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9
Ⅰ. 중국 철학사 서설 ... 45
1. '철학'의 정의와'중국적 철학' ... 46
1) '철학'의 중국적 정의 ... 46
2) 중국 철학은 중국적 철학이다 ... 50
2. 중국 철학의 특성 ... 52
1) 중국 철학의 근본과제 ... 54
2) 생기적 정체관 ... 57
3) 가치 중심주의 ... 58
4)...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9
Ⅰ. 중국 철학사 서설 ... 45
1. '철학'의 정의와'중국적 철학' ... 46
1) '철학'의 중국적 정의 ... 46
2) 중국 철학은 중국적 철학이다 ... 50
2. 중국 철학의 특성 ... 52
1) 중국 철학의 근본과제 ... 54
2) 생기적 정체관 ... 57
3) 가치 중심주의 ... 58
4) 인간 중심주의 ... 62
3. 중국 철학의 발생과 철학사의 기원문제 ... 68
1) 중국 고대 철학과 경사(經史)의 관계 ... 70
2) 중국 고대 철학과 시가 및 성철(聖哲)의 관계 ... 72
4. 중국 철학사의 기원과 원류문제 ... 75
1) 중국 철학사의 기원문제 ... 75
(1) 노자와 공자에서 시작하는 학설 ... 75
(2) 은·주의 교체기로 소급하는 학설 ... 76
(3) '인습'과 '창조'의 두 면을 아울러 고려하는 설명 ... 77
(4) 고대의 문화 현상과 철학 기원을 연결하는 방법 ... 78
2) 중국 철학의 원류문제-반면(反面)사상에 대한 자리 매김 ... 80
(1) 주대 초기의 사상에 여상의'권모술수'를 첨가해야 한다 ... 81
(2) 관중과 정자산에게 춘추 초·중기의 철학사적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 ... 82
(3) 황로 사상 및 음양오행설의 맥락을 규명해야 한다 ... 83
Ⅱ. 중국 철학의 배태기 ... 87
1. 중국 문화의 원경(遠景) ... 88
1) 문화의 지속성과 연원성 ... 88
2) 구전과 기록의 신빙성 ... 90
3) 공자의 삼대 사상 개설 ... 92
2. 하대사상-소박한 자연주의의 형성 ... 95
1) 하 왕조의 실재 확인 ... 95
2) 요·순·우의 인격과 공덕 ... 97
(1) 중국의 이상적 인간상-요 ... 98
(2) 인륜의 모범자-순 ... 100
(3) 민생 터전의 개척자-우 ... 104
3) 하대의 종교 사상과 제사-다신교 ... 108
(1) 조상숭배 ... 109
(2) 자연과 인귀(人鬼)의 숭배 ... 110
3. 은대사상-추상적 신귀관념의 대두 ... 111
1) 은 왕조의 흥기 ... 112
(1) 앙소문화와 용산문화의 합류-중국 문화의 원형 형성 ... 112
(2) 탕의 역성 혁명 ... 114
2) 은 문화의 개관 ... 115
(1) 은 문화의 전환과 확장 ... 116
(2) 갑골문을 통해 본 역법과 점복 ... 118
3) 은대의 종교-신권 관념과 조상숭배 ... 119
(1) '천'과 '제' 개념의 복합화 ... 119
(2) 신귀관념과 씨족신 숭배사상, 그리고 그 역기능 ... 127
4) 은말의 '삼인(三仁)' 사상 ... 130
(1) 미자의 '군신간의 의는 버릴 수 있다'는 설 ... 130
(2) 비간의 '죽음으로써 간한다'는 설 ... 130
(3) 기자의 '은둔하여 도를 전할 때를 기다린다'는 설 ... 131
4. 하·은 사상의 집성-'홍범 구주' ... 132
1) 홍범 구주의 전승 ... 132
2) 홍범 구주의 철학 사상 ... 133
Ⅲ. 서주의 인문사상 ... 141
1. 은상(殷商) 종교사상의 서주 인문 사상으로의 전환 ... 142
1) 천명사상의 수정-'천명미상(天命靡常)'과 인내천(人乃天)'사상 ... 143
(1) '천명미상' ... 145
(2) '인내천'사상 ... 147
2) 우환의식-'경'과 '덕' ... 149
(1) '경' ... 151
(2) '덕' ... 153
3) 제사의식의 수정과 '효' 사상의 계승발전 ... 154
(1) 제사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도덕적 교화장으로서의 제사 ... 155
(2) '효'사상의 계승 발전-효는 모든 행동 질서의 근본이다 ... 156
4) 인성론의 실마리-절성론(節性論) ... 157
2. 주공의 예악 제정과 봉건제도 ... 160
1) 중국 문화에서 주공의 위상 ... 160
2) 종법과 봉건제도 ... 162
(1) 종법 사상 ... 163
(2) 봉건제도 ... 165
(3) '친친', '존존', '현현' ... 167
3) 주초의 봉건 정치 ... 168
(1) 봉건과 정권 유지 ... 168
(2) 봉건과 관제 ... 171
4) 주초의 교육제도-사씨(師氏)와 보씨(保氏) ... 172
(1) 주초 관학의 교과내용 ... 173
(2) 학술 사상의 태동 ... 174
3. 서주 말·동주 초의 사회 동요과 반인문 사상 ... 175
1) 서주 봉건제의 이상과 실제 ... 175
2) 변풍과 변아에 나타난 인문 사상의 해체 경향 ... 177
(1) 봉건 윤리의 타락 ... 178
(2) 민본 정치의 변질 ... 183
(3) '외천(畏天)', '존조(尊祖)'·'종법' 사상의 동요 ... 188
Ⅳ. 춘추 초기의 철학사상 ... 193
1. 동주의 존왕양이 사상 ... 194
1) 춘추 패정기의 역사적 상황 ... 195
2) 화하와 이적의 구분 ... 196
3) 존왕양이-제환공과 진문공의 패업 ... 197
(1) 존왕과 양이의 실제적 의미 ... 198
(2) 찬시의 금지와 겸병에 대한 제재 ... 198
2. 관중과「관자」 ... 199
1) 관중의 생애와업적-여상 사상의 재기 ... 200
2) 「관자」의 진위문제 ... 203
3. 관중의 철학 사상 ... 208
1) 제학과 노학의 회통 ... 208
2) 전통 사상에 대한 개진과 원용 ... 210
3) 도덕과 경제를 함께 중시하는 사상 기조 ... 212
4. 관중의 사회 사상 ... 215
1) 천시·지리·인작(人作)을 기조로 한 경제사상 ... 215
2) 경제와 도덕의 관리 기능으로서의 정치사상 ... 218
(1) 존민·순민·외민·용민 ... 219
(2) 성실하고 믿음을 주는 정부와 현능한 관리 ... 220
(3) 국가 계획하의 국민 경제 생산 ... 222
3) '비전즉비공(備戰則非攻)'의 군사사상 ... 225
(1) 강병은 패천하의 근본이다 ... 225
(2) 농·병·정의 일체화 ... 226
(3) 비전(備戰)은 비전(非戰)이다-세력 균형을 통한 평화 유지 사상 ... 228
5. 중국 철학사에서 관중의 위상 ... 230
1) 관중 철학 사상의 요의 ... 230
2) 삼대 사상의 흐름을 통해 본 관중의 철학사적 위상 ... 232
3) 관중의 철학 사상이 폄하된 원인 ... 235
Ⅵ. 춘추 중기의 철학사상 ... 239
1. 서주 말에서 춘추 중기까지의 사상의 흐름 ... 240
1) 춘추 이전 반전통 사상의 계승과 발전 ... 240
2) 정치 사회의 획기적 개혁 ... 242
3) 관중의 자연천 사상과 그 맥락 ... 244
2. 반전통 사상의 태동과 그 특징 ... 246
1) 관중의 위기 관리 조치의 공과 ... 246
2) 반전통 사상의 태동 ... 248
(1) '무(巫)'와 '사(史)'의 기능 교체 ... 249
(2) 사백의 학설을 통해 본 반전통 사상의 특징 ... 250
(3) 신과 민의 위치 전도 ... 255
3. 정자산의 정치 개혁과 철학 사상 ... 264
1) 정자산의 시대 배경과 인물됨-지례수례(知禮守禮) ... 264
(1) 정나라와 자산 ... 264
(2) 자산의 집권 과정 ... 267
2) 자산의 정치 개혁 ... 272
(1) 자산의 정치 개혁 배경과 그 의지 ... 272
(2) 4대 정치 개혁의 내용 ... 275
(3) 자산의 4대 개혁이 주는 시대적 의미 ... 282
3) 천도와 인도, 그리고 신귀의 문제 ... 285
(1) 자연과 신과 인간의 개념 범주 ... 288
(2) 자산의 천도 및 인도관 ... 289
(3) 귀신과 질병 ... 293
(4) 귀신과 혼백 ... 295
4) 자산의 예론 ... 297
(1) 자산 이전 예 개념의 변천 ... 297
(2) 춘추 중기의 예에 대한 단편적인 견해들 ... 298
(3) 자산의 예론 ... 299
4. 자산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반응 ... 300
1) 자산 철학 사상의 모순성과 창조성 ... 300
2) 공자의 긍정적 평가 ... 302
3) 노자의 부정적 반응 ... 304
4) 선택적으로 원용해 간 법가 ... 306
주 ... 310
찾아보기 ... 35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