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일러두기
병와집 권13
잡저(雜著)
격물(格物)과 물격(物格)의 변 ... 1
행장(行藏)의 변(辨) ... 2
가묘(家廟)와 사당(祠堂)이 같으냐 다르냐 하는 변(辨) ... 3
시(詩)와 역(易)의 동이(同異) ... 3
예악(禮樂)의 본말(本末) ... 3
심주(心主) ... 4
...
더보기
목차 전체
일러두기
병와집 권13
잡저(雜著)
격물(格物)과 물격(物格)의 변 ... 1
행장(行藏)의 변(辨) ... 2
가묘(家廟)와 사당(祠堂)이 같으냐 다르냐 하는 변(辨) ... 3
시(詩)와 역(易)의 동이(同異) ... 3
예악(禮樂)의 본말(本末) ... 3
심주(心主) ... 4
곡강(曲江) 종형기(從亨記) 후서(後敍) ... 4
장릉(莊陵)의 시말을 초략(抄略)한 것에 후서(後敍) ... 6
도잠음형(道岑飮馨) ... 9
이안재기(易安齋記) 뒤에 쓰다 ... 11
삼운통고(三韻通考) 뒤에 쓰다 ... 12
문혈록(문血錄) 뒤에 쓰다 ... 13
문혈록(문血錄) 서(序)의 뒤에 쓰다 ... 14
기형설(璣衡說) ... 14
선기옥형(璿璣玉衡) ... 14
숭고(崇高)는 천(天)의 중(中)에 바로 해당한다 ... 19
남북극(南北極)은 그 양단(兩端)을 유지하고 천(天)은 일월성수(日月星宿)와 더불어 비스듬히 회전한다 ... 19
형(衡)의 길이는 8척 공(孔)의 직경은 1촌이다 ... 20
기(璣)의 직경은 8척이고 원주(圓周)는 2장(丈) 5척 남짓이다 ... 20
의(儀)는 3중(三重)으로 만든다 ... 20
육합의(六合儀) ... 20
흑단환(黑單環)은 수평으로 놓는다 ... 20
그 자오(子午)에 연결한다 ... 21
천위(天緯) ... 21
세 환(環)은 표리가 서로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 21
남북 2극이 모두 원축(圓軸)이 되는데 가운데가 비고 안으로 향하여 삼진(三辰)과 사유(四游)의 환(環)을 끌어당긴다 ... 21
삼진의(三辰儀) ... 22
황(黃)·적(赤) 2도(道) ... 22
사유의(四游儀) ... 22
직거(直距) ... 22
허리 가운데의 안쪽 면에 조그만 구멍을 만들어 옥형(玉衡)의 허리 가운데의 소축(小軸)을 수용케 한다 ... 23
이리하여 점후(占候)하는 자가 위로 살피게 하였다 ... 23
하부에 기륜(機輪)을 설치하여 물로써 부딛치게 한다 ... 23
경설(經說)을 높여 아이들에게 보임 ... 23
가례시종설(家禮始終說) ... 25
성명설(性命說) ... 25
음양호생설(陰陽互生說) ... 27
역(易)은 복서(卜筮)의 글이라는 설(說) ... 27
선니관(宣尼冠)에 대한 설(說) ... 30
순옹설(順翁說) ... 30
정생(鄭生) 욱(煜)군의 자설(字說) ... 30
책문(策問) ... 31
입암유산록(立巖游山錄) ... 32
가노(家奴) 선일(善一)과 맺는 계권(契券) ... 48
가노(家奴) 인발(仁發)과의 약문(約文) ... 49
병와집 권14
서(序)
영양우거(永陽寓居) 서(序) ... 51
적연당시고(寂然堂詩稿) 서(序) ... 53
양주(楊州) 사동계(四洞契) 서(序) ... 54
탐나순역도(耽羅巡曆圖) 서(序) ... 54
신 의집(申義集)의 호연정(浩然亭) 시(詩)에 차운(次韻)하여 붙이는 서(序) ... 56
하청시(河淸詩) 서(序) ... 57
문주연(文周衍) 서(序) ... 59
가례편고(家禮便考) 서(序) ... 61
호연정(浩然亭) 서(序) ... 62
쌍봉(雙峰) 정공(鄭公) 문집 서(序) ... 63
보반의식(報反儀式) 서(序) ... 65
옥산잡영(玉山雜詠) 서(序) ... 66
보반의식(報反儀式) 서(序) ... 67
기(記)
병와기(甁窩記) ... 69
발(跋)
영천(永川) 선생안(先生案) 발(跋) ... 71
우우정유사(友于亭遺事) 발(跋) ... 72
상량문(上樑文)
호연정(浩然亭) 상량문(上樑文) ... 74
삼성묘(三姓廟) 상량문(上樑文) ... 76
구강서원(龜岡書院) 이건 상량문 ... 78
성남서당(城南書堂) 상량문 ... 80
효령대군(孝寧大君) 사우중수(祠宇重修) 상량문 ... 82
축문(祝文)
관악산(冠岳山) 기우문(祈雨文 지제교(知製교)를 대신하여 지음) ... 85
제주(濟州) 삼성묘(三省廟) 봉안축문(奉安祝文) ... 85
삼성묘(三省廟) 춘추상향(春秋常享) 축문(祝文) ... 88
곡강서원(曲江書院)에 용주(龍州) 선생 배향 때 회재(晦齋)선생께 고하는 글 ... 89
용주(龍州) 조선생(趙先生)에게 고하는 글 ... 90
구강서원(龜岡書院) 상향축문(常享祝文) ... 92
병와집 권15
제문(祭文)
신두석(申斗錫)에게 드리는 제문 ... 93
안학유 후정(安學諭後靜)에게 드리는 제문 ... 94
서계숙 복래(徐啓叔復來)에게 드리는 제문 ... 95
죽은 며누리 공인(恭人) 심씨(沈氏)에게 드리는 제문 ... 96
이관찰 현조(李觀察 玄祚)에게 드리는 제문 ... 98
김원주 일기(金原州 一夔)에게 드리는 제문 ... 100
손경주 만웅(孫慶州 萬雄)에게 드리는 제문 ... 102
손두일 한추(孫斗一 漢樞)에게 드리는 제문 ... 105
진사(進士) 이이직 경중(李以直 敬中)에게 드리는 제문 ... 107
큰 누님에게 드리는 제문 ... 108
승지(承旨) 심계량(沈季良)에게 드리는 제문 ... 110
지평(持平) 손덕승(孫德升)에게 드리는 제문 ... 111
서내적(徐乃積)에게 드리는 제문 ... 112
별제(別提) 이만부(李萬敷)에게 드리는 제문 ... 114
묘지(墓誌)
10대조(十代祖) 효령대군(孝寧大君) 정효공(靖孝公) 묘지 ... 116
9대조(九代祖) 서원군(瑞原君) 이안공(夷安公) 묘지 ... 119
종제 형서(衡瑞)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20
장사랑 남별전 참봉(將仕郞南別殿參峰) 홍공(洪公)의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21
대군(大君)의 사부(師傅) 쌍봉 정공(雙峯鄭公)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28
병와집 권16
묘지(墓誌)
통훈대부행사복시판관(通訓大夫行司僕寺判官) 송공(宋公)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33
통덕랑(通德郞) 송공(宋公)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39
통정대부 경주부윤(通政大夫 慶州府尹) 손공(孫公)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42
목수(牧수) 김공(金公) 내외(內外)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47
흥해군수(興海郡守) 이공(李公)과 숙인(淑人) 응천박씨(凝川朴氏) 묘지명(墓誌銘) ... 150
성균생원(成均生員) 이공(李公) 묘지명(墓誌銘) ... 152
정처사(鄭處士)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54
효자(孝子) 증지평(贈持平) 홍공(洪公) 묘지명(墓誌銘) 병서(幷序) ... 155
묘갈(墓碣)
안좌랑(安佐郞)의 영인(令人) 최씨(崔氏) 묘갈명(墓碣銘) ... 164
손처사(孫處士) 묘갈명(墓碣銘) 갈(碣)은 곧 지(誌)이니 지유(誌類)에 있어야 한다 ... 165
뇌(뇌)
서사증(徐士增) 뇌문(뇌文) ... 168
홍 감사(洪監司) 중하(重夏) 뇌문(뇌文) ... 171
병와집 권17
장(狀)
동래관방(東來關防) 변통장(變通狀) ... 175
동래(東萊) 차왜(差倭)와 문답한 장계(狀啓) ... 177
제주민폐(濟州民弊) 장(狀) ... 181
제주(濟州)에 양자(養子)드리는 문서를 청하는 장(狀) ... 191
제주(濟州)에서 사전(祀典)을 변통(變通)하기를 청하는 장(狀) ... 191
재차 올리는 장(狀) ... 193
호소사(呼召使)로서 대구(大邱)에서의 장계(狀啓) 무신(戊申) ... 196
첩(牒)
봉상시(奉常寺)에서 예조(禮曺)에 보고함 ... 198
재차 보고 ... 198
삼차 보고 ... 199
품목(稟目) ... 201
지금의 봉안위차(奉安位次) ... 203
무신(戊申) 등록(謄錄) 위차(位次) ... 203
여지승람 방위 분배 ... 204
품목(稟目) ... 204
병와집 권18
첩(牒)
성주(星州) 이사룡(李士龍)의 처에게 먹을 것을 주기를 청하는 첩(牒) ... 209
성주문묘(星州文廟)의 삭망 때에 분향(焚香)을 수령(守令) 유고시에는 유생(儒生)이 대신 행하도록 하는 첩(牒) ... 209
성주(星州) 전정(田政)의 변통첩(變通牒) ... 211
동래(東萊)에서 타관(他官)의 기민(飢民)을 함께 진휼(賑恤)하자는 첩(牒) ... 216
경주(慶州)에 음사(淫祀)를 금할 것을 청하는 첩(牒) ... 217
경주(慶州)의 정전(井田) 터를 침범하여 잘라내는 일을 즉시 금하도록 청하는 첩(牒) ... 218
부록(附錄)
병와선생 이공 행장 ... 219
병와집 발문 ... 239
강도지(江都志)
강도지(江都志) 상(上)
서(序) ... 243
폭원(幅員) ... 246
연혁(沿革) ... 246
성씨(姓氏) ... 248
민호(民戶) ... 248
관원(官員) ... 248
명환(名宦) ... 251
낭청(郎廳) ... 255
차제(差除) ... 257
구근(久勤) ... 259
방리(防里) ... 261
산악(山岳) ... 262
사목(事目) ... 264
해도(海島) ... 265
천포(川浦) ... 266
고적(古跡) ... 267
사단(詞壇) ... 274
봉수(烽燧) ... 275
토산(土産) ... 275
인물(人物) ... 276
우거(寓居) ... 278
풍속(風俗) ... 280
충신(忠臣) ... 282
효자(孝子) ... 282
열녀(烈女) ... 287
장교(將校) ... 294
군병(軍兵) ... 295
관속(官屬) ... 301
속읍(屬邑) ... 301
진보(鎭堡) ... 302
형승(形勝) ... 309
파수(把守) ... 315
성곽(城郭) ... 322
돈황(墩隍) ... 329
진도(津渡) ... 334
선박(船舶) ... 337
궁궐(宮闕) ... 341
영전(影殿) ... 342
사각(史閣) ... 352
향교(鄕校) ... 353
사우(祠宇) ... 355
제문(祭文) ... 361
상양문(上樑文) ... 362
능묘(陵墓) ... 365
불사(佛寺) ... 366
누관(樓觀) ... 368
공해(公해) ... 372
창고(倉庫) ... 374
군향(軍餉) ... 378
강도지(江都志) 하(下)
군기(軍器) ... 385
내탕(內帑) ... 393
제궁(諸宮) ... 394
각사(各司) ... 394
교량(橋梁) ... 396
제언(堤堰) ... 396
천장(泉井) ... 399
풍우(風雨) ... 404
전답(田畓) ... 413
목장(牧場) ... 414
둔전(屯田) ... 417
부역(賦役) ... 420
요록(料祿) ... 424
시재(試才) ... 426
적거(謫居) ... 427
축물(畜物) ... 431
제영(題詠) ... 431
총논(總論) ... 432
임진영담(壬辰零談) ... 435
정묘록(丁卯錄) ... 436
병정록(丙丁錄) ... 44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