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 1
제1부 북한 외교정책 분석틀과 변천방향
제2장 외교정책의 유형: 북한 외교정책의 이론적 분석틀 ... 7
1. 적대외교 ... 8
2. 협력외교 ... 11
3. 동맹외교 ... 14
4. 비동맹외교 ... 17
제3장 북한 외교정책의 국제적 환경: 국제 및 동북아질서의 변화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 1
제1부 북한 외교정책 분석틀과 변천방향
제2장 외교정책의 유형: 북한 외교정책의 이론적 분석틀 ... 7
1. 적대외교 ... 8
2. 협력외교 ... 11
3. 동맹외교 ... 14
4. 비동맹외교 ... 17
제3장 북한 외교정책의 국제적 환경: 국제 및 동북아질서의 변화 ... 21
1. 냉전: 경쟁과 대립의 양극체제 형성 ... 22
1) 냉전의 기원 ... 22
2) 아시아의 냉전 ... 24
3) 대량보복 전략과 평화공존 정책 ... 25
2. 데탕트: 공존적 경쟁의 다극체제 형성 ... 28
1) 데탕트 국제질서의 형성 ... 28
2) 중ㆍ소분쟁과 새로운 세계질서 ... 29
3. 신냉전과 탈냉전 ... 32
1) 신냉전: 냉전 종식의 서막 ... 32
2) 탈냉전: 공산진영의 와해 ... 33
4. 동북아 질서와 세력균형의 변화 ... 37
1) 동북아의 탈냉전: 불확실성과 유동성 ... 38
2) 동북아 질서의 균형과 불균형 ... 41
3) 동북아 다자안보의 가능성과 한계 ... 43
제4장 북한 외교정책의 결정요인과 결정ㆍ집행체계 ... 47
1. 북한 외교정책의 결정요인 ... 48
1) 국내정권의 안정화와 공고화 ... 48
2) 경제난 ... 56
2. 북한 외교정책의 결정 및 집행 체계 ... 64
1) 북한의 외교정책 결정체계 ... 64
2) 북한의 외교정책 집행체계 ... 66
3) 북한의 민간외교 추진 기구 ... 67
제5장 북한 외교정책의 기조와 방향 ... 71
1. 북한 외교정책의 기조와 목표 ... 71
1) 북한 외교정책의 이념 ... 72
2) 북한 외교정책의 이중성 ... 75
2. 북한 외교의 현황 ... 77
3. 북한 외교정책의 방향과 역사적 변천 ... 79
1) 북한 외교정책의 기본 방향 ... 80
2) 북한 외교정책의 변화 추이 ... 81
제2부 북한 외교정책의 이중성: 생존을 위한 전략적 선택
제6장 북한의 개방외교 ... 105
1. 북한의 대외경제관계: 무역 ... 107
1) 북한의 대외무역체계 ... 107
2) 북한의 대외무역 실적 ... 109
2. 제1차 개방정책: 합영법 ... 112
1) 합영법 제정 ... 113
2) 합영법에 의한 개방의 실패 ... 114
3. 제2차 개방정책: 나진ㆍ선봉 ... 115
1) 나진ㆍ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선정 ... 115
2) 개방관련 법령 정비 ... 116
4. 제3차 개방정책: 개혁과의 착종 시도 ... 118
1) 21세기의 '새로운 사고'와 '개건' ... 120
2) 북한의 체제회생 전략 ... 123
3) 7ㆍ1 경제관리개선조치 ... 126
4) 신의주 특별행정구 지정 ... 131
5. 북한 개방정책의 평가와 전망 ... 134
1) 중국 모델, 아니면 베트남 모델? ... 136
2) 북한식의 개방정책 ... 138
제7장 북한의 벼랑끝 외교 ... 141
1. 핵 활용 벼랑끝 외교의 기원 ... 141
2. 제1차 핵위기: 핵개발 의혹 카드 ... 145
1) 미국의 채찍과 당근 ... 145
2) IAEA 사찰을 둘러 싼 갈등 ... 147
3) 제네바 합의 ... 148
3. 제2차 핵위기: 핵무기 보유와 핵실험 카드 ... 149
1) 제2차 핵위기 등장 배경과 과정 ... 149
2) 북한핵 해결을 위한 다자적 접근: 6자회담의 개최 ... 153
3) 6자회담의 전개과정 ... 155
4) 잠정합의: 9ㆍ19, 2ㆍ13, 10ㆍ3 ... 159
5) 북한의 핵실험과 안보리 제재 ... 176
4. 미사일 ... 182
1) 북한의 미사일 개발 실태 및 발사 시험 ... 183
2) 미사일 발사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상과 제재 ... 187
제3부 핵심국가들과의 관계
제8장 남한과의 관계 ... 197
1. 남북한 관계의 정립 ... 197
1) 냉전시대 ... 198
2) 탈냉전시대 ... 201
2. 남북한 관계의 발전 ... 202
1) 남북한 고위급회담과 기본합의서 체결 ... 202
2) 남북한 화해ㆍ협력관계 모색 ... 204
3. 남북한 관계의 제도화 ... 206
1) 남북한 정상회담 개최 ... 206
2) 정상회담 이후 남북한 관계의 전방위화 ... 208
3) 남북한 관계의 심화와 확대 ... 211
4) 교역 및 지원규모의 확대 ... 217
4. 남북한 관계의 퇴보 ... 223
1) 이명박 정부의 등장과 북한의 기본적 불신 ... 223
2) 남북한 갈등의 심화 ... 226
3) 남북한 관계의 반전과 교착 ... 231
4) 김정은 체제의 출범에 따른 새로운 관계 설정 ... 237
제9장 중국과의 관계 ... 241
1. 북ㆍ중 관계의 기원 ... 241
1) 한국전쟁과 북한의 친중 외교 ... 241
2) 중국과 소련에 대한 시계추 외교 ... 243
2. 냉전 종식 이후 북ㆍ중관계의 변화 ... 245
1) 국제환경 변화에 따른 북ㆍ중관계의 새로운 설정 ... 245
2) 김일성 사망 이후 북ㆍ중관계 ... 247
3. 북핵문제와 중국의 패권적 위상 ... 251
1) 제2차 북핵위기와 북ㆍ중관계 ... 252
2) 제2차 핵실험 이후의 북ㆍ중관계 ... 256
4.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 260
1) 북한과 중국의 교역 추이 ... 260
2) 중국의 대북지원, 경제교류 및 투자 ... 262
제10장 미국과의 관계 ... 271
1. 냉전시대 북ㆍ미관계의 기본 설정 ... 271
1) 대미 적대감의 형성 ... 272
2) 데탕트와 대미접근외교 ... 273
3) 신냉전과 대미 적대감 강화 ... 277
4) 테러지원국 지정과 관계개선 회담 ... 279
2. 탈냉전시대 북한의 대미 벼랑끝 외교: 제1차 핵위기 ... 281
1) 북한 핵문제의 등장 배경 ... 281
2) NPT 탈퇴와 대미협상 모색 ... 283
3) 대미 평화 제의 ... 285
4) 금창리 핵의혹 시설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 287
3. 개방에서 벼랑으로: 제2차 핵위기 ... 288
1)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대미외교 ... 288
2) 부시 정권과 북ㆍ미 대립관계 ... 290
3) 테러와 북ㆍ미관계 ... 294
4. 북ㆍ미관계의 이중성: 대화와 대결의 복합적 전개 ... 296
1) 제2기 부시 행정부와 북ㆍ미관계 ... 297
2) 북핵 해결 과정에서의 북ㆍ미 협상과 갈등 ... 299
3) 테러지원국 제외를 위한 대미외교 ... 302
5. 오바마 정부의 탄생과 북ㆍ미관계 ... 307
1) 오바마 정부에 대한 북한의 기대와 시험 ... 307
2) 오바마 정부의 핵정책 ... 309
3) 북한의 오바마 정부에 대한 협상과 도전 ... 312
6. 미국의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완화 및 경제지원 ... 314
1) 미국의 대북한 제재 ... 314
2) 미국의 대북 제재 완화 ... 318
3) 미국의 대북 경제지원 ... 320
제11장 러시아와의 관계 ... 323
1. 소련에의 의존외교에서 자주외교로의 선회 ... 324
1) 한국전쟁과 대소련외교 ... 324
2) 자주노선과 대소련관계 ... 325
2. 냉전 종식 이후 북한ㆍ러시아관계 ... 327
1) 대러시아 동맹관계 중단 ... 328
2) 새로운 북ㆍ러관계 정립 ... 330
3. '잃어버린 10년' 회복과 협력관계 강화 ... 331
1) 상호 방문에 의한 정상외교 ... 331
2) 실리외교의 발전과 확대 ... 334
3) 다방면적 협력관계의 모색 ... 337
제12장 일본과의 관계 ... 345
1. 북한의 대일본 관계개선 모색 ... 345
1) 북한의 대일 접근의 기원 ... 345
2) 냉전종식과 북ㆍ일 관계정상화 추진 ... 349
3) 북핵문제와 수교회담 ... 352
4) 북한의 미사일과 북ㆍ일 갈등 ... 354
2. 북한의 전방위 외교와 북ㆍ일관계 ... 356
1) 전방위 외교의 역방향으로의 북ㆍ일관계 ... 356
2) 북ㆍ일관계의 진전과 정상회담 개최 ... 358
3. 북한의 제2차 핵위기와 북ㆍ일관계 ... 361
1) 북ㆍ일 갈등관계의 조성 ... 361
2) 제2차 북ㆍ일 정상회담 ... 362
3) 2ㆍ13 합의와 북ㆍ일관계의 악화 ... 364
4) 10ㆍ3 합의에 따른 국교정상화 회의와 지속되는 대립 ... 368
제4부 주변세력들과의 관계
제13장 유럽과의 관계 ... 377
1. 북한ㆍ유럽의 관계개선을 위한 접촉 ... 377
1) 대유럽관계의 기원 ... 377
2) 북한ㆍ유럽관계의 본격화 ... 378
2. 유럽 및 서방국들과의 관계정상화 ... 380
1) 유럽국가들과의 수교 행진 ... 380
2) 북한ㆍEU의 수교 ... 384
3) 기타 서방국들과의 수교 ... 385
3. 북한과 EU의 교류와 협력 ... 386
1) 북한과 EU의 정치대화 ... 387
2) EU의 대북지원 ... 388
3) 북한-EU의 경제관계 ... 391
제14장 제3세계와의 관계 ... 395
1. 비동맹ㆍ제3세계 외교 ... 395
1) 냉전시대의 비동맹외교 ... 396
2) 탈냉전시대 비동맹외교의 변화 ... 397
2. 아시아ㆍ중동국과의 관계 발전 모색 ... 401
1) 남방외교: 대아시아 외교 추진 ... 401
2) 대중동 외교 ... 409
3. 아프리카와 중남미 국가들과의 관계 ... 414
1)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 414
2) 중남미 국가들과의 관계 ... 415
제15장 국제기구 외교 ... 419
1. 대유엔외교 ... 419
1) 적대적 부인정책에서 참여정책으로의 전환 ... 419
2)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과 회원국으로서의 활동 ... 419
2. 유엔 산하기구 및 기타 국제기구와의 관계 ... 425
1) 북한의 유엔 기구 참여 ... 425
2) 유엔의 대북지원 ... 426
3) 기타 국제기구의 대북지원 ... 431
제16장 결론 ... 435
부록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10ㆍ4 정상회단 공동선언, 2007년 10월 4일) ... 453
9ㆍ19 공동성명(2005년 9월 19일) ... 455
2ㆍ13 합의(9ㆍ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 조치, 2007년 2월 13일) ... 457
10ㆍ3 합의(9ㆍ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제2단계 조치, 2007년 10월 3일) ... 459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 전문(2006년 7월 15일) ... 461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 전문(2006년 10월 14일) ... 463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 전문(2009년 6월 12일) ... 466
참고문헌 ... 471
찾아보기 ... 481
사항 색인 ... 481
인명 색인 ... 493
저자 소개 ... 49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