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북한에 대한 상식의 허실 ... 13
제1부 남북한 相互意識의 거리
1. 서울 눈물과 평양눈물 ... 14
2. 평양 기자의 서울 보도 ... 15
3. 한국의 북한에 대한 상식 ... 18
4. 남북한 '마음의 거리'와 相容性 ... 20
5.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認識 ... 21
제...
더보기
목차 전체
Ⅰ. 북한에 대한 상식의 허실 ... 13
제1부 남북한 相互意識의 거리
1. 서울 눈물과 평양눈물 ... 14
2. 평양 기자의 서울 보도 ... 15
3. 한국의 북한에 대한 상식 ... 18
4. 남북한 '마음의 거리'와 相容性 ... 20
5.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認識 ... 21
제2부 凍土의 偶像文化
1. 공산권 문화의 開放化 波長 ... 23
2. 북한 지식인의 權力 盲從性 ... 25
3. 북한 문학예술계의 冬眼 ... 27
4. 살아 있는 英雄神話 창조의 추태 ... 31
5. 文化解氷 요원한 凍土의 땅 ... 32
제3부 主體思想에 매몰된 북한 지식인
1. 북한의 새 인텔리와 오랜 인텔리 ... 35
2. 主體思想의 同語反復的 해설자들 ... 38
3. 과학 기술자들의 勞動者化 현상 ... 41
4. 思想性 앞세워 체제에 순응해야 ... 43
5. 구호뿐인 인텔리의 革命化 강조 ... 45
제4부 한국의 北韓文化연구
1. 북한 연구의 분기점 1975년 ... 47
2. 언어 문제에 먼저 집중된 문화 연구 ... 51
3. 문화 정책 및 사회 과학 연구 ... 54
4. 언어·문학 예술·언론·종교 연구 내용 ... 58
5. 학문적 접근에 앞선 정책 활용성 ... 62
Ⅱ. 국가상징과 정통성 ... 65
제1부 상징 깃발과 태극기
1. 상징 깃발의 충돌과 스포츠 행사 ... 66
2. 역사적 고증이 필요한 태극기의 유래 ... 68
3. 한민족의 정통성과 역사의 상징 ... 69
4. 정치적 상징 조작 서두른 貨車政權 ... 71
5. 북한 깃발의 反民族的 성격 ... 73
6. 분단과 象徵繼承의 민족사적 의미 ... 74
제2부 애국가
1. 國歌는 엄숙한 國家의 상징 ... 77
2. 愛國歌의 유래와 歷史性 ... 78
3. 북한의 도전, 애국가의 임의 제정 ... 81
4. 50년 역사 지닌 애국가의 정통성 ... 83
제3부 꽃이야기
1. 한반도와 독립투쟁의 상징 무궁화 ... 86
2. 개인 우상화 위한 북한의상징화들 ... 90
3. 國花 무궁화의 자격 시비와 도전 ... 93
4. 審美性보다 역사적 의미 비중둬야 ... 96
Ⅲ. 역사관과 정통성 ... 99
제1부 檀君觀
1. 神話的 존재로 취급하는 북한 歷史書의 檀君觀 ... 100
2. [조선전사]의 檀君神話해석과 非神話化 추구 인식 ... 103
3. 國祖이면서 民族始祖라는 한국민의 檀君認識 ... 105
4. 행사 비중의 격상된 開天節 행사와 社會·宗敎차원 ... 107
5. 民族史觀과 實證史觀 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 ... 109
6. 상징성 못지않은 역사성의 중요함 ... 112
제2부 韓과 朝鮮
1. 점차 정치적 대립 개념된 韓과 朝鮮 ... 114
2. 日帝 의식한 대항적 의미 '韓' 사용 ... 115
3. 해방 후 갈라선 좌·우익의 구분 사용 ... 118
4. 한 정치학자의 「國號韓國考」 所論 ... 121
5. '韓'의 半島性과 事大慕華性 시비 ... 122
6. '大韓' 사용 회피하려는 북한의 의도 ... 124
7. 국호 개정 문제의 성격과 전제 조건 ... 125
제3부 수도로서의 서울과 平壤
1. 서울보다 늦은 平壤의 首都起源史 ... 127
2. 서울에의 平壤 도전과 그 성격 ... 133
3. 統一指向의 首善之地 ... 139
Ⅳ. 가정 생활과 삶의 질 ... 141
제1부 核家族化와 敬老孝親
1. 효도 캠페인과 세태의 변화 ... 142
2. 論語에 나타난 孝의 세 형태 ... 144
3. 부모와 이웃에는 효심과 공경심 ... 146
4. 勁老현상에 대한 사회고발장 ... 147
5. 효도보다 충성 강조하는 북한의 도덕 ... 149
6. 북한의 核家族의미와 그 잔존 ... 150
7. 남북 老父母 찾기 사업에의 기대치 ... 152
제2부 서울 아이와 평양 아이
1. 허구적 가상을 일반화시킨 북한 ... 154
2. 남북한 어린이의 식생활조건 ... 156
3. 社會化過程을 달리하는 남북한 ... 158
4. 양육 아닌 훈육으로 아이를 키워야 ... 159
5. 가정 교육의 역할 무시하는 북한 ... 161
6. 민족 전통의 끈 찾는 교육의 요체 ... 162
제3부 德談과 '삶의 質'
1. 새해 덕담과 '삶의 질'향상 ... 164
2. '新年辭' 암송에 바쁜 북한의 正初 ... 166
3. 경제 성장과 '삶의 質'에의 관심 ... 167
4. 낙관적 반응 보인 '삶의 질'인식 ... 170
5. 북한 주민의 행복관과 삶의 질 ... 172
6. 體制同調的 '사회주의적 새 인간' ... 174
7. 사상보다 앞선 인간의 본성 ... 176
Ⅴ. 문화 양상과 정신상황 ... 179
제1부 학자와 학문 세계
1. 사회적 대우 좋은 근로 인텔리 ... 180
2. 북한 학자의 學位學職 수여 과정 ... 182
3. 학문 연구의 準據, 金日成의 '敎示' ... 185
4. 학문 발전 저해하는 폴리페서 ... 187
제2부 英雄觀과 영웅 신화
1. 역사상의 영웅와 오늘의 영웅 ... 190
2. 丹齊1 申采浩의 [新東國英雄論] ... 192
3. 한국 학생의 제1영웅 이순신 장군 ... 194
4. 大衆的 英雄主義 강조와 역사왜곡 ... 197
제3부 애국심과 충성심
1. 스포츠에의 성원과 소박한 애국 ... 201
2. 非常的 愛國도 서슴지 않는 의식 ... 203
3. 북한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사업 ... 205
4. 북한의 '애국'은 형태화된 충성심 ... 209
제4부 '붉은색'의 상징조작
1. 맹好色이면 혐오감 주는 붉은색 ... 211
2. 공산권에서 다져진 붉은색의 정치적 상징화 ... 213
3. '빨갱이'를 만족스럽게 받아들이는 북한 ... 215
4. 붉은색의 色彩論的 성격과 색채 감정 ... 217
5. 붉은색은 공산주의자의 독점물 아니다 ... 219
6. 경계해야 될 북한의 심리전 상징 조작 ... 222
제5부 國土意識의 문제
1. '天池兩分說'과 중국의 탐욕 ... 224
2. 북한·중국만의 문제 아닌 영토 문제 ... 227
3. 북한의 백두산 탐사 보도와 그 내용 ... 228
4. '백두사 兩分說'시사와 책임 소재 ... 230
5. 백두산과 독도에 대한우리의 관심 ... 231
6. 한국민의 국토의식과 독도 문제 ... 233
7. 間島·對馬島 잃은 역사 잊지 말아야 ... 235
제6부 작품 제목으로 본 精神狀況
1. 제목의 政治思想 강조하는 북한 ... 237
2. 애꾸양반과 나의 따발총 ... 239
3. 한글 푸대접받는 미술·영화 제목 ... 241
4. 金日成 父子의 '말'인용 제목 많아 ... 244
5. 남북한 정신 상황의 단면 드러내 ... 246
제7부 거리의 간판
1. '大'字 많은 서울과 북한의 사용 억제 ... 248
2. 국적 없는 商號名과 북한의 비난 ... 251
3. 직업 명칭 변경은 원시 민주주의 사상 ... 253
4. 金日成 父子가 작명한 지하철역 이름 ... 255
5. 금강산의 이름 改名 일삼는 金正日 ... 256
제8부 행사장의 만세 삼창
1. 남북한의 3·1절 행사와 만세 삼창 ... 258
2. 登極儀禮에서 비롯된 '만세'의미 ... 261
3. 항일투쟁 외침의 표상 - 만세 삼창 ... 262
4. 구호로 변한 북한의 '만세'와 話唱 ... 264
Ⅵ. 문화적 정통성과 통합 ... 267
제1부 글의 문화·말의 문화
1. 구호에서 보이는 문화 양상 ... 268
2. 표준어와 '文化語' ... 279
제2부 우리말 이름과 호칭
1. 作名관습 무시하는 우리말 이름 ... 289
2. 부진한 북한의 고유어 이름짓기 ... 291
3. 정치적 의미 지닌 호칭 '동무'와 '동지' ... 292
4. 인위적 규범화시킨 북한의 호칭 사용 ... 296
제3부 한글 기념일
1. 세종 대왕의 한글 창제 동기 ... 299
2. '가갸날'을 효시로 한 민족적 기념일 ... 301
3. 북한 훈민정음 창제일의 부당성 ... 303
4. 역사적 근거없는 북한의 1월15일 ... 305
5. 훈민정음 창제일을 고집하는 까닭 ... 306
6. 정치성 앞세운 북한 주장의 부당성 ... 308
제4부 전통 문화 계승과 正統性
1. 북한의 민족문화 강조와 '주체 사상' ... 311
2. 한국의 전통 문화 정책과 학계 논의 ... 314
3. 남북한의 文化的 正體性 인식 ... 316
4. 남북한의 문화전통의 적합성 기준 ... 318
5. 전통 문화 교류로 공통 분모 늘여야 ... 321
제5부 문화적 양상과 성격
1. 남북한 문화 비교의 전제조건 ... 322
2. 대중 문화의 전달 내용이 갖는 문제 ... 325
3. 전통 문화 재발견과 북한의 논리 ... 327
4. 문화의 '형식과 내용' 분리의 虛構 ... 329
5. 열린 魂이 없는 문화의 凍土地帶 ... 331
6. 菊花型과 해바라기型 文化의 차이 ... 333
제6부 문화 발전과 문화 통합 전망
1. 生活用具文化의 동질적 요소 ... 336
2. 남북 사회 변동과 문화 발전의 모습 ... 337
3. 文化變動과 국제 환경적 요인 ... 339
4. 문화 변동의 內的要因과 改新 ... 341
5. 남북 문화 교류와 그 파급 효과 ... 343
6. 單一文化圈형성과 북한의 도전 ... 344
7. 체제 초월적 관계 성정의 모색 ... 34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