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한국사상과 한자문화권
제1장 한자문화권과 동양학
1. 철학과 과학, 그리고 경학 = 9
2. 한자문화권의 형성 = 14
제2장 동아시아사상과 유불도 삼교
1. 동아시아사상의 발전 = 17
2. 한ㆍ중ㆍ일의 유ㆍ불ㆍ도 삼교 = 18
3. 한국사상으로 다가오기 = 23
제2부 한국사상의 원류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한국사상과 한자문화권
제1장 한자문화권과 동양학
1. 철학과 과학, 그리고 경학 = 9
2. 한자문화권의 형성 = 14
제2장 동아시아사상과 유불도 삼교
1. 동아시아사상의 발전 = 17
2. 한ㆍ중ㆍ일의 유ㆍ불ㆍ도 삼교 = 18
3. 한국사상으로 다가오기 = 23
제2부 한국사상의 원류
제1장 군자국의 전통과 동아문화의 특성 = 33
제2장 단군신화에 나타난 사상의 특성
1. 단군 신화 해석 = 38
2. 홍익인간과 천인일체ㆍ천지인의 원융 = 49
3. 선인왕검 단군의 계승자, 기자ㆍ해모수ㆍ동명ㆍ혁거세 = 56
제3장 풍류도의 사상적 특성과 시대적 변천
1. 풍류도의 사상적 특성과 유불도 = 60
2. 고구려 조의선인과 사무 = 64
3. 신라의 화랑국선과 세속오계 = 66
4. 고려의 선랑 선가와 팔관회 = 68
5. 조선시대의 선인 단군 = 70
제3부 문자의 사용과 유ㆍ불ㆍ도 삼교의 활용
제1장 한자의 사용과 학문의 발전
1. 문자사용과 중국문화의 전래 = 77
2. 고대국가의 발전과 관학의 정비 = 80
제2장 삼국의 역학사상과 음양오행설
1. 한국 고대 문화와 역학 = 84
2. 고구려 = 90
3. 백제 = 98
4. 신라 = 103
제3장 고구려의 학문과 사상
1. 태학과 경당의 경전교육 = 110
2. 통치이념과 유교관료 = 112
3. 고구려인의 화복관 = 118
제4장 백제의 학문과 사상
1. 백제 경학의 전개 = 122
2. 6좌평과 육전 = 127
3. 생활과 예제 = 128
제5장 신라의 학문과 사상
1. 왕호 사용과 안민의 통치 = 132
2. 충효신의 윤리 = 134
3. 국학의 정비와 대당유학생 = 139
4. 신문왕의 예제사회 구현 = 141
제6장 신라의 석학과 그의 사상
1. 김유신의 생애와 사상 = 146
1) 7세기 신라의 사상 = 148
2) 김유신의 가계와 수학활동 = 152
3) 충효의 실현과 의리의 실천 = 158
4) 음양관 = 161
5) 신비주의의 극복 = 162
2. 인간인 강수의 사장학과 사상 = 165
1) 유도를 실천한 진유 = 165
2) 유술로 통일에 기여한 사장유 = 167
3. 설총의 유교경전 훈해 = 170
1) 한국 경학의 효시 = 173
2) 국학의 정비와 경전 교육 = 176
3) 군자상의 확립 = 178
4. 최치원의 상교융화 = 183
1) 유학의 습득과 유술의 실천 = 183
2) 유도를 추구한 진유 = 185
3) 삼교회동의 통유 = 187
4) 민족사상을 천명한 동유 = 188
제7장 발해의 학문과 사상
1. 발해연구와 당의 사상 = 190
2. 발해의 정치와 유학 = 193
3. 주자감과 경전교육 = 198
4. 발해인의 생활과 유학 = 203
제4부 한국고대사상의 특성과 한계
제1장 고대의 선인, 무와 유교의 사 = 209
제2장 유사와 불승의 공존 = 213
제3장 동인의식과 삼교의 원융 = 21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