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기원전∼9세기 문학 ... 1
한시 ... 1
인민창작 ... 1
구지가(龜旨歌) ... 1
려옥(麗玉) ... 1
공후인(공후引) ... 1
류리왕(琉璃王) ... 2
꾀꼴새의 노래(黃鳥歌) ... 2
정법사(定法師) ... 3
외로운 바위(孤石) ....
더보기
목차 전체
기원전∼9세기 문학 ... 1
한시 ... 1
인민창작 ... 1
구지가(龜旨歌) ... 1
려옥(麗玉) ... 1
공후인(공후引) ... 1
류리왕(琉璃王) ... 2
꾀꼴새의 노래(黃鳥歌) ... 2
정법사(定法師) ... 3
외로운 바위(孤石) ... 3
을지문덕(乙支文德) ... 3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與隨將于仲文) ... 3
혜초(慧超) ... 4
남천축길우에서(南天竺路上) ... 4
설요(薛瑤) ... 5
중노릇을 그만두며(返俗謠) ... 5
왕거인(王巨仁) ... 6
분원시(憤怨詩) ... 6
최치원(崔致遠) ... 7
비내리는 가을 밤에(秋夜雨中) ... 7
산양에서 고향친구와 헤여지며(山陽與鄕友話別) ... 7
태위에게 드림(陳情上太尉) ... 7
두견화(杜鵑) ... 8
바다가를 거닐며(海邊閑步) ... 9
봄날 해변가에서(海邊春望) ... 10
새바람(東風) ... 10
봄날 새벽에 쓰노라(春曉偶書) ... 11
림경대(臨鏡台) ... 12
강남녀(江南女) ... 12
고의(古意) ... 13
문득 생각나는바 있어(寓興) ... 14
촉규화(蜀葵花) ... 14
웅진공산성(熊津公山城詩) ... 15
산으로 들어가리(入山詩) ... 16
국어시가 ... 17
인민가요 ... 17
인민창작 ... 17
사모곡(思母曲) ... 17
인민창작 ... 18
정읍사(井邑詞) ... 18
향가(鄕歌) ... 20
인민창작 ... 20
풍요(風謠) ... 20
융천사(融天師) ... 21
혜성가(慧星歌) ... 21
무명로인 ... 23
헌화가(獻花歌) ... 23
월명사(月明師) ... 24
제망매가(祭亡妹歌) ... 24
충담사(忠談師) ... 25
안민가(安民歌) ... 26
수이전체(殊異傳體) ... 27
최치원 ... 27
선녀와 홍대(仙女紅袋) ... 27
10∼14세기(고려시기)문학 ... 34
한시 ... 34
정지상(鄭知常) ... 34
봄날(春日) ... 34
대동강(大同江) ... 35
평양(西都) ... 35
등고산에서(題登高山) ... 36
벗을 보내며(送人) ... 36
월영대(月影台) ... 37
취한 잠에 강남을 꿈 꾸노라(醉夢江山) ... 37
변산소래사(邊山蘇來寺) ... 38
령곡사(靈鵠寺) ... 39
리인로(李仁老) ... 39
지리산에 놀며(遊智異山) ... 39
세상살이 어려워라[3수](行路難[三首]) ... 40
산중살이(山居) ... 43
꽃을 접붙이는 사람에게(贈接花者) ... 43
림춘(林椿) ... 44
벗의 운을 본따서(次友人韻) ... 44
김극기(金克己) ... 45
취하여 부른 노래(醉時歌) ... 45
농가의 4시[4수](天家四時[四首]) ... 48
진화(陳화) ... 50
도원의 노래(桃源歌) ... 50
가을날의 회포를 적노라(秋日書懷) ... 52
리규보(李奎報) ... 53
농부를 대신하여 읊음(代農夫吟) ... 53
햇곡식의 노래(新谷行) ... 53
홀어미의 탄식(孀구行) ... 54
나라에서 농사군이 청주와 이밥먹기를 금지하는 령을 내렸다는 말을 듣고(聞國令禁農餉淸酒白飯) ... 55
며칠후에 다시 쓰노라(后數日有作) ... 58
군수 몇놈이 뢰물을 받다가 죄를 입었다는 말을 듣고(聞郡守數人以贓被罪) ... 59
관군이 거란과의 싸움에서 이겼다는 소식을 듣고[2수](聞官軍與虜戰捷[二首]) ... 60
원쑤들이 강너머에 왔단 말을 듣고 온 나라 사람들에게 고하노라(九月六日虜兵來屯聞江外國人不能无驚以詩解之) ... 61
10월의 번개(十月電) ... 62
달단이 강남에 들어왔단 말을 듣고(聞달단入江南) ... 63
동명왕편(東明王篇) ... 64
리곡(李谷) ... 86
도토리 노래(橡栗歌) ... 86
물이 불어 성안에서 고기 잡네(久雨水張城中捕魚) ... 88
거리에서 서산을 바라보며(街上望西山) ... 89
칠석날 장생에게 화답하여[2수](和張生七夕[二首]) ... 89
7월 초나흘날 집에서 온 편지를 받고(七月四日得家書) ... 90
리제현(李齊賢) ... 90
장안려관에서[3수](題長安逆旅[三首]) ... 90
백구에서(白溝) ... 94
강신자·칠월칠석에 비를 맞으며 구점에 이르러(江神子·七夕冒雨到九店作) ... 94
동지(冬至) ... 95
고향에 돌아가고파(思歸) ... 97
경진 4월에 고국으로 돌아올제-제화문 주루에서(庚辰四月將東歸-題齊化門酒樓) ... 98
전라도 안렴사로 부임하는 전맹경을 보내며(送田孟耕祿生詞諫按全羅道) ... 99
김해부사로 부임하는 정국경을 보내며(送金海府使鄭尙書) ... 101
강릉도로 부임하는 박안집을 리별하며(江陵道朴安集告別) ... 103
말우에서[4수](馬上[四首]) ... 103
귀뚜라미(促織) ... 106
참요(讖謠) ... 108
인민창작 ... 108
호목(瓠木) ... 108
인민창작 ... 108
보현사(普賢刹) ... 108
인민창작 ... 109
묵책요(墨冊謠) ... 109
인민창작 ... 109
아야가(阿也歌) ... 109
인민창작 ... 110
소가 크게 우네(牛大吼) ... 110
민요한역시(小樂府) ... 111
인민창작 ... 111
장암(長岩) ... 111
인민창작 ... 111
거사련(居士戀) ... 111
인민창작 ... 112
제위보(濟危寶) ... 112
인민창작 ... 112
사리화(沙里花) ... 112
인민창작 ... 113
수정사(水精寺) ... 113
인민창작 ... 113
탐라요(耽羅謠) ... 113
고려국어서정가요 ... 114
무명씨 ... 114
서경별곡(西京別曲) ... 114
무명씨 ... 118
가시리 ... 118
무명씨 ... 120
동동(動動) ... 120
무명씨 ... 126
청산별곡(靑山別曲) ... 126
경기체가(景幾體歌) ... 131
무명씨 ... 131
한림별곡(翰林別曲) ... 131
시조(時調) ... 137
리존오(李存吾) ... 137
구름이 무심탄 말이 ... 137
리화에 월백하고 ... 137
리색(李穡) ... 137
백설이 잦아진 곬에 ... 137
리방원(李芳遠) ... 138
이런들 어떠하리 ... 138
정몽주(鄭夢周) ... 138
이 몸이 죽고죽어 ... 138
최영(崔瑩) ... 139
록이상제 살지게 먹여 ... 139
정도전(鄭道傳) ... 139
선인교 나린 물이 ... 139
성여완(成汝完) ... 139
일심거 느즛피니 ... 139
길재(吉再) ... 140
눈마저 휘어진대랄 ... 140
서견(徐甄) ... 140
암반설죽고죽이야 반갑고도 ... 140
패설(稗說) ... 141
파한집선(破閑集選) 리인로 저 ... 141
최치원 ... 141
천관사의 전설 ... 143
지리산 청학동 ... 145
문장에 대하여 ... 149
보한집선(補閑集選) 최자(崔滋) 저 ... 150
강감찬 ... 150
범의 참회 ... 152
리규보 ... 157
사천감과 귀녀 ... 160
력옹패설선(력翁稗說選) 리제현 저 ... 163
최충헌의 정치적 죄악상 ... 163
시는 말밖에 여운이 있어야 한다 ... 166
시의 그윽한 뜻 ... 168
작가들의 풍격은 각이하다 ... 169
시의 감상 ... 170
의전제(似傳體) ... 172
리규보 ... 172
국선생전(麴先生傳) ... 172
림춘 ... 179
공방전(孔方傳) ... 179
15∼16세기 (리조중기) 문학 ... 186
한시 ... 186
정도전(鄭道傳) ... 186
초가집(草舍) ... 186
도망치는 짐승떼(窮獸奔) ... 187
권근(權近) ... 187
왜구에게 남편을 잃은 부인의 울음소리를 듣고(宿島上村家聞隣婦夜哭由倭人寇害其夫也) ... 187
금강산(詠金剛山) ... 188
김종서(金宗瑞) ... 189
남포(南浦) ... 189
성간(成侃) ... 189
늙은이의 노래(老人行) ... 189
원망(怨詩) ... 190
성삼문(成三問) ... 192
이제묘(夷齊廟) ... 192
절명시(節命詞) ... 192
서거정(徐居正) ... 193
장마비 괴로와라(苦雨嘆) ... 193
늙은소의 탄식(老牛嘆) ... 194
동쪽집(東家嘆) ... 195
리석형(李石亨) ... 197
영치기 노래(呼耶歌) ... 197
김종직(金宗直) ... 199
한식날 농가에서(寒食春舍) ... 199
김시습(金時習) ... 199
산골 농민의 고생(詠山家苦) ... 199
농부의 항의(記農夫語) ... 202
오호가(嗚呼歌) ... 204
대동강기슭에서 상부의 하소연을 적노라(大同江岸記商婦語) ... 206
산골집을 지나며(游山家) ... 207
사변을 적다(書事) ... 208
성현(成俔) ... 210
랭천정에서(冷泉亭) ... 210
리행(李荇) ... 211
들은 이야기(記事) ... 211
여름비의 탄식(夏雨嘆) ... 213
어무적(魚无迹) ... 214
류민탄(流民嘆) ... 214
서경덕(徐敬德) ... 217
시내물소리(溪聲) ... 217
황진이(黃眞伊) ... 217
반달(詠半月) ... 217
박연폭포(朴淵) ... 218
리달(李達) ... 219
떠나가는 사람의 원한(移家怨) ... 219
풋보리를 베는 노래(刈麥詞) ... 219
리옥봉(李玉峰) ... 220
의적을 막기 위하여 서울에 가계신 남편에게(夫因戎事在京) ... 220
녀인의 마음(閨情) ... 220
최경창(崔慶昌) ... 221
변방 싸움터에서(邊思) ... 221
리순신(李舜臣) ... 221
한산섬(閑山島) ... 221
제목없이(无題六韻) ... 222
리수광(李수光) ... 223
충무공의 사당에서(忠愍詞) ... 223
그리움(靜夜思) ... 224
허란설헌(許蘭雪軒) ... 224
가난한 집 처녀[3수](貧女吟[三首]) ... 224
죽은 아이들을 슬퍼하여(哭子) ... 225
림제(林悌) ... 226
마우가(馬牛歌[優談]) ... 226
잠령민정(蠶령민亭) ... 227
아침에 쓸쓸히 앉아(朝坐无廖鳴琴自遣) ... 228
매운 추위(苦寒) ... 229
먼 수자리(遠戌) ... 229
두메 사람들(峽民) ... 230
락엽(落葉) ... 230
시조 ... 231
김종서 ... 231
삭풍은 나무끝에 불고 ... 231
장백산에 기를 꽂고 ... 231
성삼문 ... 232
수양산을 바라보며 ... 232
이 몸이 죽어가서 ... 232
박팽년(朴彭年) ... 233
가마귀 눈비 맞아 ... 233
양사언(楊士彦) ... 233
태산이 높다 하되 ... 233
황진이 ... 233
내 언제 신의 없어 ... 233
리순신 ... 234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234
림제 ... 234
북천이 맑다커늘 ... 234
가사(歌辭) ... 235
정극인(丁克仁) ... 235
상춘곡(賞春曲) ... 235
정철(鄭澈) ... 239
관동별곡(關東別曲) ... 239
사미인곡(思美人曲) ... 251
속미인곡(續美人曲) ... 256
패설 ... 260
용재총화선(용齋叢話選) 성현 저 ... 260
스님속인 상좌(1) ... 260
스님속인 상좌(2) ... 261
물건너는 중 ... 263
어리석은 사위 ... 266
안생전 ... 268
진씨의 허풍 ... 273
소설 ... 275
김시습 ... 275
리생규장전(李生窺墻傳) ... 275
남염부주지(南炎浮州志) ... 309
림제 ... 338
화사(花史) 발취 ... 338
도나라력사(陶) ... 338
재판받는 쥐(鼠獄說) 발취 ... 350
17세기(리조중기) 문학 ... 374
한시 ... 374
권필(權필) ... 374
말을 타고 읊노라(馬上口占) ... 374
적들이 물러간후 서울에 들어가면서(賊退后入京) ... 375
고경명의 유해를 개장함에 제하여(高判書敬命改葬挽章) ... 375
달구지군(驅車兒) ... 379
흑흑 느껴운다(切切何切切) ... 381
단천부사로 부임하는 리자민을 보내며(送李子敏安訥出守端川) ... 382
충주돌(忠州石) ... 384
싸우는 개(斗狗行) ... 386
박인로(朴仁老) ... 387
절도사 전삼달을 관서로 보내며[2수](送全節度三達赴關西[二首]) ... 387
회포를 읊다[2수](述懷[二首]) ... 388
가난의 노래(安分吟) ... 389
련옥정에서(煉玉亭) ... 393
류몽인(柳夢寅) ... 393
이천에서(伊川) ... 393
홀어미(孀婦) ... 394
신흠(申欽) ... 395
어질고 밝은 사람에 대한 노래(賢達行) ... 395
이른 봄날 느낀바 있어(早春起懷) ... 397
림경업(林慶業) ... 397
우연히 읊노라(偶吟) ... 397
김상헌(金尙憲) ... 398
심양 옥중에서 가을날 느낀바 있어(沈獄送秋日感懷) ... 398
홍익한(洪翼漢) ... 399
심양옥중에서 답청일에 느낀바 있어(沈獄踏靑日詠懷) ... 399
오달제(吳達濟) ... 400
안해 남씨에게(沈獄寄內南氏) ... 400
심광세(沈光世) ... 400
락화암(落花岩) ... 400
리명한(李明漢) ... 402
심양에서 돌아오며(回自沈陽) ... 402
시조 ... 404
홍익한 ... 404
수양산 나린 물이 ... 404
김상현 ... 404
가노라 삼각산아 ... 404
남팔아 남아 사이언정 ... 405
리명한 ... 405
초강 어부들아 ... 405
리정환(李廷煥) ... 406
박제상 죽은후에 ... 406
림경업 ... 406
력발산 기개세는 ... 406
홍서봉(洪瑞鳳) ... 407
리별하든 날에 ... 407
신흠 ... 407
준중에 술이 있고 ... 407
공명이 긔 무엇고 ... 408
조존성(趙存性) ... 408
아희야 구렁망태 매여라 ... 408
김광욱(金光煜) ... 408
도연명 죽은후에 ... 408
동풍이 건득 불어 ... 409
남구만(南九萬) ... 409
동창이 밝았느냐 ... 409
벼슬을 저마다 하면 ... 409
김삼현(金三賢) ... 410
공명을 즐겨말아 ... 410
주의식(朱義植) ... 410
하늘이 높다 하고 ... 410
박인로 ... 410
반중 조홍감을 ... 410
만구를 늘여내여 ... 411
윤선도(尹善道) ... 411
기세탄(飢歲嘆) ... 411
하우요(夏雨謠) ... 411
오우가(五友歌) ... 412
어부사시사(漁夫四時詞) ... 413
가사 ... 427
박인로 ... 427
태평사(太平詞) ... 427
선상탄(船上嘆) ... 434
루항사(陋巷詞) ... 440
소설 ... 447
작자미상 ... 447
임진록(壬辰錄) 발취 ... 447
작자미상 ... 458
박씨부인전(朴氏夫人傳) 발취 ... 458
허균(許筠) ... 463
홍길동전(洪吉童傳) 발취 ... 463
김만중(金萬重) ... 468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발취 ... 468
가화 ... 468
구운몽(九雲夢) 발취 ... 493
석교상의 팔선녀 ... 493
성진의 팔개 명주 ... 494
성진의 세상생각 ... 496
성진이 양가에 환생 ... 498
양소유의 부친이 신선이 되다 ... 502
18∼19세기 중엽 문학 ... 506
시조 ... 506
김천택(金天澤) ... 506
지족이면 불욕이요 ... 506
안빈을 슬히 너겨 ... 506
공명이 긔 무엇고 ... 507
엇그제 덜 괸 술을 ... 507
김수장(金壽長) ... 507
공명에 눈뜨지 말며 ... 507
안빈을 염치 말아 ... 508
단풍은 연홍이요 ... 508
북더위 훈증한 날에 ... 508
신희문(申喜文) ... 509
서방님 병들여두고 ... 509
무명씨 ... 509
새벽서리 지샌 달의 ... 509
사랑사랑 고고이 ... 509
댁들에 나무를 사오 ... 510
죽장 짚고 망혜 신고 ... 510
가사 ... 511
정약전(丁若銓) ... 511
농가월령가 ... 511
무명씨 ... 513
추풍감별곡(秋風咸別曲) ... 513
백구사(白鷗詞) ... 515
상사곡(相思曲) ... 516
춘면곡(春眠曲) ... 517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 ... 519
새타령 ... 520
한시 ... 522
정약용(丁若鏞) ... 522
장기농가(長기農歌) ... 522
적성촌의 시골집(奉旨廉察到積成村舍作) ... 523
굶주리는 인민(飢民詩) ... 526
보리타작(打麥行) ... 529
룡산촌의 아전(龍山吏) ... 530
더운 날에 술을 마시며(夏日對酒) ... 531
김립(金笠) ... 533
고향생각(思鄕) ... 533
삿갓을 읊노라(詠笠) ... 537
어린 간쟁이를 비웃는라(嘲幼冠者) ... 538
산촌훈장을 조롱하여(嘲山村學長) ... 538
비를 만나 촌가에서 자면서(逢雨宿村家) ... 539
훈장을 훈계하다(訓戒訓長) ... 539
농가에서 자면서(宿農家) ... 540
설경(雪景) ... 541
금강산(今剛山) ... 542
묘향산시(妙香山詩) ... 542
광한루에 올라(登廣寒樓) ... 543
광탄을 지나며(過廣灘) ... 543
환갑연(還甲宴) ... 544
파자시(破字詩) ... 545
강좌수 축객시(姜坐首逐客) ... 545
조수삼(趙秀三) ... 546
가을의 봉천에서(風川秋日次陶詩韻八道) ... 546
동둔의 가을(東屯省秋) ... 549
대라신동에서(大羅信洞江州界) ... 550
다듬이소리(砧聲) ... 551
소설 ... 552
민간국문소설 ... 552
춘향전(春香傳) 발취 ... 552
심청전(沈淸傳) 발취 ... 565
흥부전(興夫傳) 발취 ... 574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발취 ... 582
콩쥐팥쥐 발취 ... 585
토끼전 발취 ... 592
장끼전 발취 ... 600
무명씨의 창작 소설 ... 603
옥루몽(玉樓夢) 발취 ... 603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 발취 ... 615
배비장전 발취 ... 626
실학파소설 ... 637
박지원(朴趾源) ... 637
량반전(兩班傳) ... 637
호질(虎叱) ... 643
허생전(許生傳) ... 65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