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프롤로그 : 그들은 왜 중용에 열광했을까 = 4
1 성리학의 시대가 열리다 = 23
중용을 사랑한 사람들 = 27
태종 이방원,『중용』에 주목하다 = 28
『중용』전문가들의 등장 = 29
불교와의 이념적 갈등 = 32
세조, 신하들에게『중용』을 가르치다 = 34
왕이『중용』을 공부하는 법 = 37
...
더보기
목차 전체
프롤로그 : 그들은 왜 중용에 열광했을까 = 4
1 성리학의 시대가 열리다 = 23
중용을 사랑한 사람들 = 27
태종 이방원,『중용』에 주목하다 = 28
『중용』전문가들의 등장 = 29
불교와의 이념적 갈등 = 32
세조, 신하들에게『중용』을 가르치다 = 34
왕이『중용』을 공부하는 법 = 37
제왕학의 필수 교재 = 39
15세기, 중용 바람이 불다 = 43
왕의 유언이나 법보다 더 중요한 책 = 44
성종, 늦은 밤까지『중용』을 공부하다 = 45
경연장의 뜨거운 토론 주제 = 49
젊은 성리학자들의 과격한 주장 = 52
성종의 경연장과 연산군의 경연장 = 55
중용을 해석하는 양대 정치세력의 관점 = 59
신진사류를 기용한 중종의 의도 = 60
자신의 이익이 중요한 훈구세력 = 65
조광조, 왕에게『중용』공부를 강조하다 = 71
2 중용은 조선을 어떻게 바꾸었나 = 75
타오르는 형이상학의 거센 불길 = 79
나 한 사람의 도덕성이 세상을 바꾸는 힘 = 80
인간은 왜 도덕적으로 타락하는가 = 87
이황과 이이, 누구를 따를 것인가 = 89
형이상학의 한계를 절감하고 예학에서 희망을 찾다 = 91
조선식 마녀재판 = 98
송시열과 윤휴의 극단적인 대립 = 99
노론과 소론의 탄생 = 104
시대를 앞선 ''사문난적'' 박세당 = 108
정제두의 탈성리학적 시선 = 112
당파싸움을 활용한 숙종의 정치력 = 113
영조와 정조, 스승이 되고자 한 왕 = 116
영조, 신하들에게『중용』을 가르치다 = 117
정조의 현실적인 고뇌 = 120
정조, ''철부지'' 유생들을 꾸짖다 = 123
정조와 큰선비들의 토론 = 125
3 중용은 어떤 책인가 = 130
가려진 중용의 역사 = 132
불교와 도교에 맞서기 위해 탄생한 책 = 133
3세기 한나라 때부터 애독서였다 = 135
인기 높았던 역대의 중용 해설서 = 140
조선 선비들에게 신이 된 주희 = 145
불완전하고 열린 텍스트 = 148
장유의 세 가지 의문 = 150
윤증과 김유의 질문과 대답 = 154
김창협이 분석한『중용』의 모순 = 157
이덕무, 주희의 오류를 폭로하다 = 160
홍대용이 지적한『중용』의 다섯 가지 문제점 = 163
중용에서 답을 찾다 = 169
정치란 무엇인가 = 170
어떻게 선한 마음을 보존할 수 있는가 = 174
가톨릭의 도전에 직면하여, 귀신의 정체를 탐구하다 = 177
4 경전의 권위를 넘어선 독자적인 해석 = 183
윤휴의 새로운 중용 편집 = 186
윤휴는 왜,『중용』에 손을 댔을까 = 187
신비한 책이 아니라 한 권의 실용서일 뿐 = 189
진짜 ''이단''은 형이상학적 담론에 빠진 성리학자들 = 192
주희의『중용』보다 세련되고 체계적 = 194
새로운 구성과 독자적인 해설 = 197
이익과 정약용에게 미친 영향 = 202
이익의 비판적 접근 = 205
학문의 자유를 위한 치열한 싸움 = 207
『중용』의 역사를 다시 쓰다 = 211
4대를 제사 지내는 풍습은 타당한가 = 214
실증적인 연구 방법으로 얻은 결실 = 217
도를 닦는다고 말하면서 도에서 멀어지는 이유 = 218
정약용의 친시(親試) 답안지 = 221
『중용』에 관한 논술 시험 = 224
출제자 정조의 출제 의도 = 225
정약용의 혼란과 갈등 = 227
문제와 답안 = 229
정조와 정약용의 시각 차이 = 232
5 중용의 본질에 한 걸음 더 = 234
조익의 중용 개론 = 237
여섯 가지 주제를 가려 뽑다 = 238
총설과 용어 해설 = 244
"불변의 이치와 도리를 담은 책" = 246
양명학자 정제두의 심층 분석 = 250
중용에 이르는 길은 마음에 있다 = 251
아홉 가지 근거 자료 = 253
"무엇을 하건 마음에 다짐하지 마라" = 257
정조의 어전에서 벌어진 진검승부 = 265
성리학에 능통한 시골 유생들을 발굴하다 = 267
스타가 된 무명의 선비 박사철 = 269
정조가 기대한『중용』의 역할 = 273
정조의 문화투쟁 = 274
에필로그 : 21세기 중용의 새로운 해석을 위하여 = 280
참고문헌 = 29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