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제1부 한국사상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한국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푸는 말 ... 13
2. 무엇이 한국사상사인가 ... 16
3. 탐구의 방법과 방향 ... 19
4. 평가를 위한 몇 가지 개념틀 ... 23
5. 맺는 말 ... 35
한국의 철학적 전통에 대한 주체적 관점
1. 철학사 탐구의 현재적 의...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제1부 한국사상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한국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푸는 말 ... 13
2. 무엇이 한국사상사인가 ... 16
3. 탐구의 방법과 방향 ... 19
4. 평가를 위한 몇 가지 개념틀 ... 23
5. 맺는 말 ... 35
한국의 철학적 전통에 대한 주체적 관점
1. 철학사 탐구의 현재적 의의 ... 39
2. 전통이해의 두 줄기 장애 ... 40
3. 한국사상사의 세 차례 비극 ... 42
4. 고대사 기술에 투영된 사대·식민사관 ... 44
5. 반민족적 사관의 내용과 연원 ... 46
6. 내인적 발전에 대한 편견들 ... 47
7. 근대 이전 사상적 한국사의 자율적 역동 ... 48
8. 전통철학에 대한 서양철학적 자리매김의 문제 ... 50
9. 한국철학사의 구체적 탐구 ... 52
제2부 한국의 유교와 불교
한국유학의 사회사상적 전개
1. 푸는 말: 논의의 성격과 한계 ... 57
2. 유교 ... 유학
3. 조선조 성리학의 기능과 역기능 ... 70
4. 조선후기 실학의 역사적 기능과 한계 ... 79
5. 맺는 말 ... 94
전통불교의 사회사상적 성격
1. 종교에 담긴 일반적 우상들 ... 99
2. 불교의 근본성격 ... 101
3. 초기 승가의 지향과 그 한계 ... 102
4. 인도불교의 흐름과 승속관계 ... 103
5. 중국사에서의 불교와 척불운동 ... 104
6. 한국사에서의 불교의 기능과 한계 ... 105
7. 불교적 사회의식을 한계짓는 매듭들 ... 106
8. 한계극복의 방향 ... 110
9. 매듭풀기를 위한 몇 가지 암시적 제언 ... 111
조선 유학사상의 인간학적 발전: 李操·李珥·丁若鏞
1. 머리말 ... 115
2. 성리학적 인간론의 기본구조: 주희의 경우 ... 116
3. 조선중기 성리학의 도덕형이상학적 인간론: 이황과 이이 ... 125
4. 조선후기 실학의 실천비판적 인간학: 정약용의 경우 ... 139
5. 맺음말 ... 147
제3부 성리학의 철학적 전개
조선초기 성리학의 사회윤리관: 鄭道傳
1. 머리말 ... 153
2. 老拂批判에 나타난 정도전철학의 발상법적 특성 ... 154
3. 계급관 ... 158
4. 정치질서관 ... 164
5. 학문적 정통관 ... 168
6. 정도전의 사회사상에서 윤리관이 지닌 위치 ... 173
7. 꼬리말 ... 175
조선중기 성리학의 사회관 : 韓元震
1. 머리말 ... 179
2. 민생안정책 ... 185
3. 국방대책 ... 195
4. 신분관 ... 205
5. 의리관 및 붕당관 ... 208
6. 원리적 태도 ... 213
7. 이기관과 사회관 ... 217
8. 맺음말 ... 222
조선후기 성리학의 사회사상: 李恒老
1. 머리말 ... 225
2. 사회사상의 기저: 성리학적 이상과 일상적 사고 ... 229
3. 대내현실의 모순과 그 극복방안 ... 240
4. 대외현실의 모순과 그 극복방안 ... 257
5. 맺음말 ... 272
조선후기 성리학의 이기론: 李恒老
1. 머리말 ... 277
2. 理·氣의 개념과 특성 ... 280
3. 主理的 사고의 기초 ... 283
4. 理·氣와 太極·陰陽 ... 289
5. 理氣관계의 제문제 ... 290
6. 맺음말 ... 311
제4부 다산실학사상의 영역들
정약용의 존재론과 운동관
1. 머리말 ... 319
2. 性理學的 存在觀의 부정 ... 321
3. 性理學的 運動觀의 부정 ... 331
4. 새로운 존재관의 골격 ... 341
정약용의 인식론과 과학관
1. 머리말 ... 359
2. 인식의 종류와 그 한계 ... 360
3. 감각적 지각과 도덕적 판단의 인식론적 지위 ... 374
4. 꼬리말 ... 390
정약용의 사단칠정관
1. 정약용철학에서 사단칠정관이 지닌 위치 ... 395
2. 사단칠정관의 골격과 구조 ... 396
3. 氣發論의 긍정: 李珥에의 찬동 ... 397
4. 理發論의 긍정 :李滉에의 동의 ... 402
5. 비판적 종합의 구조와 근거 ... 407
6. 사단칠정론의 극복과 정약용철학의 발전 ... 413
정약용의 언어관: 상징과 논리의 만남
1. 시대적 한계에 도전한 언어론적 관심 ... 419
2. 전통적 언어교육에 대한 비판 ... 420
3. 정확한 언어사용에 쏟은 학문적 정열 ... 424
4. 언어관에 깔린 철학적 관점과 현실적 지향 ... 426
5. 확장된 의식영역으로서의 기호론적 세계 ... 427
6. 상징적 의미연관의 개방성과 그 제어축 ... 429
7. 언어요건으로서의 의미론적 통일성과 통사론적 완결성 ... 431
8. 개방적 상징과 폐쇄적 논리의 변증법 ... 433
9. 역사적 한계인의 정치실천과 짝한 언어관 ... 434
찾아보기 ... 43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