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면서 ... 3
추천사 ... 4
협조하여 주신 분과 기관 ... 5
서론 ... 9
제1장 신석기시대의 도기
1. 중국도기의 시원 ... 11
2. 앙소문화시대(仰韶文化時代) ... 11
1) 앙소문화의 기형과 장식문양 ... 11
2) 앙소문화의 요로(窯爐)와 소성(燒成) ... 12
3) 감숙(甘肅)의 채도(彩陶)문화 ... 1...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면서 ... 3
추천사 ... 4
협조하여 주신 분과 기관 ... 5
서론 ... 9
제1장 신석기시대의 도기
1. 중국도기의 시원 ... 11
2. 앙소문화시대(仰韶文化時代) ... 11
1) 앙소문화의 기형과 장식문양 ... 11
2) 앙소문화의 요로(窯爐)와 소성(燒成) ... 12
3) 감숙(甘肅)의 채도(彩陶)문화 ... 13
4) 채도문화 장식문양에 나타난 고대신앙 ... 15
3. 용산(龍山)문화시대 ... 18
1) 중원지역의 용산문화 ... 18
2) 산동용산(山東龍山)문화 ... 19
4. 그 밖의 신석기시대 도기문화 ... 20
1) 하모도(河姆渡)문화 ... 20
2) 마가병(馬家浜)문화 ... 20
3) 양저(良渚)문화 ... 21
4) 대계(大溪)문화 ... 21
5) 굴가령(屈家嶺)문화 ... 22
제2장 하(夏)·상(商)·주(周)·춘추(春秋)시대의 도자
1. 하대(夏代)의 도기 ... 24
2. 상대(商代)의 도자 ... 24
1) 전기(前期) ... 24
2) 중기(中期) ... 25
3) 후기(後期) ... 26
3. 주대(周代)의 도자 ... 26
4. 춘추시대의 도기 ... 27
5. 상·주·춘추시대의 인문경도(印紋硬陶)와 원시자기(原始瓷器) ... 28
6. 상·주·춘추시대의 건축용 도기 ... 29
제3장 전국(戰國)시대·진대(秦代)의 도자
1. 전국시대의 도자 ... 31
1) 전국시대의 도요지 ... 31
2) 전국시대 도자의 기형 ... 32
3) 전국시대 도기의 장식문양 ... 33
4) 도소(陶塑)와 도용(陶俑) ... 33
5) 전국시대의 요(窯) ... 33
6) 인문경도(印紋硬陶)와 원시자(原始瓷) ... 34
7) 건축용 도기 ... 36
2. 진대(秦代)의 도자 ... 37
1) 진대의 실용도자 ... 38
2) 진시황릉에서 출토된 도용(陶俑) ... 38
제4장 한대(漢代)의 도자
1. 한대(漢代)의 도자 ... 41
1) 한대 도자의 태토(胎土) ... 41
2) 한대 도자의 유색(釉色) ... 41
3) 한대 도자의 채회(彩繪) ... 42
4) 한대 도자의 문양장식 ... 42
5) 한대 도자의 종류와 기형 ... 44
6) 한대의 건축용 도기 ... 46
7) 자기(瓷器)의 출현(出現) ... 46
제5장 육조시대(六朝時代)의 도자
1. 삼국(三國)·양진(兩晋)·남조(南朝)시대의 도자 ... 50
1) 주요 요지(窯址) ... 50
2) 배료(배料)의 사용 ... 50
3) 성형(成形)과 시유(施釉) ... 51
4) 요로(窯爐)와 소성기술 ... 52
5) 조형과 장식문양 ... 55
2. 북조(北朝)의 도자 ... 59
1) 청자(靑瓷) ... 59
2) 백자(白瓷) ... 59
3) 흑자(黑瓷) ... 60
4) 기형과 장식문양 ... 60
제6장 수(隋)·당(唐)·오대(五代)의 도자
1. 수대(隋代)의 도자 ... 62
1) 백자(白瓷) ... 62
2) 청자(靑瓷) ... 62
3) 기형과 장식문양 ... 63
2. 당(唐)·오대(五代)의 도자 ... 65
1) 당대의 도자 ... 65
2) 당·오대의 청자 ... 67
3) 당·오대의 백자(白瓷) ... 68
4) 당·오대의 흑자(黑瓷) ... 69
5) 당·오대의 채자(彩瓷) ... 70
6) 당·오대의 기형과 장식문양 ... 71
제7장 송대(宋代)의 도자
1. 송대 도자의 상황 ... 73
2. 북방의 백자(白瓷)-정요자기(定窯瓷器) ... 73
3. 북방(北方)의 청자(靑瓷) ... 75
1) 요주요 자기(耀州窯瓷器) ... 75
2) 균요(鈞窯) 자기 ... 77
3) 여요(汝窯) 자기 ... 78
4. 북방(北方)의 민간자기-자주요자기(磁州窯瓷器) ... 79
1) 백유획화(白釉劃花) ... 79
2) 백유척화(白釉剔花) ... 79
3) 백유녹색반(白釉綠色斑) ... 80
4) 백유유하흑채(白釉釉下黑彩)·백유유하장채(白釉釉下醬彩) ... 80
5) 백유유하흑채획화(白釉釉下黑彩劃花) ... 80
6) 백유유하장채획화(白釉釉下醬彩劃花) ... 80
7) 진주지획화(珍珠地劃花) ... 80
8) 저온삼채연유(低溫三彩鉛釉) ... 80
5. 남방(南方)의 청자(靑瓷)-용천요자기(龍泉窯瓷器) ... 81
6. 남방(南方)의 영청자(影靑瓷)-경덕진자기(景德鎭瓷器) ... 82
7. 송대의 흑유자기(黑釉瓷器) ... 84
1) 유적유(油滴釉) ... 84
2) 토호잔(兎毫盞) ... 84
3) 대모잔(玳瑁盞) ... 85
4) 전지루화(剪紙漏花) ... 85
5) 흑유척화(黑釉剔花) ... 85
6) 흑유인화(黑釉印花) ... 85
8. 송대의 관요자기(官窯瓷器) ... 85
1) 월요(越窯) ... 85
2) 변경관요(변京官窯) ... 85
3) 항주 수내사 관요(杭州修內司官窯) ... 86
9. 송대 자기의 기형과 문양 ... 86
1) 기형(器形) ... 87
2) 장식문양 ... 90
10. 송대 자기의 수출 ... 93
제8장 원대(元代)의 도자
1. 원대 도자의 상황 ... 95
2. 경덕진(景德鎭)의 화려한 성취 ... 95
1) 청화자기(靑花瓷器) ... 95
2) 유리홍(釉里紅)의 출현 ... 97
3) 청화(靑花)와 유리홍(釉里紅)의 기형과 문양 ... 97
4) 추부기(樞府器) ... 97
5) 홍유기(紅釉器)와 남유기(藍釉器) ... 98
3. 그 밖의 요장(窯場) ... 98
4. 원대 자기의 기형과 문양 ... 99
1) 기형 ... 99
2) 장식과 문양 ... 100
제9장 명대(明代)의 자기
1. 화려한 채자시대(彩瓷時代)의 개막 ... 101
2. 유상채자(釉上彩瓷)의 출현 ... 102
3. 투채자기(鬪彩瓷器) ... 103
4. 소삼채(素三彩) ... 103
5. 오채자기(五彩瓷器) ... 104
6. 박태자기(薄胎瓷器) ... 105
7. 단색유자기(單色釉瓷器) ... 105
1) 첨백자(甛白瓷) ... 105
2) 홍유자기(紅釉瓷器) ... 105
3) 남유자기(藍釉瓷器) ... 106
4) 황유자기(黃釉瓷器) ... 106
5) 공작록자기(孔雀綠瓷器) ... 106
8. 그 밖의 자기 ... 107
1) 덕화요(德化窯)의 백자 ... 107
2) 법화기(法華器) ... 107
9. 관요(官窯)와 관지(款識) ... 108
10. 명대 자기의 기형과 장식문양 ... 110
1) 기형 ... 110
2) 문양 ... 111
제10장 청대(淸代)의 자기
1. 자기의 황금시대 ... 113
2. 청대의 유상채자(釉上彩瓷) ... 114
1) 오채(五彩) ... 114
2) 유상채에 사용된 색채 ... 114
3) 법랑채자(琺瑯彩瓷) ... 115
4) 분채(粉彩) ... 117
3. 청대의 색유자기(色釉瓷器) ... 118
1) 랑요홍(郎窯紅) ... 118
2) 강두홍(강豆紅) ... 118
3) 제홍(霽紅) ... 118
4) 산호홍(珊瑚紅) ... 118
5) 연지수(연脂水) ... 118
6) 주람(酒藍) ... 118
7) 천람(天藍) ... 118
8) 제람(霽藍) ... 119
9) 동청유(東靑釉) ... 119
10) 자금유(紫金釉) ... 119
11) 오금유(烏金釉) ... 119
12) 다엽말(茶葉末) ... 119
13) 자유(紫釉) ... 119
14) 공작록(孔雀綠) ... 119
15) 과피록(瓜皮綠) ... 119
16) 추규록(秋葵綠) ... 120
4. 그 밖의 도자 ... 120
5. 제자(製瓷) 기술의 전성기-건륭시기(乾隆時期) ... 121
6. 청대 관요(官窯)와 관지(款識) ... 121
7. 청대 자기의 기형과 장식문양 ... 122
1) 기형 ... 122
2) 문양 ... 123
제11장 중국 도자의 해외진출 ... 125
결론 ... 127
도자도판 ... 132
전문용어 해설 ... 420
중국 역사 연대표 ... 422
참고문헌 ... 423
찾아보기 ... 4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