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간행사
머리말
序章 解放 40년을 보는 視角 ... 11
Ⅰ. 왜 現代史의 再認識인가 ... 11
1. 保守와 反民族의 논리 ... 12
2. 「民族主義」 논리의 虛構性 ... 14
3. 「分斷意識」의 논리 ... 15
Ⅱ. 몇 가지 方法論的 提言 ... 18
1. 史觀의 문제 ... 18
2. 代案은 무엇인가 ... 20
Ⅲ. 大韓...
더보기
목차 전체
간행사
머리말
序章 解放 40년을 보는 視角 ... 11
Ⅰ. 왜 現代史의 再認識인가 ... 11
1. 保守와 反民族의 논리 ... 12
2. 「民族主義」 논리의 虛構性 ... 14
3. 「分斷意識」의 논리 ... 15
Ⅱ. 몇 가지 方法論的 提言 ... 18
1. 史觀의 문제 ... 18
2. 代案은 무엇인가 ... 20
Ⅲ. 大韓民國의 내력과 社會·文化的 특징 ... 22
1. 代議主義의 선택 ... 22
2. 近代化와 革命 ... 24
3. 反革命的 近代化 ... 27
4. 現實認識 Ⅰ : 大學敎育 ... 29
5. 現實認識 Ⅱ : 經濟發展의 의미 ... 30
6. 現實認識 Ⅲ : 自由의 原則 ... 31
7. 現實認識 Ⅳ : 指導層 문제 ... 31
8. 現實認識 Ⅴ : 國民意識의 변화 ... 33
Ⅳ. 北韓社會를 보는 視角 ... 35
第1章 解放의 날을 回顧하면서 ... 39
Ⅰ. 지역별 사정 ... 44
1. 38선 이북 ... 44
2. 38선 이남 ... 46
Ⅱ. 한국인들의 반응 ... 50
第2章 해방 당시의 社會的 조건 ... 54
Ⅰ. 경제적 측면 ... 54
Ⅱ. 식량 사정 ... 57
Ⅲ. 광공업 사정 ... 59
Ⅳ. 물가 상승 ... 60
第3章 해방과 意識의 변화 ... 63
Ⅰ. 意識의 原型 ... 63
Ⅱ. 原型의 변화 과정 ... 66
Ⅲ. 해방에 의한 傳統 및 正統意識의 붕괴 ... 72
Ⅳ. 해방 후 政治文化 형성의 源點 ... 80
1. 民主主義를 인식하는 한국인의 思維形態 ... 80
2. 冷戰 무드의 고조와 전통적 政治理論의 붕괴 ... 85
第4章 해방후 社會變化와 人口動態 ... 91
Ⅰ. 政治·軍事的 사건이 인구동태를 결정하던 단계 ... 91
Ⅱ. 출생률과 사망률이 인구동채를 결정하던 단계 ... 92
Ⅲ. 산업화와 인구문제 ... 94
1. 산업화 전단계 ... 94
2. 산업화 초기 단계 ... 95
가. 인구동태의 질적 변화의 측면 ... 96
나. 교육 인구 구조의 변화 ... 97
Ⅳ. 인구동태의 사회변화적 의미 ... 100
1. 6·25전쟁 발발시기까지의 시기(1945∼1950) ... 101
2. 6·25전쟁 기간(1950∼1953) ... 104
3. 전쟁후 시기(1953∼1961) ... 109
4. 산업화 시기(1961∼ ) ... 111
5. 정치 발전과 인구 요인 ... 115
Ⅴ. 離散家族의 어제와 오늘 ... 118
1. 離散의 역사 ... 118
2. 해방후 離散家族의 문제 ... 121
가. 해방후 이산가족의 발생 경위 ... 121
나. 韓國戰爭과 가족 이산 ... 123
남한 주민의 피난 ... 123
强制拉北 移動 ... 124
북한 주민의 越南避難移動 ... 125
離散家族의 특징 ... 127
第5章 北으로부터의 挑戰 ... 131
Ⅰ. 역사적 배경 ... 132
Ⅱ. 共産主義運動의 실상 - 해방 직후의 사정 ... 135
Ⅲ. 土着 共産主義運動의 소멸 과정 ... 142
1. 소련 점령군의 기본 노선 ... 142
2. 北朝鮮分局의 성립 ... 145
3. 「民主改革」의 發動 ... 147
4. 소비에트 政權形態의 출현 ... 149
5. 共産國家의 성립 ... 151
Ⅳ. 6·25戰爭의 경과 ... 159
1. 준비 단계 ... 159
2. 南侵 실패와 내부 통합 ... 163
3. 새로운 政治的 階級社會 형성 ... 168
4. 「南朝鮮 革命論」의 사회적 기반 조성 ... 170
5. 權力承繼와 政治的 階級社會의 연속성 ... 174
Ⅴ. 北韓社會의 특징적 측면들 ... 185
1. 視角調整의 특징적 측면들 ... 185
2. 神話 날조의 현상 ... 188
3. 「革命敎育」의 과정과 그 결과 ... 193
4. 공장·기업소에서 ... 199
5. 북한은 「民族主義」국가인가 ... 201
第6章 社會變化의 반영으로서의 言論 ... 205
Ⅰ. 美軍政下의 언론 ... 206
1. 美軍政의 언론정책 ... 206
2. 美軍政下의 신문 ... 208
3. 美軍政下의 방송 ... 215
Ⅱ. 自由黨 정권하의 언론 ... 216
1. 自由黨 정권의 언론정책 ... 217
2. 自由黨 정권하의 신문 ... 219
3. 自由黨 정권하의 방송 ... 222
Ⅲ. 民主黨 정권하의 언론 ... 222
Ⅳ. 第3·4共和國과 언론 ... 223
1. 정부의 언론정책 ... 224
가. 박 대통령과 정부의 언론관 ... 224
나. 언론정책 ... 227
2. 言論企業의 성격 ... 230
3. 갈등의 발생과 그 결과 ... 233
가. 갈등의 성격 ... 233
나. 정부의 언론 통제 유형 ... 235
다. 갈등의 전개 과정과 그 결과 ... 237
4. 第3·4共和國의 방송 ... 240
第7章 工業社會에로의 변동과 勞動運動 ... 242
Ⅰ. 工業化 과정에서의 産業勞動者 ... 242
1. 都市化와 산업노동자 ... 242
2. 산업노동자층의 형성·발전 ... 248
3. 노동자의 생활상태 ... 249
Ⅱ. 해방 후 勞動運動의 역사적 배경 ... 253
Ⅲ. 美軍政 시기의 勞動運動 ... 259
1. 노동 사정 ... 259
2. 노동운동의 제반 양상 ... 260
3. 미군정의 노동정책 ... 265
Ⅳ. 大韓民國 정부 수립 이후의 勞動運動 ... 266
1. 정부 수립과 노동운동 ... 266
2. 韓國戰爭과 노동운동 ... 268
3. 自由黨 시기의 노동운동 ... 270
4. 4·19 이후의 노동운동 ... 273
Ⅴ. 産業化와 勞動運動 ... 275
1. 60년대의 노동운동 ... 275
2. 70년대 이후의 노동운동 ... 279
終章 해방후 한국의 自由와 民主主義 ... 284
Ⅰ. 역사적 회고 ... 284
Ⅱ. 한국 사회의 기본 성격 ... 288
Ⅲ. 한국 사회 변화의 기본 성격 ... 291
Ⅳ. 민주화의 始動 ... 294
Ⅴ. 한국 사회의 발전 방향 ... 298
Ⅵ. 한국 사회와 자유 ... 30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