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방언 사용권은 인간의 ''기본권'' = 5
일러두기 = 10
1부 방언의 등장
1장 조선시대의 방언 - 처엄 들을 적은 귀에 서더니 오래 들으니 닉어가더라 = 15
2장 근대의 계몽운동과 방언 - 영남 말씨는 강직하고 호남 말씨는 내교가 많다 = 30
2부 표준어의 대두
3장 조선총독부,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하다 - 힘써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방언 사용권은 인간의 ''기본권'' = 5
일러두기 = 10
1부 방언의 등장
1장 조선시대의 방언 - 처엄 들을 적은 귀에 서더니 오래 들으니 닉어가더라 = 15
2장 근대의 계몽운동과 방언 - 영남 말씨는 강직하고 호남 말씨는 내교가 많다 = 30
2부 표준어의 대두
3장 조선총독부,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하다 - 힘써 야비한 사투리를 쓰지 말지어다 = 55
4장 조선어학회, 표준어 단어를 정하다 -『표준말 모음』, 우리말을 바로 쓰는데 없어서는 안 될 책 = 70
3부 표준어와 방언의 대결
5장 근대 어문 운동의 두 방향 - 문자보급 VS 방언채집 = 89
6장 근대 문학 속의 방언 - 언어통일 VS 지방색 = 109
7장 광복 후 대중문화계의 큰 별들 - 표준어파 VS 사투리파 = 125
4부 표준어의 석권, 방언의 눈물
8장 근대화의 희생양 ''사투리'' - 언어에 섞인 ''잡스러운 것''을 떼어버리고 = 145
9장 심판대에 선 방언 - 사투리 강한 인사, 사회 못 맡아 = 160
10장 법정에 선 표준어 - 사투리 쓰는 사람은 교양 없는 사람? = 173
5부 방언의 희망
11장 TV 속의 방언 - 괜찮아유 = 193
12장 영화 속의 사투리 열풍 - 니가 거시기혀야 쓰겄다 = 214
13장 사투리 쓰는 사람들 - 야야, 봉숙아 = 230
맺음말 : 전통 방언의 소멸 속도 늦추기 = 254
참고문헌 = 257
찾아보기 = 263
사진출처 = 27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