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5
제1장 온라인 선거운동으로 민주주의가 바뀔 수 있을까
제1절 온라인 선거운동과 참여 이론 = 19
1. 온라인 정치참여는 왜 등장했는가 = 19
2. 왜 참여하는가 = 23
3. 어떤 기준으로 온라인 정치참여를 분석하는가 = 26
제2절 온라인 정치참여 유형 = 38
1. 정보제공형 참여 = 42...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5
제1장 온라인 선거운동으로 민주주의가 바뀔 수 있을까
제1절 온라인 선거운동과 참여 이론 = 19
1. 온라인 정치참여는 왜 등장했는가 = 19
2. 왜 참여하는가 = 23
3. 어떤 기준으로 온라인 정치참여를 분석하는가 = 26
제2절 온라인 정치참여 유형 = 38
1. 정보제공형 참여 = 42
2. 대화형 참여 = 46
3. 결집형 참여 = 49
4. 의견제시형 참여 = 51
5. 기타 참여 유형 = 52
제2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미디어의 전환
제1절 이론틀 : 미디어 효과론 = 57
1. 변화 가설 = 59
2. 정상화 가설 = 61
제2절 미디어 선거운동 = 66
1. 미디어 이용환경과 특징 = 66
2. 후보자의 능동적인 정보제공 = 78
3. 정당의 정보제공 = 107
제3절 미디어 전환의 특징과 쟁점 = 113
1. 미디어별 특성 반영 = 113
2. 쌍방향성과 대화 활성화 = 116
3. 전략적 미디어 이용 = 117
4. 적극적 대응 = 119
제3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행위자의 전환
제1절 이론틀 : 네트워크론과 사회자본론 = 125
1. 네트워크론 = 125
2. 사회자본론 = 137
제2절 다양한 행위자의 온라인 선거운동 = 144
1. 네트워크 시민 = 144
2. 온라인 커뮤니티 = 154
3. 정치인 팬클럽 = 159
제3절 행위자 전환의 특징과 쟁점 = 172
1. 신뢰ㆍ평판의 위력과 집단 극화 = 172
2. 집단 지성 공중의 출현 = 175
3. 대안 결사체의 활성화 = 176
제4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의제의 전환
제1절 이론틀 : 역의제설정이론 = 181
1. 의제설정이론 = 181
2. 역의제설정이론 = 185
제2절 선거에서의 역의제설정 = 188
1. 정치 팟캐스트와 표현의 민주화 = 188
2. 동영상 의제 생산 : 소셜 TV와 유튜브 = 198
3. 온라인 토론을 통한 의제 형성 = 200
4. 낙천낙선운동 = 204
5. 투표 독려와 인증샷 캠페인 = 224
제3절 의제 전환의 특징과 쟁점 = 231
1. 민주적 의제설정의 위력 = 231
2. 정치의 문화적 소비와 감성 정치 = 233
제5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제도의 전환
제1절 미디어별 규제 = 239
1. 홈페이지와 이메일 규제(2000년) = 239
2. 인터넷 언론 규제(2004년) = 244
3. UCC와 정치광고 규제(2007년, 제17대 대선) = 245
4. 문자메시지 규제 = 250
5. 온라인 여론조사 규제 = 250
6. 트위터 규제(2010년) = 251
7. 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완화 = 261
제2절 온라인 선거운동 규제의 특징과 쟁점 = 268
1. 목적, 대상, 범위, 기간, 내용 = 268
2. 개선 방향 = 272
제6장 결론 : 온라인 선거운동과 민주주의의 전환
참고문헌 = 28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