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
1. 統一의 當爲性 / 延世春秋 ... 11
2. 통일시각에서 본 民主發展 / 李相禹 ... 17
1. 머리말 ... 17
2. 통일의 당위와 民主社會 建設 ... 18
3. 對話의 주도권과 民主化의 필요성 ... 20
4. 國際環境改善을 위한 民主化 ... 22
2
3. 북한의 民族理念 / 梁好民 ... 25
4. 남북한 經...
더보기
목차 전체
1
1. 統一의 當爲性 / 延世春秋 ... 11
2. 통일시각에서 본 民主發展 / 李相禹 ... 17
1. 머리말 ... 17
2. 통일의 당위와 民主社會 建設 ... 18
3. 對話의 주도권과 民主化의 필요성 ... 20
4. 國際環境改善을 위한 民主化 ... 22
2
3. 북한의 民族理念 / 梁好民 ... 25
4. 남북한 經濟體制의 비교연구 / 邊衡尹 ... 46
1. 경제체제의 類型 ... 46
2. 基本的인 두 경제체제 ... 47
3. 南北韓의 經濟體制 ... 50
4. 要約 ... 55
5. 남북한 社會體制의 변화와 통일문제 / 高永復 ... 57
1. 머리말 ... 57
2. 남북한 社會體制의 異質化 ... 58
3. 體制的 통합의 誘因 ... 61
4. 南北韓의 社會關係 ... 64
5. 社會的 統合에의 길 ... 66
6. 남북한 靑少年의 統一觀 비교 / 張日祚 ... 68
1. 과제의 問題性 ... 68
2. 기존조사·연구에 나타난 統一觀 實態分析 ... 69
3. 통일관 문제의 批判的 解釋 ... 73
4. 새로운 統一觀 形成을 위한 理念的 제안 ... 77
7. 4强關係의 新趨勢와 한반도 / 安秉俊 ... 80
1. 머리말 ... 80
2. 4강관계와 美·日·中 三角協力 ... 82
3. 남북한내의 政治變化와 남북간의 正統性 競爭 ... 86
4. 美·日의 對北韓 접근요인 ... 90
5. 맺음말 ... 94
8. 한반도 中立化論과 주변 强大國 / 黃仁寬 ... 98
1. 머리말 ... 98
2. 美國의 입장 ... 99
3. 소련의 입장 ... 107
4. 中共의 입장 ... 119
5. 日本의 입장 ... 126
9. 分斷國家理論에서 본 한반도의 장래 / 金俊熙 ... 133
1. 分斷國家의 定義 ... 133
2. 一般特徵과 그 구체적인 表現樣相 ... 138
1) 일반특징 ... 138
2) 구체적 형태 : 독일, 한반도, 베트남 ... 140
3. 分斷原因 ... 148
1) 내전에서 생긴 분단국가 : 베트남 ... 149
2) 냉전에서 생긴 분단국가 : 한반도, 독일 ... 151
4. 일반해결책 ... 156
1) 분단국가의 정의에 관한 보충설명 ... 156
2) 總括國家와 部分國家의 관계에 관한 諸學說 ... 157
3) 一般解決策 ... 163
5. 맺음말 ... 172
3
10. 韓國分斷의 기원 / 趙淳昇 ... 177
1. 머리말 ... 177
2. 정책연구의 의의 ... 178
3. 기본가정 ... 179
4. 한국문제에 관련된 전시회의 ... 180
5. 1945년 4월 ∼ 9월의 국제정세 ... 182
6. 일본의 항복 ... 186
7. 정책결정자의 인식 ... 190
1) 영국의 관점 ... 190
2) 중국의 인식 ... 196
3) 소련의 인식 ... 198
4) 미국의 인식 ... 200
8. 한반도 分斷 결정 ... 208
9. 분단결정후의 한반도 ... 212
10. 기본 가정의 평가 ... 218
11. 맺음말 ... 223
11. 3.8선 획정과 美國 / 鄭鎔碩 ... 224
1. 머리말 ... 224
2. 제2차 세계대전 중의 종속관계 ... 224
3. 카이로 宣言의 背景 ... 228
4. 얄타會談 ... 235
5. 포츠담 會談 ... 238
6. 소련 沮止策 ... 240
7. 原子彈投下와 38선 ... 244
8. 맺음말 ... 250
12. 1948년의 南北協商 / 李庭植 ... 251
1. 머리말 ... 251
2. 남북협상의 배경 ... 252
1) 南北連席會議 ... 252
2) 南北連席會議의 國內的 환경 ... 253
3. 南北協商의 動機 ... 255
1) 要人 共同聲明에 나타난 입장 ... 257
2) 白凡 金九의 경우 ... 258
3) 自族自主聯盟의 결성 ... 260
4) 文化人들의 남북협상 지지성명 ... 261
5) 공산당에 대한 기본자세 ... 263
6) '民族은 主義를 초월한다' ... 265
7) 공산주의를 오판한 背景 ... 267
8) 共産則의 동기 ... 269
4. 남북협상의 진행과정 ... 270
1) 준비·교섭과정 ... 270
2) 김구·김규식의 特使 ... 273
3) 회의의 성격 ... 275
4) 예정대로 진행된 회의 ... 277
5) 연석회의 분위기 ... 278
6) 회의의 진행과정 ... 280
7) 4金會談 득실 ... 282
5. 맺음말 ... 284
13. 韓國政黨의 統一政策 / 宋建鎬 ... 287
1. 38線 철폐운동 ... 287
2. 信託統治反對運動 ... 288
3. 南北協商 ... 289
4. 外軍撤收 ... 292
5. 제네바의 統一方案 ... 293
6. 各政黨의 통일정책 ... 294
7. 平和統一論 ... 297
8. 南北交流論 ... 300
9. 先建設·後統一論 ... 304
14. 第2共和國 시대의 統一論議 / 金學俊 ... 306
1. 머리말 ... 306
2. '통일논의' : 그 內容과 評價 ... 308
1) 4.19 혁명과 북한의 반응 ... 308
2) 7.29 총선거와 남한정당들의 통일방안 ... 311
3) 장면정부의 '先建設·後統一論' ... 319
4) 혁신계의 격화된 통일운동 : 이념논쟁과 中立化 논쟁 ... 325
5) 통일논의의 가열 : 學園, 유엔 및 北韓 ... 335
3. 結論 : 몇가지 맺는 생각들 ... 341
15. 南北共同聲明의 정치적 의미 / 梁好民 ... 344
1. 냉전의 限界狀況 속에서 ... 344
2. 남북공동성명의 政治的 意義 ... 346
3. 남북공동성명에 대한 認識의 문제 ... 348
4. 북한측 통일전략의 도식 ... 352
5. 맺음말 ... 356
16. 1970년대의 統一論議 / 金學俊 ... 357
1. 머리말 ... 357
2. 통일논의의 背景 ... 358
3. 統一政策의 전제 ... 359
4. 통일논의의 內容 ... 362
1) 기능주의론 및 단계론 ... 362
2) 평화공존론 ... 364
3) 교류·협력론 ... 366
5. 맺는 생각들 ... 368
17. 북한의 統一政策論 / 趙淳昇 ... 369
1. 머리말 ... 369
2. 무력통일정책 ; 재1기 ... 370
3. 평화통일정책 ; 제2기 ... 372
4. 聯邦制主張 ; 제3기 ... 381
5. 맺음말 ... 388
18. 북한의 人民民主主義 革命路線 / 梁好民 ... 391
1. 基本戰略 ... 391
2. 南朝鮮 革命路線의 구조 ... 404
4
19. 南北統一의 기본문제 / 李相禹 ... 421
1. 머리말 ... 421
2. 남북통일의 基本前提 ... 423
3. 南北統一의 理論模型 ... 425
4. 통일정책의 基本課業 ... 431
5. 맺음말 ... 435
20. 民族統一 운동의 전환기 / 金學俊 ... 436
1. 머리말 ... 436
2. 민족통일운동의 새로운 認識 ... 437
3. 민족통일운동의 前提 ... 439
4. 민족통일운동의 接近方法 ... 441
5. 맺음말 ... 442
21. 통일한국의 經濟的 理念 / 衡邊尹 ... 444
1. 머리말 : 統一의 經濟的 意義 ... 444
2. 통일한국의 經濟體制 ... 445
3. 통일한국 경제의 理念과 목표 ... 446
4. 統一韓國經濟의 과제 ... 448
1) 經濟調整機構 ... 448
2) 所有形態 ... 449
3) 産業構造 ... 450
4) 企業經營과 勞使關係 ... 451
5) 所得分配 ... 451
6) 對外關係 ... 452
統一關係 주요 年表 ... 45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