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제1부
제1장 근대계몽기 ''국민'' 담론과 ''문명국가''의 상상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 13
1. 문제 설정 = 13
2. 위기의 시대, 독립 국가의 길 = 17
3. 국가유기체론과 애국심의 ''자연화'' = 23
4. ''국민'' 교육과 ''국민''의 언어 = 30
5. 마무리...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제1부
제1장 근대계몽기 ''국민'' 담론과 ''문명국가''의 상상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 13
1. 문제 설정 = 13
2. 위기의 시대, 독립 국가의 길 = 17
3. 국가유기체론과 애국심의 ''자연화'' = 23
4. ''국민'' 교육과 ''국민''의 언어 = 30
5. 마무리 = 34
제2장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의 문명화와 조선의 길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 37
1. 소용돌이 속에서 = 37
2. ''일본''이라는 거울 = 40
3.『독립신문』이 그린 메이지유신 이후의 일본상 = 47
4. ''일본 개화의 기초''와 조선의 길 = 55
5. 마무리 - 깨진 거울 속의 조선 = 62
제3장 ''국어''의 독립과 국가의 독립 -『독립신문』의 국문론 = 67
1. 왜 ''띄어쓰기''인가 = 67
2. ''야만의 언어''에서 ''문명의 언어''로 = 71
3. 표음문자=문명, 표의문자=야만이라는 인식 = 74
4. ''국문''의 정립과 문법의 통일 = 78
5. 마무리 = 82
제2부
제4장 ''일청전쟁''이라는 재난과 문명세계의 꿈 -『혈의 누』를 다시 읽는다 = 87
1. 프롤로그 = 87
2. ''일청전쟁''의 포화 속에서 = 91
3. 누가, 무엇이 재난을 초래했는가 = 96
4. 예기치 않은 여행 또는 ''용궁의 꿈'' = 101
5. 에필로그 = 107
제5장 시인의 번역과 소설가의 번역 - 김억과 염상섭의「밀회」번역을 중심으로 = 111
1. 1908년 동경의 하숙방 풍경 = 111
2. 후타바테이 시메이의 투르게네프 번역 = 117
3.『사냥꾼의 수기』와「밀회」 = 124
4. 김억의「밀회」와 염상섭의「밀회」 = 130
5. 마무리 = 140
제6장 청량리 또는 ''교외''와 ''변두리''의 심상 공간 - 한국 근대문학이 재현한 동대문 밖과 청량리 근처 = 143
1.『무정』ㆍ영채=계월향ㆍ청량사 = 143
2. 청량리, 전차가 발견한 ''경성''의 교외 = 147
3. ''야외 산보''의 미학과 그 이면 = 154
4. 청량리역과 그 근처, ''출발점/종착점''의 상상 = 161
5. 청량리''라는 텍스트를 다시 읽기 위하여 = 167
제3부
제7장 ''국민문학''과 새로운 ''국민''의 상상 - 조선문인협회 현상소설 입선작「연락선」과「형제」를 중심으로 = 173
1. ''국민 신화''의 파국과 ''불의의 별리'' = 173
2.『국민문학』의 ''국민문학'' 구상과 실천 = 179
3. ''내지'' 또는 ''국민화=신민화''의 체험/학습 공간 = 184
4. ''국민'', ''피''로 맺어진 형제? = 192
5. 마무리 = 199
제8장 국민학교, ''황국신민''의 제작 공간 - 이이다 아키라의『반도의 아이들』을 중심으로 = 203
1. 문제 설정 = 203
2. 재조일본인 교사 이이다 아키라의 국가관과 교육관 = 207
3.『반도의 아이들』개관 = 211
4. 교사, ''천황=일본정신''의 대리인 = 216
5. ''국어''와 ''국민'' 그리고 구별짓기 = 223
6. 마무리 - ''하나의 국민''이라는 환상의 상흔 = 232
제9장 어느 법화경 행자의 꿈 - 일제 말기 춘원 이광수의 글쓰기에 나타난 개인과 국가 = 237
1. 문제 설정 = 237
2. 춘원과『법화경』 = 240
3. ''八紘一宇'' 또는 극락세계의 현실적 비전 = 246
4. 행자의 길, ''국민''에 이르는 길 = 251
5. 맺음말 = 259
제4부
제10장 해방 공간, 전단지의 수사학 = 303
1. ''8ㆍ15''의 빛과 그늘 = 303
2. 전단지라는 미디어 = 309
3. 갈등과 대립의 언어 또는 ''삐라''의 수사학 = 317
4. 전단지, ''불길한 아우성''의 의미 = 324
제11장 삐라, 매체에 맞서는 매체 - 해방 직후 소설을 통해 본 삐라의 정치학 = 329
1. 문제 설정 = 329
2. ''삐라 정치'' 시대 = 335
3. ''삐라 학습''과 의식의 변화 - ''진보적 민주주의자''의 경우 = 342
4. 삐라를 통한 정치적 각성 - ''민족주의자''의 경우 = 348
5. 마무리 = 353
제12장 기념관에 갇힌 장소와 기억 - ''4ㆍ3평화기념관''과 기억의 정치학 = 355
1. ''4ㆍ3사건''의 현장에서 = 355
2. ''4ㆍ3평화기념관''과 기억의 재현 = 360
3. 기념관과 기억의 상품화, 기억의 공동화 = 366
4. 내부식민지의 기억과 국민국가의 서사 = 371
5. 국민의 역사로 회수되지 않는/못하는 기억들을 위하여 = 376
간행사 = 37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