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解放前後史의 認識』을 내면서 ... 3
1.
解放의 民族史的 認識 / 宋建鎬 ... 13
1. 민중이 주체가 되는 역사 ... 13
2. 광복과 국내의 준비태세 ... 14
3. 해외지도자들의 정치활동 ... 16
4. 미군정이 남긴 것 ... 19
5. 일제잔재의 재등장 ... 23
6. 이즘이냐 민족이냐 ... 28
美軍政의...
더보기
목차 전체
『解放前後史의 認識』을 내면서 ... 3
1.
解放의 民族史的 認識 / 宋建鎬 ... 13
1. 민중이 주체가 되는 역사 ... 13
2. 광복과 국내의 준비태세 ... 14
3. 해외지도자들의 정치활동 ... 16
4. 미군정이 남긴 것 ... 19
5. 일제잔재의 재등장 ... 23
6. 이즘이냐 민족이냐 ... 28
美軍政의 政治史的 인식 / 陳德奎 ... 33
1. 인식의 관점 ... 33
2. 개념적인 성격 ... 35
3. 미군정의 권력구조 ... 37
(1) 미군정의 전개 ... 37
(2) 한반도의 국제질서와 미군정의 통치과정 ... 43
(3) 미군정의 한국인 관료엘리트 ... 49
4. 미군정기의 정치상황 ... 53
5. 미군정의 정치사적 평가 : 민족주의적 인식 ... 59
分斷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 金學俊 ... 64
1. 서론 ... 64
2. 분단의 事實的 배경 ... 65
(1) 극동지역의 전후 처리에 대한 연합국의 입장 ... 65
(2) 전시회담에 있어서의 한국문제 ... 66
3. 분단의 현실적 배경 ... 69
(1) 일반명령 제1호의 배경 ... 69
(2) 독일 및 베트남 분할과의 차이 ... 72
4. 미·소의 분할점령과 남북한 정권의 배태 ... 73
(1) 소련의 점령정책과 북한의 (순수형연립) 시기 ... 74
(2) 미국의 점령정책과 남한 ... 78
5. 모스크바 3상회의와 한국 신탁통치안 및 미·소공동위원회 ... 80
(1) 모스크바 3상회의와 한국에 관한 합의 ... 80
(2) 찬탁과 반탁 ... 82
(3) 미·소공동위원회와 남북한의 정치상황 ... 84
6. 한국문제의 유엔이관 ... 89
(1) 한국문제와 유엔의 역할 ... 89
(2) 유엔에 있어서 한국문제의 고려 ... 90
(3) UNTCOK의 활동과 한국정치지도자들의 노력 ... 92
7. 두 개의 한국 탄생과 한반도 분단의 고정화 ... 94
2.
反民特委의 활동과 와해 / 吳翊煥 ... 101
1. 反民特委의 성립·활동·좌절 ... 103
(1) 反民族行爲處罰法의 發議 ... 103
(2) 쏟아진 修正案 ... 106
(3)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의 발족 ... 107
(4) 들끓는 찬반여론 ... 109
(5) 이승만과 반민법 ... 110
(6) 이승만의 반민법개정작전 ... 112
(7) 국회의 자가당착 ... 120
(8) 친일세력의 방해공작 ... 121
(9) 반민특위요원 암살음모사건 ... 124
(10) 반민특위에 대한 습격사건 ; 6.6사건 ... 127
(11) 반민특위의 와해 ... 134
2. 反民特委재판의 실제 ... 138
(1) 본격적인 조사활동 ... 138
(2) 反民公判의 준비 ... 140
(3) 검거 1호 朴興植 ... 142
(4) 박흥식의 보석파동 ... 146
(5) 첫 심판대에 오른 황족 ... 149
(6) 자칭 애국자 李鍾滎 ... 150
(7) 변절을 후회하는 崔麟 ... 153
(8) 악질 高等警視 金泰錫 ... 155
(9) 金秊洙의 경우 ... 159
(10) 「나의 告白」 쓴 李光洙 ... 160
(11) 崔南善의 경우 ... 161
(12) 수배 중에 활보하던 盧德述 ... 166
부록 1 : 반민족행위처벌법 ... 167
부록 2 : 반민족행위 특별조사기관 조직법 ... 170
부록 3 : 반민족행위 특별재판부 부속기관조직법 ... 171
日帝末 親日群像의 실태 / 朴鍾國 ... 172
1. 친일의 해석문제 ... 172
2. 총독정치의 입안·실천자 ... 174
3. 각급 의결·자문기관 ... 178
4. 일제의 경찰과 군 ... 183
5. 敎化정책의 하수인 ... 186
6. 시국강연반 ... 189
7. 愛國金釵會와 기타 ... 192
8. 조선군사후원연맹 ... 195
9.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 ... 197
10. 사상범보호관찰령과 사상보국 ... 200
11. 종교인들의 굴복 ... 202
12. 기독·장로·감리교의 내선일체 ... 206
13. 親日고꾸고雜誌의 탄생 ... 209
14. 창씨·가미다나의 앞잡이 ... 212
15. 銃後부인부대의 활동 ... 215
16. 시국대책조사위원회의 활동 ... 218
17. 국민총력조선연맹 ... 220
18. 臨戰對策協議會 ... 224
19. 朝鮮臨戰報國團 ... 226
20. 皇民作家·皇民作品 ... 229
21. 學兵을 이렇게 몰아냈다 ... 235
22. 日帝의 國會議員과 大義黨 ... 240
23. 朝鮮言論報國會 ... 242
24. 개인적인 친일 및 낙수 ... 243
25. 우리를 분노하게 하는 것 ... 246
8·15 직전의 독립운동과 그 試鍊 / 趙東杰 ... 248
1. 독립운동의 시기적 특징 ... 248
2. 독립운동의 이념 ... 250
(1) 지도이념의 정립 ... 250
(2) 지도이념의 확산과 교류 ... 251
(3) 지도이념의 분화와 통합 ... 255
3. 종전기의 民衆結社 ... 255
(1) 학생운동 ... 255
(2) 농민운동 ... 257
(3) 노동운동 ... 258
4. 종전기의 정치·사회단체 ... 259
(1) 京城콩그룹 ... 259
(2) 建國同盟 ... 260
(3) 조선어학회 등의 문화단체 ... 260
(4) 재미한족연합위원회 ... 261
(5) 조선독립동맹 ... 261
5. 종전기의 독립군 ... 262
(1) 光復軍 ... 262
(2) 조선의용군 ... 263
6. 중경의 임시정부 ... 264
7. 8·15와 독립운동진영의 시련 ... 266
3.
金九의 思想과 行動의 再照明 / 白基玩 ... 273
1. 몰이해에 대한 반론 ... 273
2. 항일노선과 그 반성 ... 276
3. 임시정부와 무장유격전 ... 279
4. 민족해방, 좌절과 다시 일어남 ... 286
5. 탁치문제와 백점 ... 290
6. 두 개의 한국 반대투쟁 ... 294
李承晩路線의 재검토 / 金道鉉 ... 301
1. 분단과 통일운동의 시대 ... 301
2. 외교·분열·친미주의 ... 303
3. 정략만을 품고 온 귀국 ... 307
4. 세력기반의 구축 ... 310
5. 신탁주장 전력의 반탁 ... 312
6. 냉전구조의 전개 ... 315
7. 단독정부 수립호소 ... 317
8. 남한 단독정부의 수립 ... 320
9. 민족운동사상의 위치 ... 324
8·15를 전후한 呂運亨의 정치활동 / 李東華 ... 327
1. 제1차 투옥 ... 327
2. 몽양의 동경행 ... 328
3. 오오까와 슈우메이와의 교제 ... 330
4. 고노에 후미마르와의 회견 ... 331
5. 제2차 투옥 ... 333
6. 조선건국동맹의 결성 ... 335
7. 해외연락활동과 항일무력전의 준비 ... 336
8. 중·일화평공작과 몽양의 중국행 문제 ... 337
9. 해방 전날 정무총감 엔도오와의 회담 ... 342
10.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과 확충 ... 347
11. 건국치안대의 조직과 8·16연설 ... 350
12. 건준의 내분과 해체 ... 352
13. 조선인민공화국의 수립 ... 354
14. 조선인민당-근로인민당의 발족 ... 357
15. 좌우합작운동의 전개 ... 359
16. 좌우합작 7원칙의 결정 ... 362
17. 몽양의 인도행 문제 ... 364
18. 5·10총선거와 협상파정치인들의 과오 ... 365
19. 테러와 殉國 ... 368
4.
해방후 農地改革의 전개과정과 성격 / 兪仁浩 ... 371
1. 농지개혁의 배경 ... 371
(1) 농지개혁 이전의 농업의 상황 ... 371
(2) 농지개혁의 요망 ... 378
(3) 북한의 토지개혁 ... 382
(4) 지주들의 거부반응과 토지방매 ... 390
2. 해방후 농지개혁의 논점 ... 399
(1) 해방 직후의 논점 ... 399
(2) 농지개혁의 3대방안 ... 403
(3) 입법의원의 토지개혁법안 ... 407
(4) 귀속농지 배분의 문제 ... 411
3 . 농지개혁법의 검토 ... 413
(1) 농지개혁법의 제정 ... 413
(2) 농지개혁법의 분석 ... 415
(3) 농지개혁사업의 실시 ... 420
4. 농지개혁의 의의 ... 422
(1) 농민적 토지소유의 확립 ... 422
(2) 농지개혁의 농민부재성 ... 437
(3) 농지개혁 성과론의 검토 ... 444
5.
해방후 한국문학의 樣相 / 任軒永 ... 451
1. 8·15, 그 文學史的 意義 ... 451
2. 좌·우파 각종 문학단체의 混立 ... 453
3. 강령과 기치 ... 455
4. 해방을 노래하는 자세 ... 459
5. 순수논쟁과 민족문학 ... 462
6. 詩史的 결실과 과오 ... 464
7. 월복·재북시인들 ... 467
8. 結·미해결의 친일문학 ... 468
소설을 통해본 해방직후의 사회상 / 廉武雄 ... 471
1. 머리말 ... 471
2. 해방의 감격 ... 472
3. 농민해방의 목표 ... 476
4. 식민지적 잔재의 청산문제 ... 482
5. 참된 해방을 위하여 ... 48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