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권호명 : 3
서문 = ⅲ
프롤로그 - 자화상과 시대정신 = ⅶ
제1장 탐구주제로서 질적 글쓰기
1. 질적연구에서 글쓰기 연구의 최근 동향 = 3
2. 양적 글쓰기의 문제점 = 7
3. 질적연구에 적합한 글쓰기에 대한 탐구 = 13
4. 탈장르적 글쓰기 = 16
5. 포스트모더니즘적 글쓰기 = 19
6. 맺음말 ...
더보기
목차 전체
권호명 : 3
서문 = ⅲ
프롤로그 - 자화상과 시대정신 = ⅶ
제1장 탐구주제로서 질적 글쓰기
1. 질적연구에서 글쓰기 연구의 최근 동향 = 3
2. 양적 글쓰기의 문제점 = 7
3. 질적연구에 적합한 글쓰기에 대한 탐구 = 13
4. 탈장르적 글쓰기 = 16
5. 포스트모더니즘적 글쓰기 = 19
6. 맺음말 = 20
7. 참고문헌 = 21
질적연구 글쓰기 워크숍 1 : 이미지와 Crossover = 25
제2장 질적연구 글쓰기 훈련 1: 구미의 경우
1. 미국에서의 교육학 분야 연구방법론 훈련 과정 = 50
2. 질적연구 방법론 훈련 문화의 세 가지 형태 = 54
3. 캐나다에서의 연구방법론 훈련 과정 = 65
4. 참고문헌 = 70
제3장 질적연구 글쓰기 훈련 2: 우리나라의 경우
1. 양적연구자의 저항 = 72
2. 질적 글쓰기 작업의 어려움: 예기치 않은 역습 = 78
3. 희망의 조각들: 국내 대학들의 질적연구 훈련 사례 = 80
4. 우리나라에서의 질적연구 글쓰기 작업의 지도 방식 = 90
5. 맺음말 = 96
6. 참고문헌 = 97
제4장 논문과 학술적 글쓰기 방법: APA writing style
1. APA 양식과 지침서의 구조 = 100
2. 논문작성 = 104
3. 효과적인 글쓰기 방법 = 108
4. APA 편집양식 = 111
5. 참고문헌 목록 = 118
6. 맺음말 = 119
7. 참고문헌 = 120
제5장 교육학 분야 학술적 글쓰기 교본: AERA Proposal Guideline
1. 연구문제의 공식화 = 126
2. 연구 설계와 논리 = 127
3. 자료의 출처 = 129
4. 측정과 분류 = 131
5. 분석과 해석 = 132
6. 일반화 = 136
7. 기술의 윤리 = 138
8. 제목, 초록, 표제 = 139
9. 참고문헌 = 140
제6장 사회학자로서 좋은 글을 쓰는 방법: Howard Becker의 조언
1. 글쓰기 시작 단계에서의 지침 = 143
2. 글을 쓰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지침 = 147
3. 퇴고와 편집 단계에서 참고할 수 있는 지침 = 158
4. 참고문헌 = 163
제7장 학위 논문을 위한 질적연구 계획서 쓰기
1. 일반적인 양식에 기초한 계획서 쓰기 = 167
2. 일반적인 질적연구 계획서 양식 = 169
3. 질적연구 계획서 쓰기 전략 = 170
4. 참고문헌 = 212
제8장 질적연구 계획서의 예
1. 좋은 연구 계획서의 예 1: 건강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 216
2. 좋은 연구 계획서의 예 2: 중학교 교실 개혁 딜레마에 관한 연구 = 219
3. 좋은 연구 계획서의 예 3: 창의적 연극에 대한 연구 = 222
4. 좋은 연구 계획서의 예 4: 멕시코계 미국인 학생들에 대한 연구 = 227
5. 참고문헌 = 242
질적연구 글쓰기 워크숍 2 : 전쟁 = 243
제9장 사실적 글쓰기
1. 사실적 글쓰기의 개념과 특징 = 264
2. 사실적 글쓰기의 대표 작품 = 265
(1) 모자 쓴 헤리, 일곱 시에 퇴근하는 조지, 스스로 프레드, 절대 외근하지 않는 영원한 불꽃 에드워드 = 266
(2) 레즈비언 카페 = 270
(3) Tootle: 학교 교육과 운명의 우화 = 283
(4) 네 학교 이야기 = 291
(5) 한 여름밤의 꿈 = 299
3. 참고문헌 = 305
제10장 현장작업적 글쓰기
1. 현장작업적 글쓰기의 개념과 특징 = 308
2. 현장작업적 글쓰기의 대표 작품 = 310
(1) Shostak의『Nisa』 = 310
(2) Gottlieb의 ''Choosing a Host'' = 317
(3) Anderson의 ''Jelly''s Place'' = 335
3. 참고문헌 = 345
제11장 시적 글쓰기
1. 시적 글쓰기의 개념과 목적 = 348
2. 시적 글쓰기의 효과 = 352
(1) 의사소통 = 353
(2) 자아성찰 = 356
3. 시적 글쓰기의 대표 작품 = 358
(1) Richardson의 ''루이사 메이의 삶에 관한 이야기'' = 358
(2) Glesne의 ''희귀한 감정: 시적 전사를 통한 연구 재현'' = 363
(3) Sullivan의 ''학교 안의 목소리'' = 367
(4) Austin의 ''칼레이도스코프'' = 372
(5) Brady의 ''다윈의 암초에 시간'' = 382
4. 참고문헌 = 391
제12장 소설적 글쓰기
1. 소설적 글쓰기의 개념과 목적 = 396
2. 소설적 글쓰기의 효과: 그 반응과 해석의 다양성 = 401
3. 질적연구 분야에서 자신의 연구를 소설로 표현한 대표 작품 = 406
(1) Graham의 ''미 흉터'' = 406
(2) Dunlop의 ''Boundary Bay'' = 414
(3) Hamburger의 ''멸종의 기원에 대하여'' = 420
(4) Wilson의 ''마칼라도라 사촌들'' = 431
4. 참고문헌 = 439
제13장 연극적 글쓰기
1. 연극적 글쓰기의 개념과 목적 = 442
2. 연극적 글쓰기의 효과 = 445
(1) 극적 상황의 설정 = 446
(2) 다음성 = 447
3. 연극적 글쓰기의 대표 작품 = 449
(1) Richardson의 ''바다 괴물'' = 449
(2) Bluebond-Langer의 ''제프리 앤드류의 세계'' = 456
(3) Allen의 ''콘도르 콰타이'' = 464
(4) 카타르시스가 없는 가족 드라마 = 477
4. 참고문헌 = 485
제14장 자서전적 글쓰기
1. 자서전적 글쓰기의 개념과 목적 = 488
2. 자서전적 문화기술지의 효과 = 492
(1) 삶과 인간 그리고 사회ㆍ문화에 대한 이해 = 493
(2) 치료적 가치 = 496
3. 질적연구 분야에서 자서전적 문화기술지로 표현한 대표 작품 = 497
(1) Millon의 ''축복받고 매혹적인 개인적 오디세이'' = 498
(2) Lovinger의 ''인습타파주의자의 고백: 비주류의 안식처에서'' = 507
(3) Leggo의 ''좌회전'' = 515
(4) Barone의 ''어떤 학생에게는 허상에 불과한 정규 교육이 되찾아야 할 학교의 의미: Billy Charles Barnett의 사례'' = 518
(5) Kiesinger의 ''아버지의 신발: 이야기 재구성의 치료상의 가치'' = 527
(6) 이점우의 ''한 60대 초등학교 여교사의 삶과 가르침'' = 538
(7) 이희용의 ''한 고등학교 교사의 성장 체험'' = 553
4. 참고문헌 = 561
제15장 포스트모던적 글쓰기
1. 포스트모던적 글쓰기의 개념 = 566
2. 포스트모던적 글쓰기의 대표 작품 = 572
(1) Lather와 Smithies의 ''날개들의 아픔: 에이즈에 걸린 여성'' = 572
(2) 김영천의「별이 빛나는 밤」 = 580
(3) Wolf의 ''트라이스 톨드 스토리'' = 587
(4) Karen의 ''고요한 목소리'' = 597
3. 참고문헌 = 605
제16장 지옥에서 보낸 한철: 질적연구자들의 논문 글쓰기 경험
1. 황인실의 이야기 = 611
2. 이동성의 이야기 = 625
3. 차헌주의 이야기 = 636
4. 김명애의 이야기 = 646
5. 김지혜의 이야기 = 653
제17장 우리나라의 실험적 글쓰기 작품
1. 김영천 외 ''한 여름 밤의 꿈'' = 660
2. 허창수의 다시 돌아보기: ''나의 삶, 자기성찰, 그리고 통합교육과정'' = 676
3. 참고문헌 = 685
제18장 나의 글쓰기 세계 1: 김영천의 지난 15년 이야기
1. 초대받지 못한 손님 = 688
2. 전임교수로서의 새로운 권리 = 692
3. 학과 논문 심사에서의 양적 논문 비평 작업 = 694
4. 양적연구 학위 논문 재심사 작업 = 697
5. 타 대학교 질적연구자 격려하기 = 699
6. 초청강연과 워크숍 = 705
7. 맺음말 = 713
제19장 나의 글쓰기 세계 2: 김영천의 글쓰기 전략
1. 일상생활의 관리 = 716
2. 심리적 관리 = 727
3. 실제적 글쓰기 기법 = 733
4. 글쓰기가 끝난 후의 마지막 작업 = 753
5. 참고문헌 = 756
에필로그 - 강남 사거리, 밤의 적막 그리고 연필 한 자루 = 757
권호명 : 2
제1장 문화기술지 = 1
1. 도입 = 1
2. 분석수준으로서 문화 개념 고찰 = 2
3. 총체적 문화기술지 연구 = 8
4. 해석적ㆍ상징적 문화기술지 연구 = 28
5. 문화기술지의 분화와 발달: 응용인류학 = 47
6. 종합 = 70
7. 참고문헌 = 71
사례 1-1 말리노브스키(Malinowski)의 트로브리안드 사회의 모습 = 74
사례 1-2 마가렛 미드(Margaret Mead)의 서사모아 사춘기 연구 = 80
사례 1-3 하트와 필링(Hart&Pilling)의 티위사람들(북호주 원주민의 문화) = 82
제2장 현상학적 질적 연구 = 89
1. 도입 = 89
2.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 90
3.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주요 이론적 개념 = 93
4.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주요 탐구과정과 절차 = 99
5. 정리 = 142
6. 참고문헌 = 142
사례 2-1 테레사 톱슨(Teresa Dobson)의「전자 메일하기」에 대한 새로운 경험 = 144
제3장 내러티브 탐구 = 163
1. 도입 = 163
2. 내러티브 탐구의 역사적 동향 = 163
3.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 168
4.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 171
5.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적 특성 = 175
6. 내러티브 분석방법 = 183
7. 내러티브 탐구의 신뢰성과 일관성 = 192
8. 정리 = 194
9. 참고문헌 = 195
제4장 생애사 연구 = 199
1. 도입 = 199
2. 생애사 연구의 역사 = 200
3. 생애사 연구의 개념 = 205
4. 생애사 연구의 성격 = 208
5. 생애사 연구의 방법적 절차 = 219
6. 생애사 연구에서 자료의 표현과 글쓰기 기법 = 228
7. 생애사 연구의 타당도 = 229
8. 정리 = 232
9. 참고문헌 = 233
사례 4-1 리보우(Liebow)의「Tell them who I am: The lives of homeless women」 = 238
사례 4-2 포스트모던 시대의 자아와 정체성: 생애사 이야기 = 246
제5장 생애사 연구: 교육학 분야의 동향 = 255
1. 도입 = 255
2.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생애사 방법의 확산과 그 가치 = 256
3.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연구동향과 예들 = 261
4. 참고문헌 = 275
제6장 자문화기술지 = 283
1. 도입 = 283
2. 자문화기술지의 개념과 학문적, 철학적 배경과 전제 = 284
3. 자문화기술지의 절차와 방법적 특성 = 303
4. 정리 = 324
5. 참고문헌 = 324
사례 6-1 ''스파이더맨''에 대한 호감의 기원을 찾아서 = 328
사례 6-2 교사와 연구자, 역할의 갈등과 융합 = 335
제7장 근거이론 = 345
1. 도입 = 345
2. 근거이론의 개념 = 346
3. 근거이론의 역사적 동향 = 352
4. 근거이론의 방법적 특성 = 356
5. 근거이론의 방법적 절차 = 369
6. 근거이론의 분석방법 = 374
7. 정리 = 386
8. 참고문헌 = 387
제8장 실행연구 = 389
1. 도입 = 389
2. 실행연구의 현황 = 390
3. 실행연구의 개념 = 393
4. 실행연구의 방법적 과정 = 401
5. 실행연구의 모형 = 416
6. 정리 = 424
7. 참고문헌 = 426
사례 8-1 초등학교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 430
제9장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 = 459
1. 도입 = 459
2. 모더니즘의 기본전제: 근대성과 관련된 개념 = 460
3.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전제 = 467
4. 포스트모더니즘과 질적 연구방법 = 474
5. 정리 = 486
6. 참고문헌 = 486
사례 9-1 김영천(2012)의「가장 검은 눈동자: 한국 다문화 아동의 슬픈 자화상」 = 492
사례 9-2 로렐 리차드슨(Laurel Richardson)의「Travels with Earnest」 = 502
제10장 비판적 질적 연구 = 513
1. 도입 = 513
2. 비판문화기술지의 개념 = 514
3. 비판문화기술지의 탐구영역 = 517
4. 비판문화기술지의 대표적인 예들 = 533
5. 비판문화기술지의 방법적 절차와 특징 = 535
6. 정리 = 542
7. 참고문헌 = 542
제11장 통합연구 = 545
1. 도입 = 545
2. 통합연구방법의 개념과 연구현황 = 546
3. 통합연구방법의 모형 = 550
4. 통합연구의 실행적 지식 = 558
5. 정리 = 566
6. 참고문헌 = 567
사례 11-1 대학생들의 디지털 표절 정당화에 대한 통합연구방법론 = 571
사례 11-2 교육 심리학자와 부모 사이의 대화에 있어서 ''제도적 대화'': 통합연구를 활용한 단일 사례연구 = 577
사례 11-3 복지 수혜자들의 출산에 대한 이해의 통합연구방법 = 587
제12장 인터넷 질적 연구 = 595
1. 도입 = 595
2.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개념과 발달 = 596
3.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절차와 단계 = 606
4.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시사점 = 618
5. 참고문헌 = 620
제13장 모던적 vs. 포스트모던적 타당도 기법 = 623
1. 도입 = 623
2. 양적 연구의 타당도 = 624
3. 질적 연구의 타당도 = 627
4. 정리 = 649
5. 참고문헌 = 652
제14장 대안적 글쓰기 전략 = 657
1. 도입 = 657
2. 문학적 글쓰기의 이론화: ''문학과 글쓰기의 만남'' = 658
3. 예술적 글쓰기의 이론화: ''복수적 관점의 재현과 접근'' = 665
4. 포스트모던 글쓰기의 이론화: ''자기반영성과 다성성'' = 669
5. 정리 = 675
6. 참고문헌 = 675
권호명 : 4
제1장 첫 항해. 어디에도 없는 고향, 그리고 동양적 텍스트 = 1
아동의 학교 일과 잠재적 교육과정: 한국적 특징 = 5
Ⅰ. 서론 = 5
Ⅱ. 학교에서의 생활(life at school)과 잠재적 교육과정 = 6
Ⅲ. 한국 초등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 16
Ⅳ. 여러분이 해야 될 선택: 얻는 것과 잃는 것 = 42
Ⅴ.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초등학교의 학습문화를 지향하며 = 48
참고문헌 = 54
제2장 초시계, 비디오테이프, 녹음기, 그리고 한국의 교실 수업 = 57
교실질서의 성취와 회복: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관리/통제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적 연구 = 63
Ⅰ. 서론 = 63
Ⅱ. 선행연구 = 65
Ⅲ.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질서의 문화적 실제 = 72
Ⅳ. 논의 = 88
참고문헌 = 91
제3장 별이 빛나는 밤, 그리고 교사 삶의 글쓰기 = 93
이야기 1 : 학원 다니는 나의 반 학생들 = 109
Ⅰ. 들어가며 = 109
Ⅱ. 수업 풍경 = 113
Ⅲ. 교사의 딜레마 = 118
Ⅳ. 현장교사들의 전략 = 124
Ⅴ. 맺으며 = 128
이야기 2 : 대학원 공부와 나의 교육적 성장 = 131
Ⅰ. 나의 이야기 = 131
Ⅱ. 나의 교육 연구자 입문 과정 = 133
Ⅲ. 교육 연구자로서 성장하기: 열정과 고민 = 142
Ⅳ. 나의 바람 = 151
이야기 3 : 귀신 잡는 벚꽃초등학교 교사의 위계문화 = 153
Ⅰ. 시작하면서 = 153
Ⅱ. 맺으며 = 167
이야기 4 : 교사로서의 나의 활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 169
Ⅰ. 자서전적 소개 = 169
Ⅱ. 나의 활력의 원천 = 171
이야기 5 : 나는 왜 교감이 되지 못했을까? = 190
제4장 Self, 그리고 자서전적 탐구 = 203
잔인한 3월 :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3월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 211
Ⅰ. 서론 = 212
Ⅱ. 연구방법 = 214
Ⅲ. 혼란 속의 출발 = 217
Ⅳ. 결론 = 234
참고문헌 = 237
제5장 질적 프로그램 평가 : 그 솔직함과 불편함 = 239
어느 고등학교에서의 제7차 교육과정 모습 = 244
제6장 어느 세일즈맨의 죽음. 질적 자료와 연극적 글쓰기 = 279
학교 2 : 경기 한결고등학교 = 285
제7장 사이버 공간=사이버 질적연구 = 309
사이버가정학습 사례연구: 인터넷 기반 질적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 = 314
Ⅰ. 서론 : 인터넷과 질적연구 = 314
Ⅱ. 연구의 소개 : 사이버가정학습 우수사례 질적연구 프로젝트 = 315
Ⅲ. 연구사례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 = 331
참고문헌 = 338
제8장 가장 푸코적, 가장 한국적 질적연구, 학원교육 Syndrome = 339
초등학생의 학원 교육과정과 평가체제에 관한 분석적 이해 = 348
Ⅰ. 서론 = 348
Ⅱ. 초등학생의 학원 수강 실태 = 350
Ⅲ. 연구방법 = 354
Ⅳ. 학원의 교육과정 = 359
Ⅴ. 학원의 평가방법 = 365
Ⅵ. 결론 및 제언 = 370
참고문헌 = 373
제9장 더러운 데이터. 실행연구의 희망과 위선 = 375
업 클로스 앤드 퍼스널(Up Close and Personal) : 현장연구자가 들려주는 학교연구의 이슈와 딜레마 = 383
Ⅰ. 3년의 세월, 라포르, 그리고 글쓰기 = 383
Ⅱ. 자신의 교실현장을 연구하는 교사들 : 교육과정의 새로운 탐구영역 = 385
Ⅲ. 독백, 고백, 그리고 현장 이야기 = 386
Ⅳ. 결론 : 밀착취재(Up close and personal)를 마치며 = 405
참고문헌 = 408
제10장 질적 텍스트의 소재로서 ''나''. 고백적 글쓰기 = 411
가장 푸른 눈동자 : 질적 텍스트에서 자서전적 기술의 가능성 = 418
제11장 다문화 질적연구: 의심스럽고 가벼운 텍스트 = 439
한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삶과 교육 : 생애사적 목소리의 재구성 = 449
Ⅰ. 들어가며 = 449
Ⅱ. 아동들의 삶과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451
Ⅲ. 연구방법 = 453
Ⅳ. 다문화가정 아동들과 교사들의 목소리 = 455
Ⅴ.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들의 목소리 = 464
Ⅵ. 나가며 : 교육학적 교훈과 실천적 아이디어 = 470
참고문헌 = 475
제12장 다층적 장르, 소설적 글쓰기. 가장 검은 눈동자 = 477
가장 검은 눈동자: 질적 글쓰기 방법으로서 소설 형식의 가능성 = 482
제13장 질적 내용분석. 교과서 지식의 잔혹함과 교활함 = 493
Elusive Images of the Other : A Postcolonial Analysis of South Korean World History Textbooks = 499
제14장 포스코 재단. 연구비 수혜를 위한 글쓰기 전략 = 535
동북아시아 교육현상으로서 한국의 학원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 다양한 학원학습 형태의 발달과 진화 = 548
Ⅰ.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 = 548
Ⅱ. 이론적 배경으로서 학원교육의 효과에 대한 탐색 = 555
Ⅲ. 연구방법 = 559
Ⅳ. 연구의 활용과 기대효과 = 563
참고문헌 = 566
제15장 새벽 출항. 웅녀와 응구기를 찾아서 = 573
질적연구와 나의 연구의 여정 : ''네 학교 이야기''가 남겨 놓은 흔적 = 583
Ⅰ. 들어가며 = 583
Ⅱ. ''네 학교 이야기'': 그 네 가지 주제 = 585
Ⅲ.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포스트콜로니얼 교육과정연구 주제 = 596
Ⅳ. 요약과 맺는말 = 613
참고문헌 = 61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