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대학교양총서」발간에 즈음하여
머리말
Ⅰ. 言語와 音樂
1. 國樂의 當爲性 ... 1
2. 中國 音樂 ... 3
3. 西洋 音樂 ... 8
4. 國樂의 特徵 ... 13
Ⅱ. 國樂의 발자취
1. 三國時代의 音樂 ... 20
가. 고구려의 음악 ... 20
나. 백제의 음악 ... 22
다. 신라의 ...
더보기
목차 전체
「대학교양총서」발간에 즈음하여
머리말
Ⅰ. 言語와 音樂
1. 國樂의 當爲性 ... 1
2. 中國 音樂 ... 3
3. 西洋 音樂 ... 8
4. 國樂의 特徵 ... 13
Ⅱ. 國樂의 발자취
1. 三國時代의 音樂 ... 20
가. 고구려의 음악 ... 20
나. 백제의 음악 ... 22
다. 신라의 음악 ... 22
2. 高麗時代의 音樂 ... 24
가. 鄕樂 ... 24
나. 唐樂 ... 25
다. 雅樂 ... 25
3. 朝鮮時代의 音樂 ... 27
가. 조선시대 전기의 음악 ... 27
나. 조선시대 중기의 음악 ... 32
다. 조선시대 말기의 음악 ... 36
Ⅲ. 國樂器 이야기
1. 거문고 ... 46
2. 가야고 ... 50
3. 젓대 ... 53
4. 現存하는 國樂器 ... 58
가. 음악의 갈래에 따른 분류법 ... 58
나. 제작 재료에 의한 분류법 ... 59
다. 연주법에 의한 분류법 ... 60
Ⅳ. 雅樂曲의 理解 - 아악곡의 분류방법
1. 管絃合奏와 줄(絲)풍류 ... 65
2. 대(竹)풍류와 三絃六角 ... 67
3. 倂奏 ... 68
4. 管絃合奏 ... 68
가. 향피리 중심의 음악 ... 69
나. 거문고 중심의 음악 ... 70
다. 기타 ... 72
5. 管樂合奏 ... 74
가. 향피리 중심의 음악 ... 74
나. 당피리 중심의 음악 ... 78
6. 吹打系 音樂 ... 84
7. 文廟祭禮樂 ... 85
Ⅴ. 民俗樂의 理解
1. 판소리 ... 92
2. 시나위와 散調 ... 97
3. 雜歌와 民謠 ... 100
4. 農樂 ... 103
Ⅵ. 敎養度에 따른 노래의 形態
1. 敎養層의 風流 ... 106
가. 가곡의 계보 ... 106
나. 가곡의 구성과 선비의 생태 ... 109
2. 庶民層의 風流 ... 115
가. 서울지방의 악속 ... 115
나. 서도지방의 악속 ... 121
3. 承傳 놀음 ... 122
Ⅶ. 時調
1. 時調音樂의 成立 ... 133
2. '平'과 '중허리'와 '지름'의 形態 ... 135
3. '엇'의 形態 ... 137
4. '엇엮음'의 形態 ... 137
5. '엮음'의 形態 ... 138
6. 가곡과 시조와의 비교 ... 139
가. 形式 ... 139
나. 長短 ... 140
Ⅷ. 梵唄와 巫樂
1. 梵唄 ... 143
가. 齋의 種類 ... 144
나. 音樂의 種類 ... 145
다. 作法 ... 146
2. 巫樂 ... 146
가. 경기 무악 ... 146
나. 호남 무악 ... 147
다. 경상·강원도 무악 ... 147
라. 서도 무악 ... 148
마. 제주도 무악 ... 149
Ⅸ. 國樂敎育의 過去와 現在
1. 序言 ... 150
2. 過去의 國樂機關과 敎育制度 ... 151
가. 삼국시대 ... 151
나. 고려시대 ... 152
다. 조선시대 ... 153
3. 1945년 이전의 國樂敎育 ... 165
4. 1945년 이후의 國樂敎育 ... 166
가. 國立國樂院의 掌樂院 承繼 ... 167
나. 國樂의 學校敎育 ... 167
5. 結語 ... 171
Ⅹ. 傳統舞踊의 脈
1. 古代 ... 174
2. 三國時代 ... 176
3. 高麗時代 ... 182
4. 朝鮮時代 ... 185
XI. 탈춤
1. 백제에서 일본에 전한 伎樂舞 ... 193
2. 韓國의 탈춤 ... 199
가. 경기지방의 탈춤 ... 200
나. 서해지방의 탈춤 ... 203
다. 영남지방의 五廣大와 野遊 ... 206
라. 北靑 사자놀음과 꼭둑각시놀음 ... 208
XII. 長短法
1. 杖鼓의 沿革 ... 212
2. 장고장단의 기보법과 치는 법 ... 214
3. 장고장단의 기본형 ... 217
4. 잡가와 민요장단 ... 22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