) / 냉(冷)의 민간 의료 ... 130
Ⅲ. 멕시코의 민간 의료 ... 131
Ⅳ. 페루ㆍ안데스의 음식물 분류 ... 135
Ⅴ. 아프가니스탄의 음식물 분류 ... 138
Ⅵ. 말레이시아의 민간 의료 ... 139
Ⅶ. 문명적 의학과 뜨거움 / 차가움으로 나뉜 민간 의학 ... 142
제3장 도교(道敎)와 식(食) ... 149
Ⅰ.「도교」라는 이미지 ... 149
Ⅱ. 본초(本草)와 도교 ... 150
Ⅲ.『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의 이야기 ... 150
Ⅳ. 의식부동원(?食不同源) ... 151
Ⅴ. 연구사(硏究士)의 나쁜 버릇 ... 152
Ⅵ. 문화 속의 사상(思想) ... 153
Ⅶ. 습관의 구분 ... 155
Ⅷ. 장소로부터 사람으로 ... 156
Ⅸ. 사람으로부터 식자재에 ... 157
Ⅹ. 식자재로부터 장소에 ... 159
XI. 이미지의 보설(補說) ... 161
제4장 식과 건강의 역사 ... 166
Ⅰ. 머리말 ... 166
Ⅱ. 식과 질병의 역학(疫學) ... 167
Ⅲ. 긴 항해와 괴혈병 ... 168
Ⅳ. 일본의 근대화와 각기(脚氣) ... 170
Ⅴ. 아메리카의 빈곤과 펠라그라 ... 173
Ⅵ. 건강은 누구의 책임인가? ... 175
Ⅶ. 개발도상국에서의 식과 건강의 양면성 ... 176
제3부 현대 영양학의 이론과 시점 ... 179
제1장 영양의 사상 ... 181
Ⅰ. 뇌를 망각한 영양학 ... 181
Ⅱ. 음식물과 약 ... 182
Ⅲ. 국가의 학문으로서의 의약학과 영양학 ... 186
Ⅳ. 문화를 포함한 영양학 ... 187
Ⅴ. 개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학 ... 190
제2장 식의 사상의 저류(低流) ... 193
Ⅰ. 머리말 ... 193
Ⅱ. 금욕의 목적이 과거와 현재는 다르다 ... 194
Ⅲ. 금욕주의는 일상성 속에 있다 ... 195
Ⅳ. 요소환원주의와 결정론에 의한 과오 ... 196
Ⅴ. 구조적 영양 사상 ... 199
Ⅵ. 식(食)과 질병의 관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201
Ⅶ. 실물 크기(life size)의 시점 ... 204
Ⅷ. 영양학의 구성요소와 패러다임 ... 205
Ⅸ. 맺음말 ... 208
제3장 현대 영양학의 이론 ... 211
Ⅰ. 사람은 왜 먹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일까? ... 211
Ⅱ. 근대 영양학의 성립 ... 212
Ⅲ. 근대 국가정책 중의 영양사상 ... 215
Ⅳ. 현대 영양학의 방향 ... 220
Ⅴ. 요소환원주의를 공격하다 ... 223
Ⅵ. 끝으로 ... 226
제4장 오우가이(鷗外)와 다카키 카네히르(高木兼寬) ... 228
Ⅰ. 머리말 ... 228
Ⅱ. 각기병원과 '각기씨름' ... 229
Ⅲ. 다카키(高木兼寬)와 각기 치료 ... 234
Ⅳ. 오우가이(鷗外)가 준비한 '영양학의 big bang' ... 237
Ⅴ. 끝으로 ... 241
제4부 미각기준/식행동의 형성과 변화 ... 243
제1장 아동의 발육과 식사관의 형성 ... 245
Ⅰ. 머리말 ... 245
Ⅱ. 아동의 식사관 형성에 어떤 생물학적 기반이 고려될 수 있을까? ... 247
Ⅲ. 모유 양육은 식사관 형성의 원점일까? ... 253
Ⅳ. 부모로부터 자식으로 식사관은 전승한다 ... 255
Ⅴ. 풍요로운 식생활이 아동의 마음과 몸을 좀먹고 있다 ... 256
Ⅵ. 새로운 식문화의 창조, 아동들의 미래를 위하여 ... 258
제2장 식행동 패턴의 형성 ... 260
섭식 행동의 진화 ... 261
Ⅰ. 아메바에서 살펴본 섭식 행동 ... 261
Ⅱ. 본능에 따른 섭식 행동 ... 263
Ⅲ. 우리들의 음식물(飮食物) 선택은 얼마만큼 본능적일까? ... 264
Ⅳ. 학습에 의존한 섭식 행동 ... 268
Ⅴ. 사람의 식물 섭취 행동의 특징 ... 269
식물(食物) 획득 형식의 진화와 발달 ... 270
Ⅰ. 식물 섭취 수단의 진화 ... 270
Ⅱ. 조리가공의 발달과 그 위치 매김 ... 271
Ⅲ. 인간의 치아 및 아래턱 퇴화의 배경 ... 271
인간에게 있어서 식행동 특징 ... 273
Ⅰ. 인간의 식물(食物) 획득 형태의 진화 ... 273
Ⅱ. 현대에 있어서 인간의 식행동 ... 275
제3장 생태학에서 본 음식 행동 ... 278
Ⅰ. 인류생태학의 발상 ... 278
Ⅱ. 기데라족과 그 특징 ... 279
Ⅲ. 데이터 수집 ... 281
Ⅳ. 분석의 요점 ... 282
Ⅴ. 음식과 영양소의 섭취 ... 285
Ⅵ. 개체 레벨에서의 적응 ... 290
Ⅶ. 개체군 레벨에서의 적응 ... 292
Ⅷ. 정리 ... 293
제4장 아이누 민족의 육식문화 ... 297
Ⅰ. 문제의 소재 ... 297
Ⅱ. 북동아시아의 육식 문화 ... 298
Ⅲ. 아이누 민족의 육식 문화 ... 303
Ⅳ. 비교사적 고찰 ... 308
제5부 식행동을 둘러싼 여러 가지 모습 ... 313
제1장 음식 금기의 암호해독 ... 315
Ⅰ. 기괴(奇怪)한 문화 장치 ... 315
Ⅱ. 원인은 종교일까 ... 316
Ⅲ. 기독교의 모순 ... 318
Ⅳ. 목적은 실리(室利)인가 ... 320
Ⅴ. 하리스의 문화유물론 ... 322
Ⅵ. 문화의 자의성(恣意性) ... 324
Ⅶ. 리치의 문화기호론(文化記?論) ... 324
Ⅷ. 경계(境界)상의 괴수들 ... 326
Ⅸ. 금기의 일반 이론 ... 327
제2장 도시화가 가져오는 식문화의 변화 ... 330
Ⅰ. 압축된 도시화 ... 330
Ⅱ. 도시화가 재촉하는 여성 해방 ... 332
Ⅲ.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가능케 하는 조건 ... 333
Ⅳ. 가정 조리문화의 해체와 조리예술 및 놀이로서의 조리 발생 ... 338
제3장 식생활의 변화와 구조 - 근대적인 식사 행동으로의 모색 ... 343
Ⅰ. 식행동과 생활 패턴 ... 343
Ⅱ. 세대 구조의 변화 ... 344
Ⅲ. 인생 80세의 생활 주기 ... 345
Ⅳ. 도시화와 식행동의 변동 ... 347
Ⅴ. 인구 이동과 식행동 ... 349
Ⅵ. 식사 행동을 규정하는 요인 ... 353
Ⅶ. 고령화 사회와 식행동 ... 360
Ⅷ. 2020년의 인구 구성 예측으로부터 ... 362
제4장 겸손의 미 - 근세 초기에 나타난 요리관(料理觀)의 전환 ... 364
Ⅰ. 호화보다는 겸양함을 ... 366
Ⅱ. 중세로부터의 전환 ... 368
Ⅲ. 요리책 출판 ... 370
Ⅳ. 담기와 용기 ... 371
Ⅴ. 취향은 실수한 것처럼 보이게 ... 373
제5장 문학에 나타난 조식파(粗食派)와 미식파(美食派) ... 375
Ⅰ. 모리 오우가이(森鷗外)『쇠고기 전골(牛鍋)』의 암시 ... 375
Ⅱ. 조식파, 인생파 - 사생활의 애수(哀愁) ... 378
Ⅲ. 미식파(美食派), 탐미파(耽美派) - 다니자키ㆍ쥰이치로(谷崎潤一?)와 오카모토ㆍ카노코(岡本かの子) ... 386
Ⅳ. 라오서(老舍)의 비유 -『구슬, 부서지다(玉, 碎ける)』 ... 388
후기/문맥과 수법(手法)의 '벽'을 넘어서 ... 395
초출 일람(初出一覽) ... 400
집필자 소개(오십음순) ... 404
역자의 말 ... 409
번역자 및 편집위원 ... 41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