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韓國語版 序言
역자의 말
제1장 중국화의 길 ... 11
1. 최초기의 상황 ... 13
전래에 관한 전설들 ... 13
전래의 실제 ... 14
불교신앙의 모습 ... 15
2. 중국사상과의 만남-《理惑論》을 중심으로 ... 17
《理惑論》의 중요성 ... 18
인생관의 문제 ... 18
윤리의 문제 ... 21
孝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韓國語版 序言
역자의 말
제1장 중국화의 길 ... 11
1. 최초기의 상황 ... 13
전래에 관한 전설들 ... 13
전래의 실제 ... 14
불교신앙의 모습 ... 15
2. 중국사상과의 만남-《理惑論》을 중심으로 ... 17
《理惑論》의 중요성 ... 18
인생관의 문제 ... 18
윤리의 문제 ... 21
孝 ... 21
禮 ... 22
《理惑論》의 입장 ... 23
윤회설의 변용 ... 24
윤리적 비판에 대한 반론 ... 25
3. 格義와 그 止揚 ... 27
格義의 의미 ... 27
格義의 중심문제-空 ... 27
心無義 ... 28
卽色義 ... 28
本無義 ... 29
六家七宗 ... 29
格義불교의 배경 ... 29
格義의 비판자-道安 ... 30
羅什의 공헌 ... 33
僧肇와 그 사상 ... 34
격의불교의 체계화 ... 35
物我一體觀 ... 36
眞理論 ... 36
4. 神滅·神不滅의 논쟁 ... 36
神論의 기원 ... 36
慧琳의 《白黑論》 ... 37
宗炳의 神不滅論 ... 38
《瑞應本起經》의 영향 ... 38
何乘天의 신체 ... 정신
顔延之의 비판 ... 41
鄭道子의 《神不滅論》 ... 41
范縝의 《神滅論》 ... 41
曹思文·蕭琛의 반론 ... 41
논쟁의 문제점 ... 46
5. 僞經의 사상 ... 47
僞經의 의미 ... 47
槪觀 ... 47
《梵網經》 ... 49
《提謂波利經》 ... 50
《像法決疑經》 ... 52
《父母恩重經》 ... 54
古本의 내용 ... 55
流布本과의 관계 ... 56
道藏本의 성격 ... 56
전파의 이유 ... 57
제2장 교학의 형성과 변용 ... 59
1. 敎判論의 여러 형태 ... 61
敎判불교의 시작 ... 61
여러 經論의 說 ... 62
槪觀 ... 62
慧觀의 교판 ... 63
劉규의 교판 ... 64
曇鸞의 교판 ... 64
淨影寺慧遠의 교판 ... 65
敎判一般의 특색 ... 67
2. 三論敎學 ... 68
漢譯 三論의 문제 ... 68
삼론학의 전통 ... 68
吉藏의 전기 ... 69
길장의 교판 ... 70
《三論玄義》의 기본적 성격 ... 71
중국사상의 비판 ... 71
正觀의 선양 ... 72
中의 사상 ... 73
길장 이후의 三論敎學 ... 74
3. 天台敎學 ... 75
慧文 ... 75
惠思의 전기 ... 75
末法사상 ... 76
佛道의 파악 ... 77
法華三昧 ... 77
智의의 전기 ... 79
三法사상 ... 80
感應사상 ... 82
《摩訶止觀》의 구성 ... 84
圓頓止觀 ... 85
一念三千 ... 86
중국사상에 대한 견해 ... 87
智의 이후의 상황 ... 88
湛然의 출현 ... 89
法華至上主義 ... 89
體具說·性惡說 ... 90
無情有性說 ... 90
湛然 이후의 천태교학 ... 91
山家·山外의 논쟁 ... 92
原淸의 一念論 ... 94
知禮의 一念論 ... 94
그 후의 추이 ... 94
4. 華嚴敎學 ... 95
화엄종의 初祖 ... 95
화엄교학 성립의 배경 ... 95
杜順 ... 96
智儼의 전기 ... 96
法界緣起의 사상 ... 97
義湘 ... 99
法藏의 전기 ... 100
교판의 확립 ... 100
교학의 근본적 성격 ... 101
三性의 이해 ... 102
六相의 교설 ... 103
十玄의 사상 ... 103
李通玄 ... 104
文超 ... 105
慧苑 ... 106
法詵 ... 106
澄觀의 전기 ... 107
心의 사상 ... 107
宗密 ... 110
敎禪一致論 ... 111
宗密 이후의 화엄교학 ... 114
5. 法相敎學 ... 114
玄장의 공적 ... 114
法相敎學의 성립 ... 115
基의 전기 ... 116
교판적 입장 ... 116
唯識사상 ... 116
五性各別의 논리 ... 117
그 후의 법상종 ... 118
俱舍論 연구의 흥륭 ... 118
6. 密敎 ... 119
밀교의 전래 ... 119
善無畏의 渡來 ... 120
金剛智의 渡來 ... 120
不空의 활약 ... 121
一行과 그의 사상 ... 122
心의 추구 ... 122
惠果 ... 124
그 후의 밀교 ... 124
제3장 실천불교의 전개 ... 127
1. 淨土敎 ... 129
魏晋南北朝시대의 신앙 ... 129
慧遠과 白蓮社 ... 129
白蓮社의 염불 ... 130
曇鸞의 정토교 ... 130
他力사상 ... 131
惡人과 往生 ... 131
道綽의 전기 ... 132
末法과 정토교 ... 133
정토의 견해 ... 134
僞經에 대한 태도 ... 134
善導의 전기 ... 135
근본적 입장 ... 135
三心의 해명 ... 136
往生의 가능성 ... 136
迦才의 《淨土論》 ... 137
善導 이후의 정토교 ... 137
少康 ... 138
慈愍流의 정토교 ... 138
法照 ... 139
《念佛鏡》의 역할 ... 139
2. 三階敎 ... 140
信行의 전기 ... 140
三階의 의미 ... 141
普佛法 ... 141
사회적 실천의 중시 ... 143
수난의 역사 ... 144
《瑜伽法鏡經》의 사상 ... 144
玄宗의 탄압 ... 146
3. 禪 ... 146
禪의 의미 ... 146
중국의 禪 ... 146
초기의 禪者 ... 147
達磨의 등장 ... 149
二入四行 ... 149
악伽宗의 발전 ... 150
僧璨 ... 151
道信과 弘忍 ... 151
北宗·南宗의 분립 ... 152
神秀의 전기 ... 152
神秀의 禪사상 ... 152
그 후의 北宗禪 ... 153
《大乘五方便》의 사상 ... 153
慧能의 전기 ... 154
《六祖壇經》의 문제 ... 154
南宗禪의 선양-神會 ... 155
無念의 주장 ... 156
洪州宗의 발전 ... 157
馬祖道一 ... 157
百丈懷海의 공헌 ... 158
律學의 문제 ... 159
會昌의 폐불과 禪 ... 160
五家七宗 ... 160
臨濟義玄 ... 161
임제선의 특징 ... 161
洞山良价 ... 162
曹洞禪의 원점 ... 162
五位의 사상 ... 164
宋朝禪의 새로운 경향 ... 165
道原의 역할 ... 166
大慧의 看話禪 ... 166
宏智의 默照禪 ... 168
제4장 융합적 사유의 성숙 ... 169
1. 佛敎諸學의 융화 ... 171
중국불교사상의 방향전환 ... 171
延壽와 그의 사상 ... 171
염불에 대한 공감 ... 173
宋代의 정토교 ... 174
遼代의 불교 ... 174
鮮演의 사상-敎禪一致 ... 174
道○의 사상-顯密融合 ... 175
金代의 불교 ... 176
萬松行秀와 《從容錄》 ... 176
元代의 정세 ... 177
普度의 《廬山蓮宗寶鑑》 ... 177
라마교의 문제 ... 178
明·淸代의 불교사상 ... 178
주宏의 민중교화 ... 178
2. 三敎論의 발자취 ... 179
기본적 성격 ... 179
《理惑論》 ... 180
孫綽의 《喩道論》 ... 180
顔之推의 사상 ... 180
南朝의 三敎論 ... 181
隋·唐代의 三敎論 ... 181
宋代의 三敎論 ... 182
宋儒와 李屛山 ... 183
朱子에 대한 반론 ... 184
부록 중국불교사상사 상의 여러 가지 문제 ... 187
1. 중국불교에서의 孝윤리의 수용과정 ... 187
2. 永明延壽의 老莊觀 ... 202
3. 화엄학파의 해탈사상 ... 210
4. 환悟克勤과 화엄교학 ... 223
5. 萬松行秀와 화엄교학 ... 234
6. 중국불교 연구의 現狀과 과제-화엄사상을 중심으로 ... 247
부록 중국불교사 연표 ... 25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