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장 ... 15
Ⅰ. 살아 있는 종교-도교 ... 16
Ⅱ. 도교의 사유思惟방법 ... 17
Ⅲ. 인간의 욕망에 영합한 종교 ... 20
Ⅳ. 사대부문화와 서민문화 ... 21
Ⅴ. 도교와 문학과의 관계 ... 24
Ⅵ. 이 책의 구성 ... 25
상편 도교의 세계관·의례儀禮·방술方術
제1장 동일한 근원과 구조를 통한 자연·사회·인간의 상호 ...
더보기
목차 전체
서장 ... 15
Ⅰ. 살아 있는 종교-도교 ... 16
Ⅱ. 도교의 사유思惟방법 ... 17
Ⅲ. 인간의 욕망에 영합한 종교 ... 20
Ⅳ. 사대부문화와 서민문화 ... 21
Ⅴ. 도교와 문학과의 관계 ... 24
Ⅵ. 이 책의 구성 ... 25
상편 도교의 세계관·의례儀禮·방술方術
제1장 동일한 근원과 구조를 통한 자연·사회·인간의 상호 교감 -동일한 계통의 우주이론의 형성과 신화神化 ... 35
Ⅰ. 신화적인 해석 ... 36
Ⅱ. 이성적인 해석 ... 38
Ⅲ. 중국적 사유思惟 도道 ... 40
Ⅳ. 음양陰陽 ... 43
Ⅴ. 오행五行 ... 51
Ⅵ. 우주도식宇宙圖式의 전개 ... 53
Ⅶ. 철리哲理로부터 종교로 ... 61
Ⅷ. 세계의 생성과정 ... 64
Ⅸ. 신들의 등장 ... 70
제2장 도교의 신神들 -계보와 구조 ... 73
Ⅰ. 원시인에 의한 귀신 ... 74
Ⅱ. 초기 도교신의 계보 ... 75
Ⅲ. 초楚나라 신의 계보 ... 79
Ⅳ. 노자의 신격화 ... 84
Ⅴ. 태일太一의 신앙 ... 85
Ⅵ. 도교 신보神譜의 완성 ... 93
Ⅶ. 늘어나는 신선과 귀신의 숫자 ... 96
제3장 재초齋醮·축주祝呪·부록符록 및 기타 -무의巫醫와 도교(一) ... 99
Ⅰ. 무술(巫術) ... 100
Ⅱ. 재초齋醮의 의례 ... 102
Ⅲ. 주문呪文 ... 114
Ⅳ. 부록符록 ... 120
Ⅴ. 인印·경鏡·검劍 ... 128
제4장 건신술 健身術과 연단술煉丹術 ... 133
무의巫醫와 도교(二)
Ⅰ. 무술巫術과 의술醫術 ... 134
Ⅱ. 장생술長生術 ... 138
Ⅲ. 연단煉丹 ... 150
제5장 도교의 체계화와 정형화 -도교의 철리哲理·신보神譜·의식儀式·방법계통의 성숙과 정형과정 ... 163
Ⅰ. 후한말·삼국시대의 도교 ... 164
Ⅱ. 도교의 성숙 ... 167
Ⅲ. 강남의 무술巫術 ... 174
Ⅳ. 도교와 육조시대의 사대부 ... 178
Ⅴ. 불교의 영향 ... 187
Ⅵ. 중국적 종교로서의 도교 ... 191
중편 도교사의 개관
제1장 풍류의 시대와 광신적 신앙 -초初·성당기盛唐期의 도교열 ... 199
Ⅰ. 도교의 매력과 번영 ... 200
Ⅱ. 도교의 정권으로의 접근 ... 206
Ⅲ. 관·민에 파고드는 도교 ... 209
Ⅳ. 도교의 선전방법 ... 218
Ⅴ. 불교로부터의 차용과 대립 ... 223
Ⅵ. 불교사상 차용에 의한 융합 ... 227
제2장 무격巫覡의 본색 -당송문화의 변천과 도교의 세 가지 추세(一) ... 233
Ⅰ. 안사安史의 난 이후의 변화 ... 234
Ⅱ. 당대 후기에서 송대에 이르기까지의 도교의 성쇠 ... 238
Ⅲ. 송대에서의 도교의 재흥 ... 241
Ⅳ. 북송의 도교 ... 244
제3장 노장老莊·불선佛禪에 접근하는 사대부의 도교 -당송문화의 변천과 도교의 세 가지 추세(二) ... 253
Ⅰ. 중당中唐시대 ... 254
Ⅱ. 중당에서 북송에 이르기까지의 과도기적 변화 ... 259
Ⅲ. 중당기에서의 도교의 변화 ... 267
Ⅳ. 사대부의 접근과 도교의 변화 ... 272
Ⅴ. 외단外丹으로부터 내단內丹으로 ... 275
제4장 귀신과 봉건윤리의 결합 -당송문화의 변천과 도교의 세 가지 추세(三) ... 283
Ⅰ. 도교의 윤리와 계율 ... 284
Ⅱ. 북송말 도교의 세속화 ... 294
Ⅲ. 도교의 세 가지 흐름 ... 300
제5장 다시 한 번의 고조기 -금金·남송南宋의 도교 ... 303
Ⅰ. 전진교와 도교 ... 304
Ⅱ. 전진교의 유儒·불佛수용 ... 309
Ⅲ. 전진교와 대도교大道敎, 전진교와 태일교太一敎 ... 311
Ⅳ. 남송에서의 도교 ... 315
Ⅴ. 백옥섬白玉蟾의 도교 ... 318
Ⅵ. 정명충효파淨明忠孝派의 도교 ... 323
Ⅶ. 금조金朝에서의 전진교 ... 325
Ⅷ. 금조金朝에서의 도교의 권력으로의 접근 ... 328
제6장 추락과 몰락 -원元·명明·청淸대의 도교 ... 331
Ⅰ. 징기스칸과 전진교 ... 332
Ⅱ. 원대의 화중華中·화남華南의 도교 ... 334
Ⅲ. 정일파正一派의 도교 ... 336
Ⅳ. 원대의 도교와 문화구조의 변화 ... 339
Ⅴ. 원대 후기에서의 도교의 쇠퇴 ... 345
Ⅵ. 명대에서의 도교의 성쇠 ... 347
Ⅶ. 청대에서의 도교 ... 352
하편 사대부문화와 민중문화에 끼친 도교의 영향
제1장 성性과 명命의 수양 -도교와 사대부의 인생철학과 생활정취 ... 359
Ⅰ. 당송의 사대부와 도교 ... 360
Ⅱ. 노장사상·선종·중국의학과 도교 ... 365
Ⅲ. 사대부의 이상적 생활과 인생철학으로서의 양생술 ... 372
Ⅳ. 사대부의 생활에 대한 도교의 영향 ... 381
제2장 도교의 귀신관념과 의례儀禮·방술方術의 발전 -도교와 속俗문화와의 관계 ... 383
Ⅰ. 세속에서의 유·불·도 삼교의 융합 ... 384
Ⅱ. 도교의 신보神譜의 전개 ... 391
Ⅲ. 방술方術의 여러 가지 ... 399
Ⅳ. 도덕적 규범-공과격功過格 ... 416
Ⅴ. 세속사회에서의 도교 ... 425
Ⅵ. 도교의 역할-정욕의 억압과 승화·발산 ... 432
제3장 상상력의 세계 -도교와 중국 고전문학 ... 439
Ⅰ. 도교와 노장사상의 다른 점 ... 440
Ⅱ. 종교와 문학 ... 443
Ⅲ. 도교의 원류-초楚의 문화와 무격巫覡 ... 448
Ⅳ. 도교가 문학에 준 신선·요괴·방술 ... 456
Ⅴ. 생生과 사死-심상心象의 심층구조 ... 469
Ⅵ. 고전문학에 보이는 도교적 심상心象 ... 472
Ⅶ. 도교에서의 상상력-존상사신存想思神 ... 499
Ⅷ. 도교적 상상력의 쇠퇴-열광성의 기피 ... 505
주註 ... 50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