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물구나무서서 보는 우리 문화 ... 3
제1부 민속연구의 새로운 지평 모색
한국사회의 변동과 문화적 전통의 변혁성 ... 21
1. 전통의 지속과 변화를 보는 틀 ... 21
2. 장기적 범주에서 본 전통의 변화 ... 23
3. 한국사회의 변동과 변혁운동 ... 29
4. 전통의 발전단계와 변혁의 전통 ... 35
5. 전...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물구나무서서 보는 우리 문화 ... 3
제1부 민속연구의 새로운 지평 모색
한국사회의 변동과 문화적 전통의 변혁성 ... 21
1. 전통의 지속과 변화를 보는 틀 ... 21
2. 장기적 범주에서 본 전통의 변화 ... 23
3. 한국사회의 변동과 변혁운동 ... 29
4. 전통의 발전단계와 변혁의 전통 ... 35
5. 전통의 회복과 주술의 재창조 ... 43
6. 사회적 변동과 전통의 대응 ... 46
7. 변혁과 전통과 그 전망 ... 48
세시풍속의 변화와 공휴일 정책의 문제 ... 56
1. 세시풍속의 최근 동향과 공휴일 문제 ... 56
2. 역법의 양력화에 따른 세시풍속의 지속과 변화 ... 60
3. 공휴일에 따른 세시풍속의 지속과 변화 ... 63
4. 공휴일 정책이 빚어낸 세시풍속의 문제 ... 71
5. 세시풍속의 조화와 활성화를 위한 공휴일 정책 ... 77
탈의 조형미가 지닌 예술적 형상성과 사회적 기능 ... 86
1. 탈 연구의 탈 ... 86
2. 탈에 관한 새로운 인식 ... 90
3. 탈의 제작기법과 조형화과정 ... 94
4. 탈의 조형적 형상과 민중적 미의식 ... 102
5. 탈의 색상과 성격창조의 양식 ... 109
6. 오늘 우리 삶의 탈과 탈의 재창조 ... 114
고스톱의 사회사와 민중적 현실인식 ... 117
1. 고스톱을 보는 삐뚠 눈 ... 117
2. 고스톱의 역사와 사회사 ... 119
3. 화투의 연원은 일본이 아닌 한국 ... 121
4. 고스톱은 과연 도박인가 ... 124
5. 한탕주의 투기가 아닌 카드놀이 ... 130
6. 변형규칙의 형성과 민중적 현실인식 ... 133
7. 비판적 현실풍자의 즉각성과 치열성 ... 136
8. 피가 존중받는 민주성과 민중성 ... 139
9. 민중적 집단성과 공동체 합의가 중심 ... 142
10. 지나침과 못 미침을 함게 규제하는 이치 ... 145
11. 고스톱을 즐기는 마음가짐과 문제 ... 148
제2부 민속문화의 변동양상과 오늘의 문화
단오에서 추석으로 ... 157
1. 단오에서 추석으로 ... 158
2. 차례에서 성묘로 ... 162
3. 명절에서 공휴일로 ... 165
4. 토박이에서 객지 사람으로 ... 167
5. 다양성에서 획일성으로 ... 170
6. 의례성에서 현실성으로 ... 174
즐김의 노래와 이념의 노래 ... 179
1. 노래를 어떻게 부르고 들을 것인가 ... 179
2. 노래의 본디 기능과 동시대 노래문화 ... 181
3. 노래운동의 경과와 노래패 ‘햇살’ ... 183
4. 상투성을 깬 공연방식과 노래의 힘 ... 186
5. 민족해방과 분단극복을 겨냥한 노래 ... 190
6. 민주화와 민중의식을 일깨우는 노래 ... 191
7. 노조운동을 부추기는 투쟁의 노래 ... 194
8. ‘햇살’의 공연준비와 현실인식 ... 197
9. 노래극의 한계와 노래의 수용 ... 198
임하댐, 그 얻는 것과 잃는 것 ... 201
1. 천재지변 탓에 인재지변 겪은 수몰민 ... 201
2. 고향 잃은 사람들의 고향 그리는 병 ... 204
3. 사회적 유대와 문화적 기반의 상실 ... 208
4. 수몰민의 경제적 파탄과 빈부의 심화 ... 212
5. 다시는 건져낼 수 없는 물 속의 문화 ... 217
6. 댐의 허물을 고마움으로 바꾸는 처방 ... 222
안동댐 십년, 그 퇴행적 삶의 현장 ... 228
1. 전통의 고장에서 댐의 고장으로 ... 228
2. 안동호의 물길을 거들떠 보는 뜻은 ... 229
3. 우리사 그때 숙맥짓을 했지 ... 231
4. 교통불편이 제일 큰 문제 ... 235
5. 자녀교육 때문에 젊은이들 못 살아 ... 238
6. 마을이 망하니 당나무도 죽어가고 ... 241
7. 이말무지로 살아가는 사람들 ... 244
8. 댐으로 잃은 것은 많아도 덕본 것은 없어 ... 247
제3부 민속놀이와 민속신앙의 전승양상
놀이문화의 역사적 전개와 민속현상 ... 255
1. 놀이의 말뜻 ... 255
2. 놀이하는 즐거움과 일 ... 256
3. 놀이의 요소와 특성 ... 259
4. 놀이의 역사적 전개 ... 262
5. 근대 이후의 문화와 놀이 ... 268
6. 놀이집단과 놀이 ... 272
7. 민속의례와 놀이 ... 279
8. 한국 놀이문화의 특징 ... 285
윷놀이의 신명성과 민중적 세계관 ... 289
1. ‘승벽’으로 하는 윷놀이의 재미 ... 289
2. 윷놀이의 우연성과 신명성 ... 291
3. 윷놀이의 역사와 사회변동의 관계 ... 295
4. 윷패의 상징과 윷놀이의 체계 ... 298
5. 윷판이 뜻하는 세계관적 상징성 ... 302
6. 윷놀이에 갈무리된 민중의식과 농경생활 ... 305
7. 윷말쓰기와 민중적 삶의 이치 ... 307
민속신앙, 그 믿음과 섬김의 세계 ... 312
1. 마을신과 집안신의 유기적 관계 ... 312
2. 마을의 터주인 동신들의 모습 ... 313
3. 생명의 원천인 우물과 조왕 ... 317
4. 어른과 아이를 지켜주는 성주와 삼신 ... 322
5. 평안과 풍요를 보장하는 조령과 터주 ... 326
6. 집 안팎에 자리잡고 있는 그 밖의 신들 ... 330
7. 무교의 체계에 수렴되는 집안신앙 ... 334
풍농기원의 굿놀이와 모내기노래의 주술성 ... 338
1. 농경활동의 모의적 형상화 ... 338
2. 제천의식의 분화와 입춘굿 ... 339
3.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유감주술 ... 340
4. 보름 축제와 내농작의 주술성 ... 343
5. 모내기노래의 연가풍과 주술성 ... 345
제4부 민속연구의 현황과 비판적 검토
세시풍속과 민속문화 연구의 새로운 전망 ... 351
1. 세시풍속 연구의 성과와 논쟁적 연구 ... 351
2. 자기 연구의 극복과 대안적 연구 ... 353
3. 통시적 연구와 공시적 연구 ... 356
4. 세시풍속의 이원성과 두 역법의 이치 ... 359
5. 문화권 설정에 대한 반론과 입론 ... 362
세시풍속 연구의 반성적 검토와 극복방안 ... 366
1. 논의의 범주와 방법 ... 366
2. 재야학자들의 관심과 기철학적 연구 ... 367
3. 논의의 진전을 위한 논쟁적 연구 ... 370
4. 세시풍속은 천체운행의 유기적 상관물 ... 374
5. 세시풍속의 시점문제와 역사적 연구 ... 376
6. 세시풍속의 전승주체와 사회적 연구 ... 377
7. 세시풍속 연구의 시야 확대 ... 378
8. 요즘 통용되는 세시풍속 연구 ... 380
9. 음력과 양력은 모두 과학적인 역법 ... 381
10. 기존 연구의 한계와 극복방안 ... 382
민속연희 연구의 학사적 의의와 구조적 한계 ... 387
1. 민속극 연구의 동향과 연구의 위상 ... 387
2. 민속극 연구의 폭과 놀이연구의 깊이 ... 390
3. 세 가지 연구성과와 다섯 가지 미덕 ... 394
4. 연희연구의 자료적 한계와 논지의 일관성 ... 398
5. 연희연구의 가능성과 문제의식 ... 403
안동지역 민속연구 십년의 성과와 과제 ... 405
1. 연구성과의 전체적 경향 ... 405
2. 자료집의 성과와 문제 ... 406
3. 연구서의 성과와 문제 ... 409
4. 연구논문의 성과와 문제 ... 413
5. 연구성과의 특징과 그 배경 ... 418
6. 앞으로의 연구과제 ... 41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