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 면역학의 기초
Ⅰ. 선천성 면역
1.1. 감염에 대한 방어벽 ... 2
1.2. 식세포에 의한 미생물의 살균 ... 4
1. 전문적 식세포 ... 4
2. 식작용 ... 4
3. 살균기전 ... 7
1.3. 보체계에 의한 식작용의 촉진 ... 8
1. 보체및 그 활성화 ... 8
2. 보체의 생물학적 기능 ... ...
더보기
목차 전체
1. 면역학의 기초
Ⅰ. 선천성 면역
1.1. 감염에 대한 방어벽 ... 2
1.2. 식세포에 의한 미생물의 살균 ... 4
1. 전문적 식세포 ... 4
2. 식작용 ... 4
3. 살균기전 ... 7
1.3. 보체계에 의한 식작용의 촉진 ... 8
1. 보체및 그 활성화 ... 8
2. 보체의 생물학적 기능 ... 10
1.4. 보체 매개 급성 염증반응 ... 11
1.5. 체액성 기전에 의한 이차 방어작용 ... 12
1. 급성기 단백 ... 13
2. 인터페론 ... 14
1.6. 세포외 기전에 의한 세포의 살상 ... 14
1. 자연살해(NK)세포 ... 14
2. 호산구 ... 15
2. 면역학의 기초
Ⅱ. 특이획득(후천성)면역
2.1. 특이면역기전의 필요성 ... 17
2.2. 항체-특이 어댑터 ... 17
1. 항체는 새로운 보체경로(고전경로)를 활성화한다 ... 17
2. 복합체 형성 항체는 식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 19
2.3. 항체생산의 세포적 기초 ... 20
1. 항체는 림프구에 의해 생산된다 ... 20
2. 항원이 항체생산 림프구를 선택한다 ... 23
3. 획득(후천성) 체액면역은 클론의 확장을 필요로 한다 ... 24
2.4. 획득면역기억 ... 24
1. 2차 체액 항체반응 ... 25
2.5. 획득면역의 특이성 ... 27
2.6. 예방접종 ... 27
2.7. 세포성 면역은 세포내 기생 미생물에 대한 방어를 담당한다 ... 28
1. 림포카인 생산 T세포는 대식세포의 세포내 기생체 살해를 돕는다 ... 28
2. 세포독성 T세포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세포의 살해 ... 29
2.8. 면역병리 ... 30
요약 ... 30
3. 항원을 인식하는 분자
면역글로불린 ... 35
3.1. 기본구조는 4개의 peptide단위 ... 35
3.2. 아미노산 배열은 면역 글로불린 구조의 다양성을 나타낸다 ... 36
1. Isotypes ... 37
2. Allotypes ... 39
3. Idiotypes ... 40
3.3. 면역 글로불린은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구형 domain으로 접혀져 있다 ... 42
1. 면역 글로불린 domain은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 42
2. 가변 domain은 항원과 결합한다 ... 42
3. 불변부의 domain들은 제2의 생물학적 기능을 결정한다 ... 43
3.4. 면역 글로불린의 Class와 subclass ... 44
1. 면역 글로불린 G(IgG) ... 44
2. 면역 글로불린 A(IgA) ... 46
3. 면역 글로불린 M(IgM) ... 47
4. 면역 글로불린 D(IgD) ... 48
5. 면역 글로불린 E(IgE) ... 48
6. 면역 글로불린의 subclass ... 48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계(MHC) ... 49
3.5. Class Ⅰ및 class Ⅱ 분자는 세포막에 결합한 이형 2량체이다 ... 49
3.6.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계의 유전자지도 ... 51
3.7. MHC 유전자는 현저한 다형성을 표현한다 ... 51
3.8. MHC의 유전 ... 53
3.9. MHC분자의 조직분포 ... 53
3.10. MHC의 기능 ... 54
T세포 수용체 ... 54
항원인식에 대한 다양성의 발생 ... 55
3.11. 다유전자좌는 항체를 Code하고 있다 ... 56
3.12. 유사유전자가 T세포 수용체를 coding하고 있다 ... 57
3.13. 한정된 유전자 루프로부터 많은 다양성을 만들어내는 기전 ... 58
1. 다양성의 사슬내 증폭 ... 58
2. 사슬간 증폭 ... 59
3. 체세포 초변이 ... 59
요약 ... 60
1. 면역 글로불린 ... 60
2.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계(MHC) ... 61
3. T세포 수용체 ... 61
4. 항원인식의 다양성 발현 ... 62
4. 항원의 인식
Ⅰ. 1차 상호작용
4.1. 항원이란 무엇인가 ... 63
4.2. Epitope와 항원결정기에 관해서 ... 63
4.3. 항원과 항체는 공유결합이 아닌 공간적인 상보성에 의해 서로 작용한다 ... 65
4.4. 항원과 항체의 결합력은 분자간 거리가 작을수록 커진다 ... 66
1. 정전력(Electrostatic) ... 66
2. 수소결합 ... 68
3. 소수성(Hydrophobic) ... 68
4. Van der Waals힘 ... 68
4.5. 항원과 항체의 결합력과 친화성 ... 69
4.6. 항원에 대한 항혈청의 결합 활성-다가결합의 증가효과 ... 70
4.7. 항체에 의한 항원인식의 특이성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 72
4.8. T세포는 무엇을 인식하는가 ... 73
1. Haplotype 제한은 MHC 관여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 73
2. T세포는 '처리된' 항원을 인식하는가 ... 74
3. 특이성은 2개의 T세포 수용체에 의한 것인가 ... 75
4. MHC와 명목상의 항원은 복합체 형성에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가 ... 76
4.9. 항원성에 관련한 특징 ... 77
요약 ... 77
5. 항원의 인식
Ⅱ. 검출과 응용
5.1. 침강반응 ... 79
1. 고전적 침강반응 ... 79
2. Gel내 침강반응의 검출 ... 79
3. 복합체의 간접침강반응 ... 84
5.2. 항체에 의한 응집 ... 85
5.3. Affnity chromatography에 의한 항원과 항체의 정제 ... 86
5.4. 표지시약을 이용한 항원과 항체의 immunoassay ... 86
1. 여러 가지 표지를 이용할 수 있다 ... 87
2. 액상계 immunoassay ... 87
3. 고상계 immunoassay ... 89
5.5. Immunoblotting(Western blots) ... 89
5.6. 면역조직화학-세포 및 조직중의 항원의 국재 ... 89
1. 면역 형광법 ... 89
2. 세포 표면항원과의 반응 ... 92
3. 기타 표지항체법 ... 93
5.7. 세포분리법 ... 93
5.8. 생물활성의 중화 ... 95
요약 ... 95
6. 획득면역반응
Ⅰ. 항원인식의 결과
면역반응은 어디서 일어나는가?-면역반응의 해부 ... 97
6.1. 림프절 ... 98
1. B세포 영역 ... 98
2. T세포 영역 ... 98
6.2. 비장 ... 99
6.3. 점막하 림프조직 ... 99
6.4. 골수는 항체 생산의 주요 부위가 된다 ... 104
6.5. 항원은 어디로 가는가? ... 104
T세포의 활성화 ... 106
6.6. 면역 적격 T 및 B 림프구의 표층 ... 106
6.7. T세포의 활성화는 2개의 signal을 요구한다 ... 107
B세포의 활성화 ... 108
6.8. B세포는 3개의 다른 형의 항원에 반응한다 ... 108
1. 1형 흉선 비의존성 항원 ... 108
2. 2형 흉선 비의존성 항원 ... 108
3. 흉선 의존성 항원-Helper T세포와의 공동작업의 필요성 ... 109
6.9. B세포 활성화의 본질 ... 111
6.10. Clone의 증대를 T세포가용성 인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 112
6.11. T세포 인자는 특히 작동세포의 성숙을 유발한다 ... 113
요약 ... 113
7. 획득면역반응
II. 작동물질의 생산
액성항체의 생산 ... 115
7.1. 항체생산세포의 검출과 계측 ... 115
1. 면역형광법 ... 115
2. Plaque법 ... 115
7.2. 단백질 합성 ... 115
7.3. 항체 class의 변환은 각 B세포에서 일어난다 ... 116
7.4. 자손에 의해 분비된 항체의 특이성은 부모세포의 표층 면역 글로불린의 특이성과 같은가? ... 119
1. 1-세포 1-항체설은 옳다 ... 120
2. 표층 항체는 분비된 면역 글로불린의 특이성과 관련되어 있다 ... 120
3. Class변환을 일으킨 B세포는 1차 반응후 고율로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 121
7.5. 항체의 친화성 ... 121
1. 항원량의 영향 ... 121
2. 친화성의 성숙 ... 122
7.6. Monoclonal 항체 혁명 ... 122
세포성 면역은 2가지 무기를 가지고 있다 ... 125
7.7. Helper T세포는 가용성 mediator(lymphokine)를 생산한다 ... 125
1. 활성화 ... 125
2. 상이한 T세포 stbset는 상이한 lymphokine을 만드는가? ... 127
3. 성장인자와 분화인자 ... 127
4. 대식세포와 관련이 있는 lymphokine ... 128
5. 세포독성 lymphokine ... 129
7.8. Killer T세포 ... 129
1. 치사과정 ... 130
요약 ... 131
8. 획득면역반응
Ⅲ. 조절
8.1. 항원은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이다 ... 133
8.2. 항체는 feedback조절작용을 한다 ... 133
8.3. T세포에 의한 조절 ... 134
1. Helper T세포 ... 134
2. Suppressor T세포 ... 134
3. 작동 T세포는 MHC표면분자에 의해 적절한 표적으로 유도된다 ... 138
8.4. Idiotype networks ... 139
1. Jerne의 network가설 ... 139
2. Idiotype network의 증거 ... 139
3. Idiotype 반응에 의한 조절 ... 140
4. Idiotype에 의한 면역반응의 인위적 조작 ... 143
8.5. 유전자의 영향 ... 144
1. 일반적인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 144
2. 면역 글로불린 유전자와 관련된 면역 반응 ... 145
3. 면역반응은 주조직적합성 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145
8.6. 면역계를 조절하는 면역-신경 내분비 network은 존재하는가? ... 147
8.7. 면역학적 관용은 자가반응을 막는다 ... 150
1. 신생아기의 사건 ... 150
2. 성인기의 사건 ... 151
3. 관용 유도기전 ... 152
요약 ... 154
9. 획득면역반응
Ⅳ. 발생
태생기의 면역계 발생 ... 157
9.1. 다기능성 조혈계 간세포 ... 157
9.2. 흉선은 T세포 분화를 위한 환경을 부여한다 ... 157
9.3. 흉선내의 T세포 분화 ... 159
1. 분화는 표면 maker의 변화를 수반한다 ... 159
2. 수용체의 재배열 ... 160
3. MHC제한의 imprinting ... 160
4. 자기관용의 유도 ... 161
9.4. B세포는 태생기에는 간장에서, 그 후에는 골수에서 분화한다 ... 162
9.5. 분화하는 B세포의 표현형 변화 ... 162
9.6.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재구성 과정 ... 163
1. 대립유전자의 배제 ... 164
2. 상이한 특이반응은 연속해서 나타난다 ... 164
9.7. 연령증가에 따른 negative 신호에 대한 B세포의 반응성에 변화가 생긴다 ... 165
9.8. 태생초기의 idiotype network ... 165
9.9. 신생아의 전반적 반응 ... 166
조절을 상실한 증식은 림프계의 증식성 질환을 유발한다 ... 166
9.10. c-myc 원시 종양유전자의 조절부전은 대부분의 B세포종양의 특징이다 ... 166
9.11. 염색체 전위는 림프계 증식성 질환에서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 167
9.12. 상이한 림프계 악성 종양의 각기 분화의 특징적인 단계에서 성숙정지를 나타낸다
168
9.13. 림프계 종양의 면역조직학적 진단 ... 169
1. 백혈병 ... 169
2. 림프종 ... 169
9.14. 형질세포 이상 ... 172
1. 다발성 골수종 ... 172
2. Macroglobulin혈증(Waldenstr$\ddot{o}$ m's macroglobulinaemia) ... 173
3. H사슬병 ... 173
9.15. 림프계 증식성 질환에 의한 2차적 면역부전 ... 174
면역반응의 진화 ... 174
9.16. 자기 인식은 다세포생물의 기본이다 ... 174
9.17. 무척추동물은 체액성 방어기전을 가지고 있다 ... 174
9.18. B와 T세포반응은 척추동물에서 잘 나타난다 ... 174
9.19. B세포계와 T세포계의 발달은 각각 다른 장소에서 분화함으로써 일어난다 ... 175
9.20. 인식분자의 초 면역 글로불린 유전자군(gene superfamily) ... 176
요 약 ... 177
10. 감염에 대한 면역
Ⅰ. 적대전략
세균은 탐식세포에 의한 살균에 감수성이 있다 ... 181
10.1. 세균이 탐식작용으로부터 도피하는 방법 ... 181
10.2. 숙주의 반격 ... 181
1. 독소의 중화 ... 181
2. 세균의 opsonization ... 182
3. 분비형 면역계는 점막외표면을 방어한다 ... 183
10.3. 특별한 예 ... 184
세포내에서 증식하는 세균 ... 186
10.4. 세균의 책략 ... 186
10.5. 방어는 세포성 면역(CMI)에 의한다 ... 187
10.6. 활성화 대식세포는 세포내 기생체를 죽인다 ... 188
Virus감염에 대한 면역 ... 189
10.7. 항원성의 변환(drift)과 치환(shift) ... 190
10.8. 혈청항체에 의한 방어 ... 190
10.9. 국소인자 ... 191
10.10. 세포성 면역은 세포내 바이러스를 공격한다 ... 191
기생충 감염에 대한 면역 ... 193
10.11. 숙주반응 ... 193
1. 체액성 면역 ... 193
2. 세포성 면역 ... 195
10.12. 기생충의 회피방법 ... 197
1. 작동기전에 대한 저항성 ... 197
2. 숙주에 의한 항원인식에서 도피 ... 197
3. 숙주면역반응의 변화 ... 198
10.13. 면역병리 ... 198
요약 ... 198
11. 감염에 대한 면역
Ⅱ. 예방과 면역부전
수동획득면역 ... 203
11.1. 동종항체 ... 203
1. 모체 항체 ... 203
2. γ글로불린 ... 203
11.2. 이종항체 ... 204
예방접종 ... 204
11.3. Vaccine으로서의 사균체 ... 204
11.4. 생약독화 미생물은 vaccine으로서 많은 이점을 갖는다 ... 205
1. 고전적 약독화법 ... 206
2.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한 약독화 ... 206
3. 약독화 vaccine 사용상의 제한 ... 207
11.5. 단일 방어항원을 함유한 vaccine ... 209
1. 정제성분의 사용 ... 209
2. 항원은 유전자 cloning으로 합성할 수 있다 ... 210
3. 항원은 합성 peptide로 대치할 수 있다 ... 210
4. Idiotype은 vaccine으로 이용할 수 있다 ... 210
11.6. Adjuvant ... 213
1. 저장효과(depot effect) ... 214
2. 대식세포 활성화 ... 214
3. 림프구에 대한 특이적 효과 ... 214
4. 항종양작용 ... 215
11.7. 항원인도의 새로운 담체(vehicles) ... 215
사람의 원발성 면역결핍상태 ... 215
11.8. 선천성 면역기전의 결핍 ... 216
1. 탐식세포의 결함 ... 216
2. 보체계의 결핍 ... 216
11.9. B세포의 결핍 ... 217
11.10. T세포 결핍 ... 218
11.11. 간세포(stem-cell)결핍 ... 219
11.12. 면역결핍증의 진단 ... 219
2차 면역결핍 ... 220
11.13.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 221
1. AIDS는 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HIV)감염의 결과이다 ... 222
2. AIDS 감염은 helper T세포를 제거한다 ... 222
3. AIDS의 진단 ... 225
4. AIDS의 억제 ... 225
요 약 ... 225
12. 과민증
12.1. 부적절한 면역반응은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 227
Ⅰ형 : Anaphylaxis형 과민증 (Anaphylacitic hypersensitivity) ... 227
12.2. Anaphylaxis 현상 ... 227
12.3. IgE 수용체의 가교가 비만세포의 방아쇠를 당긴다 ... 228
12.4. 아토피성 알레르기(Atopic allergy) ... 230
1. 알레르기의 임상시험 ... 231
2. 치료 ... 234
Ⅱ형 :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형 과민증 ... 235
12.5. 동종간의 Ⅱ형 반응(동종면역, isoimmune) ... 236
1. 수혈반응 ... 236
2. Rh부적합 ... 237
3. 장기이식 ... 238
12.6. 자가면역 Ⅱ형 과민증 반응 ... 238
12.7. Ⅱ형 약물반응 ... 238
Ⅲ형 : 면역복합체 매개형 과민증 ... 239
12.8. 국소적으로 형성된 복합체에 의한 염증상해 ... 241
1. Arthus 반응 ... 241
2. 흡입항원에 대한 반응 ... 241
3. 내부항원에 대한 반응 ... 241
12.9. 순환복합체에 의한 질환 ... 243
1. 혈청병(Serum sickness) ... 243
2. 면역복합체성 사구체신염 ... 243
3. 기타 국소의 복합체 침착 ... 244
12.10. 면역복합체 형성의 검출법 ... 245
12.11. 치료 ... 246
Ⅳ형 : 세포매개형(지연형) 과민증 ... 246
12.12. Ⅳ형 과민증의 세포적 기초 ... 246
12.13. Ⅳ형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조직파괴 ... 247
1. 감염 ... 247
2. 접촉피부염 ... 248
3. 그 밖의 예 ... 248
Ⅴ형 : 자극형 과민증 ... 248
선천성 과민증 반응 ... 249
요약 ... 249
13. 이식
이식편 거부 ... 253
13.1. 거부가 면역현상이라는 증거 ... 253
13.2. 이식항원의 유전지배 ... 254
13.3. H-2 부적합의 다른 결과 ... 255
1. Class Ⅱ MHC가 다르면 혼합 림프구 반응(MLR)을 일으킨다 ... 255
2. 세포성 림프구 용해(Cell-mediated lympholysis : CML) ... 256
3. 이식편 대 숙주 반응(Graft-VS-host reaction : g. v. h.) ... 256
13.4. 이식편 거부반응의 발현기전 ... 257
1. 림프구성 거부반응 ... 257
2. 체액성 항체의 역할 ... 257
이식편 거부반응의 예방 ... 259
13.5. 이식편 공여체와 수용체의 조직형 적합시험 ... 259
1. 조직 형별법(Methods for tissue typing) ... 260
2. 사람 HLA계의 다형태성(polymor-phism) ... 261
3. 조직형 적합시험의 가치 ... 262
13.6. 일반적 면역억제를 일으키는 요인 ... 263
1. 림프계 세포의 제거 ... 263
2. 전 림프계 X선 조사(Total lymphoid irradiation, TLI) ... 263
3. 면역 억제재(Immunosuppressive drugs) ... 263
13.7. 동종 이계 이식반응성에 대한 항원 특이적 억제법 ... 265
이식의 임상경험 ... 267
13.8. 유리한 이식부위 ... 267
13.9. 신장이식 ... 267
13.10. 심장이식 ... 268
13.11. 간장이식 ... 268
13.12. 골수이식 ... 268
13.13. 기타 장기 ... 269
HLA형과 질병의 관계 ... 269
모체와 태아의 면역학적 관계 ... 271
암세포는 동종 이계 이식편과 같은가? ... 272
13.14. 종양세포의 표면 변화(그림13-18) ... 272
13.15. 종양조직에 대한 면역반응 ... 274
13.16. 암면역요법의 시도 ... 275
1. 획득면역반응의 이용 ... 275
2. 선천성 면역의 무장화(harnessing) ... 276
13.17. 면역진단법 ... 278
요약 ... 278
14. 자가면역질환
Ⅰ. 영역과 병인
14.1. 자가면역질환의 특이성 분포 ... 281
14.2. 사람 질병의 자가항체 ... 282
14.3. 자가면역이상의 중복 ... 282
14.4. 자가면역질환의 유전인자 ... 283
14.5. 자가면역반응의 병인 ... 288
14.6. 자가면역으로 유도하는 induce T세포 우회기전 ... 290
1. 새로운 담체(carrier) 결정기의 공급 ... 290
2. Idiotype우회기전 ... 292
14.7. 조절우회기전에 의해 일어나는 자가면역 ... 294
1. Suppressor 회로 부전 ... 294
2. Class Ⅱ 분자의 부적절한 발현 ... 297
요약 ... 298
15. 자가면역질환
Ⅱ. 발병기전, 진단, 치료
자가면역질환의 발병기전 ... 299
15.1. 체액성 항체의 작용 ... 299
1. 혈액 ... 299
2. 갑상선 ... 299
3. 내인자(intrinsic factor) ... 302
4. 정자 ... 302
5. 사구체 기저막(glomerular basement membrane) ... 302
6. 근육 ... 303
15.2. 복합체의 효과 ... 303
1. 전신성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SLE) ... 303
2. 류마티스성 관절염(rhematoid arthritis) ... 305
15.3. 세포성 과민증 ... 310
15.4. 자가면역질환의 실험 모델 ... 313
1. 실험적 자가 allergy성 질환 ... 313
2. 특발성 자가면역질환 ... 315
자가항체시험의 진단상의 가치 ... 315
자가면역이상의 치료 ... 315
15.5. 대사조절 ... 315
15.6. 항염증제 ... 315
15.7. 면역억제제 ... 316
15.8. 면역학적 제어법 ... 317
요약 ... 319
찾아보기 ... 321
INDEX ... 32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