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 11
1판 서문 ... 17
서론 ... 21
제1부 유교의 본질
제1장 공자 전후시대의 사회문제 ... 29
1. 西周시대의 사회경제적 상황 ... 29
2. 서주시대의 이데올로기 ... 29
3. 춘추·전국시대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사회구조의 근본적 전환 ... 39
제2장 유교사상의 본질 ... 48
1. 당...
더보기
목차 전체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 11
1판 서문 ... 17
서론 ... 21
제1부 유교의 본질
제1장 공자 전후시대의 사회문제 ... 29
1. 西周시대의 사회경제적 상황 ... 29
2. 서주시대의 이데올로기 ... 29
3. 춘추·전국시대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사회구조의 근본적 전환 ... 39
제2장 유교사상의 본질 ... 48
1. 당대의 사회구조적 변화에 대한 공자의 기본입장 ... 48
2. 공자의 사회윤리론 ... 59
1) 새로운 인간유형:'君子' ... 59
2) '德治'이념 ... 65
3) 孟子와 荀子에 의한 德治이념의 발전 ... 70
(1) 맹자 ... 71
(2) 순자 ... 74
4) 正名論 ... 80
5) '仁'사상의 의의와 한계 ... 87
(1) '仁'사상의 개념적 분석 ... 87
(2) 당대의 사회경제적 변화속의 '仁'사상 ... 92
(3) '仁'과 '仁本主義'사상 ... 108
3. 공자의 사회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 111
(1) 공자의 사회윤리론 요약 ... 111
(2) 공자 사회윤리론의 의의와 한계 ... 114
제2부 유교적 사회의 사회경제적 구조
서장 ... 121
제1장 서구인들의 아시아관 ... 126
1. 시민사회의 아시아관 ... 126
2. 마르크스의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 128
제2장 유교적 사회의 土地私有制 생산관계론 ... 139
1. 灌漑假說의 부정 ... 139
2. 토지사유제의 성립과 '관료적' 중앙집권국가 성립의 물질적 토대 ... 156
1) 중농경상의 경제정책 ... 160
2) 사유재산의 법률적 확립과 자영농에 대한 농세·군역세의 도입 ... 161
3) 사회경제적 기본단위로서 소가족 확정 ... 162
3. 관료 - 지주의 지배체제와 '동양적 전제주의론'의 부정 ... 163
1) 지주층의 형성과 그 정치수단으로서의 관료제 ... 173
2) '동양적 전제주의'의 파괴와 관료 - 지주의 지배 ... 189
4. '토지사유제 생산관계'에서의 '관료 - 지주'의 지배와 사회변혁의 원동력으로서의 농민운동 ... 206
1) '관료 - 지주'에 의한 토지집중과 농민층의 취약한 경제상태 ... 206
2) '정체성'의 문제와 농민봉기의 역사적 기능 ... 238
(1) 사회경제적 정체성 ... 238
(2) '유교적' 중국사회에서 농민봉기의 역사적 기능 ... 242
5. '유교적 중국사회' 구조론 ... 245
제3장 '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의 부정과 마르크스의 유럽중심주의 비판 ... 248
1) 약 2,500년 동안 토지의 사적 소유와 '유교적' 사회의 '관료적 중앙집권정부'를 위한 물질적 토대였다 ... 255
2) '관료적 중앙집권정부'의 재원 ... 257
3) 사회경제적 단위 ... 257
4) 봉건적 관계의 극복 ... 258
5) 지주계급의 독점적 지배 ... 258
6) 노동집약적 영세토지 경영 ... 258
7) 근본적인 생산관계로서의 임대 소작관계의 끊임없는 재생산 ... 259
8) 대관료 - 지주의 사적 대토지소유에 의한 황제의 중앙집권적 정부의 물적 토대의 붕괴와 거대한 농민봉기에 의한 사회의 전복 ... 260
9) 중국에서의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맹아 ... 260
제3부 유교사상의 파괴와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서장
제1장 중국혁명과 유교사상의 파괴 ... 274
1. 유교파괴운동의 사회·역사적 원인 ... 276
2. '新中國'의 이념과 유교의 파괴 ... 284
1) '신문화'와 '신중국' ... 284
2) 유교사상의 파괴 ... 289
(1) 陳獨秀 ... 293
(2) 胡適 ... 295
(3) 진독수의 서구적 합리주의와 미신 비판 ... 296
(4) 吳渠의 유교비판 ... 299
(5) 魯迅의 유교비판 ... 306
(6) (古史辯)학파의 유교 비판 ... 312
제2장 민족주의적 지식인들의 마르크스주의에로의 전환 ... 317
1. 魯迅정신과 노예성 비판 ... 321
1) 노신정신 ... 321
2) 사상적 출발 ... 322
3) 진화론 ... 324
4) 서구화와 사이버지식인 ... 324
5) 마비된 정신의 개조 ... 327
6) '아큐'의 노예성 ... 328
7) 노예성과 제3의 길 ... 331
8) 자립적 인간과 영명한 철인 ... 334
9) '가짜 지식인'비판 ... 335
10) 정신계의 투사 ... 337
2. 李大釗의 '新儒家的 道家的' 세계관 ... 340
1) 슬픈 정국 ... 340
2) 염세심과 자각심 ... 343
3) 儒家의 인간관과 莊子의 세계관 ... 346
(1) 공자의 인간론 ... 348
(2) 莊子의 세계관 ... 349
4) 「인간의 자연질서와 정치」 ... 356
5) 「청춘」의 의지와 신중국 ... 360
6) 형이상학과 러시아혁명 ... 364
3. 郭沫若의 「마르크스의 공자 방문기」 ... 366
제3장 마르스주의의 중국화와 모택동의 혁명론 ... 380
1. 모택동의 중국혁명론 : 스탈린 노선의 거부와 '신민주의의'론 ... 382
2. 마르크스와 모택동의 유물변증법적 근본범주 ... 412
1) 마르크스의 실천적 존재로서의 인간론 ... 413
2) 모택동의 무한한 모순과 무한한 실천의 철학 ... 436
3. 모택동의 중국화된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451
1) 모순의 무한한 분열전개의 세계관 ... 452
2) '주체적 능동성'의 강조 ... 452
결론 ... 456
부록: 유교사상의 역사적 이해와 반성 ... 459
1. 공자의 조화(和)의 세계관과 인본주의적 도덕관 ... 460
2. 주희의 도덕형이상학과 복고적 역사관 ... 464
1) 이(理)와 기(氣) ... 464
2) 숙명론적 보수성과 지식인에 의한 도덕성의 계발 ... 466
3) 복고적 역사관 ... 469
3. 자본주의 이전 사회의 특성과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 ... 472
4. 비판적 평가와 반성 ... 475
이 책에서 언급된 문헌목록 ... 479
찾아보기 ... 49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