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유형 | 단행본 |
---|---|
서명/저자사항 | 한국교육사, 상/ 박상만 지음. |
개인저자 | 박상만 |
단체저자명 | 중앙교육연구소. |
발행사항 | 서울: 大韓敎育聯合會, 1956. |
형태사항 | 319 p.; 21 cm. |
비통제주제어 | 교육사 |
분류기호 | 370.911 |
언어 | 한국어 |
캠퍼스간대출 소재불명도서 자료배달서비스 인쇄
No.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매체정보 |
---|---|---|---|---|---|---|---|---|
1 | M0016914 | 370.911 박상만ㅎ | 삼성캠퍼스/단행본서고(5층)/ | 대출가능 | false|true|true|false |true|true |
|
<vol>1
서문 / 문교부장관 ... 3
자서(自序) ... 5
첫째 가름 대한교육사 연구의 목적
첫째 조각 대한교육사의 뜻 ... 21
둘째 조각 대한교육사 연구의 목적 ... 21
둘째 가름 상고시대의 교육
첫째 조각 고유사상기(固有思想期) ... 23
Ⅰ. 원시시대(原始時代)의 교육 ... 23
Ⅱ. 신정시대(神政時代)의 교...
<vol>1
서문 / 문교부장관 ... 3
자서(自序) ... 5
첫째 가름 대한교육사 연구의 목적
첫째 조각 대한교육사의 뜻 ... 21
둘째 조각 대한교육사 연구의 목적 ... 21
둘째 가름 상고시대의 교육
첫째 조각 고유사상기(固有思想期) ... 23
Ⅰ. 원시시대(原始時代)의 교육 ... 23
Ⅱ. 신정시대(神政時代)의 교육 ... 26
1. 홍익인간 사상 ... 26
부루의 가르침 ... 27
2. '밝'의 사상 ... 29
'밝'의 신도(神道) ... 30
(ㄱ) 태양(太陽) 숭배 ... 30
(ㄴ) '밝산' 숭배 ... 32
(ㄷ) 성모(聖母) 숭배 ... 33
(ㄹ) 영신(靈神) 숭배 ... 34
3. 고신도(古神道) ... 36
4. 고신도에 의한 고대인(古代人)의 수도(修道) ... 40
5. 우리 민족 고유도덕(固有道德) ... 46
(一) 효(孝)와 충(忠)의 도(道) ... 46
(二) 신의(信義)의 도(道) ... 47
(三) 용(勇)의 도(道) ... 48
(四) 인(仁)의 도(道) ... 49
(五) 겸양(謙讓)의 도(道) ... 50
Ⅲ. 열국분립(列國分立) 시대의 교육 ... 51
1. 이 시대에 이루어진 여러나라 ... 51
(一) 부여(扶餘) ... 51
(二) 삼한(三韓) ... 51
(三) 옥저(沃沮)와 예(穢) ... 52
(ㄱ) 정치 ... 53
(ㄴ) 문화(文化) ... 54
(ㄷ) 산업 ... 54
(ㄹ) 예속(禮俗) ... 55
(ㅁ) 군사(軍事) ... 57
둘째 조각 외래사상기(外來思想期) ... 59
Ⅰ. 삼국시대의 교육 ... 59
1. 고구려의 교육 ... 60
(一) 학교가 일어난 처음 ... 60
(ㄱ) 문짜(文字) 교육 ... 60
(ㄴ) 경당(肩堂) ... 61
(ㄷ) 고구려의 태학(太學) ... 62
① 태학을 세운 이유 ... 62
② 태학의 조직 ... 63
③ 태학의 교육 내용 ... 63
(ㄹ) 고구려의 조의선인도(조衣仙人道) ... 64
2. 백제의 교육 ... 65
3. 신라의 교육 ... 68
(一) 화랑도의 교육 ... 68
(ㄱ) 화랑도의 유래 ... 68
(ㄴ) 화랑집단의 성격 ... 72
(ㄷ) 화랑도의 정신 ... 73
(ㄹ) 화랑도의 교육내용 ... 75
① 화랑도 교육의 목적 ... 75
② 화랑도의 조직 ... 76
③ 화랑도의 복색(服色) ... 77
④ 화랑도 교육의 과정(課程) ... 78
(二) 화랑도 교육의 성과(成果) ... 81
(ㄱ) 충과 효를 한 가지 죽엄으로써 행한 귀산(貴山) ... 82
(ㄴ) 목숨으로 신의를 지킨 사다함(斯多含) ... 82
(ㄷ) 계백장군을 놀래게 한 관창랑(官昌郞)의 용기 ... 83
(ㄹ) 효녀(孝女) 지은(知恩)을 구한 효종랑(孝宗郞)과 그 랑도 ... 84
Ⅱ. 외국 사상이 전해 온일 ... 85
1. 유교(儒敎) ... 85
(一) 유교의 중심사상 ... 86
(二) 유교의 교육법 ... 87
(三) 유교사상이 우리 나라에 미친 영향(影響) ... 89
2. 불교 ... 83
(一) 불교의 중심사상 ... 93
(二) 불교의 교육의 목적 ... 94
(三) 불교가 우리 나라 정신계(精神界)에 미친 영향 ... 95
3. 도교(道敎) ... 96
(一) 도교의 중심사상 ... 96
Ⅲ. 신라 통일 시대의 교육 ... 98
1. 중국 문화를 실어 들인 일 ... 98
2. 유교 중심으로 교육이 행해진 일 ... 99
(一) 신라의 국학(國學) ... 99
(ㄱ) 신라 국학의 교육 내용 ... 101
3. 유교를 장려한 일 ... 105
(一) 외국에 유학생을 보낸 일 ... 105
(二) 임금이 유교를 장려한 일 ... 105
4. 신라통일 시대의 이름난 교육가 : 설총(薛聰) ... 106
Ⅳ. 발해(渤海)의 교육 ... 108
1. 발해의 건국(建國) ... 108
2. 발해의 문화 ... 110
3. 발해의 교육 ... 111
셋째 가름 중고시대의 교육
첫째 조각 고려시대의 교육 ... 112
Ⅰ. 고려의 교육제도(敎育制度) ... 112
1. 나라 처음의 학교 ... 112
2. 국자감(國子監) ... 114
(一) 국자감의 조직 및 교육내용 ... 114
3. 태학(太學)과 사문학(四門學) ... 116
4. 율학(律學), 서학(書學), 산학(算學) ... 116
5. 향교(鄕校) ... 117
6. 동서학당(東西學堂)과 오부학당(五部學堂) ... 118
7. 십이도(十二徒) ... 118
(一) 십이도의 유래 ... 118
(二) 십이도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지위(地位) ... 119
(三) 십이도 교육내용 ... 120
8. 서당(書堂) ... 121
9. 문묘(文廟) ... 121
Ⅱ. 고려시대의 과거제도(科擧制度) ... 122
1. 과거법의 종류 ... 123
Ⅲ. 교육을 장려한 일 ... 124
Ⅳ. 고려 말기의 교육계를 좌우한 성리학(性理學) ... 132
1. 성리학의 유래 ... 132
2. 성리학의 학풍(學風) ... 132
Ⅴ. 고려시대의 이름난 교육가 ... 133
1. 최충(崔沖) ... 133
2. 안유(安裕) ... 136
3. 이색(李穡) ... 138
4. 정몽주(鄭夢周) ... 141
5. 길재(吉再) ... 142
넷째 가름 근세(近世)의 교육(1)
(외래사상(外來思想) 전성기(全盛期))
이조시대의 교육
Ⅰ. 이조시대의 관제(官制) ... 147
1. 의정부(議政府) ... 147
2. 육조(六曹) ... 148
3. 지방제도(地方制度) ... 148
Ⅱ. 교육제도 ... 149
1. 성균관(成均館) ... 149
(一) 성균관의 유래 ... 149
(二) 성균관의 시설 ... 152
(三) 성균관의 조직 ... 153
(ㄱ) 직제(職制) ... 153
(ㄴ) 학생에 관한 일 ... 154
(四) 성균관의 교육내용 ... 154
(ㄱ) 학과목 ... 154
(ㄴ) 교수 ... 155
(ㄷ) 학습 ... 155
(ㄹ) 고시(考試) ... 156
(ㅁ) 훈육 ... 156
① 학교행사를 통하여 훈육한 일 ... 156
② 학과를 통하여 훈육한 일 ... 157
③ 금지사상(禁止事項)을 지시하여 훈육한 일 ... 157
④ 상벌로 훈육한 일 ... 157
⑤ 자치정신을 기르고자 훈육한 일 ... 158
2. 사학(四學) ... 158
(一) 사학의 유래 ... 158
(二) 사학의 조직 ... 158
(三) 사학교육의 내용 ... 160
(四) 사학의 경영(經營) ... 160
(五) 사학의 수난(受難) ... 161
3. 종학(宗學) ... 163
4. 향교 ... 163
(一) 향교의 유래 ... 163
(二) 향교의 구조(構造) ... 165
(三) 향교의 조직 ... 165
(ㄱ) 직원에 관한 일 ... 165
(ㄴ) 학생에 관한 일 ... 167
(四) 향교교육의 내용 ... 167
(ㄱ) 교과목 ... 167
(ㄴ) 교수 ... 168
(五) 향교교육을 장려하기 위하여 특히 마련한 일 ... 168
(六) 향교교육이 지방 교화에 미친 일 ... 169
(ㄱ) 향음주례(鄕飮酒禮) ... 170
(ㄴ) 향사례(鄕射禮) ... 171
(ㄷ) 양로례(養老禮) ... 172
(ㄹ) 계몽강습회 ... 173
(七) 향교의 경영(經營) ... 173
5. 서당(書堂) ... 173
(一) 서당의 종류 ... 174
(二) 서당의 조직 ... 174
(三) 학과 ... 175
(四) 교수 ... 176
(五) 서당에 대해서 마련한 법 ... 177
6. 서원(書院) ... 178
(一) 서원의 유래 ... 178
(二) 서원교육의 특색 ... 179
(三) 서원의 폐해와 그 말로(末路) ... 180
7. 이조시대의 기술과 교육 ... 182
(一) 기술교육의 방침 및 그 내용 ... 186
Ⅲ. 이조시대 교육에 관한 여러 가지 법 ... 188
1. 학령(學令) ... 188
2. 권학사목(勸學事目) ... 191
3. 구재학규(九齋學規) ... 192
4. 학교절목(學校節目) ... 193
5. 학교사목(學校事目) ... 193
6. 학교모범(學校模範) ... 197
7. 학제조건(學制條件) ... 206
8. 제강절목(制講節目) ... 208
9. 원점절목(圓點節目) ... 209
Ⅳ. 이조시대의 문묘제도(文廟制度) ... 211
1. 이조시대에 문묘가 이루어진 일 ... 212
2. 문묘에 붙여 위한 우리 나라의 현인(賢人) ... 213
3. 문묘의 여러 가지 행사 ... 214
(一) 알성례(謁聖禮) ... 214
(二) 삭망(朔望)의 전(奠) ... 214
(三) 석전(釋奠) ... 214
Ⅴ. 이조시대의 과거제도 ... 215
1. 과거법과 교육 ... 215
2. 과거의 종류 ... 215
(一) 내용을 주로한 종류별 ... 215
(二) 형식을 주로한 종류별 ... 216
(三) 방법으로 나눈 종류별 ... 219
3. 과거의 방법 ... 219
(一) 제술과(製述科) ... 219
(二) 명경과(明經科) ... 219
4. 각시(各試)의 정원(定員)과 과목(科目) ... 222
5. 급제자의 대우 ... 224
6. 과거법이 교육에 미친 폐해 ... 225
Ⅵ. 나라에서 교육을 장려한 일 ... 227
1. 세종대왕의 교육을 장려한 일 ... 227
(一) 호당독서(湖堂讀書)의 제도 ... 228
(二) 국문제정 ... 228
2. 문종 세조의 장학(奬學) ... 229
3. 성종임금의 교육을 장려한 일 ... 230
4. 인수대비(仁粹大妃)의 여성교육에 힘쓴 일 ... 230
5. 중종, 명종의 장학 ... 231
6. 선조 인조의 교육을 장려한 일 ... 236
7. 숙종 영조의 장학 ... 238
8. 정조 순조의 장학 ... 239
Ⅶ. 학도들의 사기(士氣)를 배양한 일 ... 240
Ⅷ. 이조시대 교육의 수난기(受難期) ... 244
1. 무오사화(戊午士禍) ... 214
2. 갑자사화(甲子士禍) ... 245
3. 기묘사화(己卯士禍) ... 246
4. 을사사화(乙巳士禍) ... 246
5. 당쟁(黨爭) ... 247
6. 임진란 ... 249
7.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 250
8. 신임사화(新任士禍) ... 251
Ⅸ. 조선학(朝鮮學)이 일어난 일 ... 252
Ⅹ. 이조시대의 이름난 교육가 ... 255
1. 김종직(金種直) ... 255
2. 김굉필(金宏弼) ... 257
3. 조광조(趙光祖) ... 259
4. 김안국(金安國) ... 262
5. 서경덕(徐敬德) ... 264
6. 이황(李愰) ... 272
(一) 선생의 학풍 ... 273
(二) 선생의 학설 ... 274
(三) 선생의 교육에 끼친 일 ... 280
7. 조식(曹植) ... 284
8. 이이(李珥) ... 287
(一) 선생의 교육에 끼친 일 ... 287
(二) 선생의 학설 ... 292
9. 이익(李瀷) ... 305
(一) 선생의 학풍 ... 305
(二) 선생의 교육에 끼친 일 ... 307
10. 이덕무(李德懋) ... 309
(一) 선생의 교수법 ... 310
(二) 선생의 훈육법 ... 311
(三) 선생의 교훈 ... 312
(四) 선생의 성행(性行) 평정(評定) ... 317
<vol>2
서문 ... 3
자서(自序) ... 5
다섯째 가름 근세(近世)의 교육(Ⅱ)
(최근 이조 말기의 교육)
Ⅰ. 새 교육이 일어나기 시작한 일 ... 19
1. 세계의 소식 ... 19
2. 천주학이 퍼진 일 ... 21
3. 신학술(新學術) ... 22
4. 민중의 각성(覺醒) ... 24
5. 대원군(大院君)의 혁신(革新) ... 26
6. 외국통교(外國通交) ... 26
7. 신풍조(新風潮) ... 27
8. 새 교육이 일어남 ... 28
(一) 육영공원(育英公院) ... 28
(二) 경학원(經學院) ... 29
(三) 외국 종교단체에서 세운 여러 학교 ... 29
(ㄱ) 배재학당 ... 29
(ㄴ) 경신학교(儆新學校) ... 31
(ㄷ) 이화학당(梨花學堂) ... 32
Ⅱ. 갑오경장(甲午更張) 뒤에 구 교육을 혁신한 일 ... 32
1. 세계정국(世界政局)의 파동(波動) ... 32
2. 갑오경장 ... 33
3. 구 교육을 혁신하고 새 교육을 베푼 일 ... 35
(一) 한성 사범학교 관제(官制)의 대강(大綱) ... 39
(二) 한성 사범학교 규측의 대강 ... 39
(三) 소학교령(小學校令)의 대강 ... 42
(四) 중학교 관제의 대강 ... 43
(五) 외국어학교 관제의 대강 및 교측 요령(要領) ... 43
(六) 성균관 관제의 대강과 경학과(經學科)의 규측 요령 ... 44
4. 관제 공포 뒤에 세워진 여러 학교 ... 46
(一) 한성 사범학교 ... 47
(二) 외국어학교 ... 47
(三) 소학교 ... 47
(四) 중학교 ... 48
(五) 기술학교 ... 48
(ㄱ) 경성 의학교(京城醫學校) ... 49
(ㄴ) 상공학교 ... 50
(ㄷ) 광무학교(광務學校) ... 50
5. 관학(官學)에 못지 않게 불꽃 같이 일어난 사학(私學) ... 51
(一) 광성학교(光成學校)와 숭덕학교 ... 51
(二) 정신여학교 ... 51
(三) 을미의숙(乙未義塾) ... 51
(四) 흥화학교(興化學校) ... 51
(五) 정진(正進), 공옥(攻玉) 소학교 ... 51
(六) 숭실학교 ... 52
(七) 배화학당 ... 52
(八) 맹아학교(盲啞學校) ... 52
(九) 보광학교(普光學校) ... 52
(十) 우산학교(牛山學校) ... 52
(十一) 숭의여학교(崇義女學校) ... 52
(十二) 누씨여학교(樓氏女學校) ... 53
(十三) 호수돈여숙(好壽敦女塾) ... 53
(十四) 진성여학교(進誠女學校) ... 53
(十五) 청년학원 ... 53
6. 새 교육을 베푼 결과 ... 53
Ⅲ. 우리의 교육이 일본인의 손으로 넘어가기 시작한 일 ... 55
1. 을미 팔월(乙未 八月)의 변(變) ... 55
2. 호국(護國) 운동이 일어남 ... 57
3. 교육구국 운동이 일어남 ... 58
4. 을사 보호조약(乙巳 保護條約) 이후의 교육 ... 64
(一) 일본인이 우리의 교육을 간섭하기 시작한 일 ... 64
(二) 당시 일본인 교원이 우리에게 대한 태도 ... 72
(三) 일본인이 관계하여 마련한 교육에 관한 여러가지 법 ... 74
(ㄱ) 초등교육에 관한 일 ... 74
① 보통학교령과 시행규칙 ... 74
② 보통학교령 및 시행규칙의 실시에 따른 여러가지 시책(施策) ... 76
③ 지정보조(指定補助) 사립학교 ... 76
④ 교과목의 교수요지(敎授要旨) ... 78
⑤ 직원의 교양(敎養)과 교칙(敎側) ... 82
⑥ 훈육에 관한 일 ... 84
(ㄴ) 고등교육에 관한 일 ... 89
① 고등교육의 의의(意義) ... 89
② 고등교육의 방침 ... 89
③ 고등학교령과 시행규칙 ... 90
④ 고등학교 학과과정 및 매주 교수 시간수 ... 93
(ㄷ) 사범학교 교육에 관한 일 ... 94
① 사범학교령 및 시행규칙 ... 94
(ㄹ) 외국어학교 교육에 관한 일 ... 97
(ㅁ) 실업학교 교육에 관한 일 ... 98
(ㅂ) 여자교육에 관한 일 ... 101
(ㅅ) 사랍학교 교육에 관한 일 ... 103
① 사립학교의 성격(性格) ... 104
② 우리가 세운 중요한 사립학교의 가지 가지 ... 104
③ 사립학교령을 낸 이유 ... 107
(ㅇ) 서당교육에 관한 일 ... 108
(ㅈ) 교과서에 관한 일 ... 109
① 교과서 편찬과 검정문제 ... 109
Ⅳ. 이조 교육의 마지막 길 ... 114
Ⅴ. 이조시대 교육의 결론 ... 115
여섯째 가름 경술년(庚戌年)이후 36년 간의 교육
(민족각성기(民族角醒祺))
첫째 조각 역대 총독의 교육방침 및 그 시책
Ⅰ. 초대총독 데라우찌의 교육방침 및 그 시책 ... 122
1.합방 직후 그들이 본 우리 나라 교육의 실태 ... 122
2. 조선교육령 ... 131
3. 교원심득(敎員心得‥그들이 내건 그대로 적었음) ... 135
4. 학제의 대강 ... 140
(一) 보통학교의 규측 ... 141
(二) 고등보통학교 규측 ... 142
(三) 여자고등보통학교 규측 ... 143
(四) 실업학교 규측 ... 144
(五) 사림학교 규측 ... 146
(六) 전문학교 규측 ... 148
(七) 사립학교 규측을 변경한 일 ... 149
(ㄱ) 적용한 범위와 변경 사항 ... 150
(ㄴ) 사립 전문학교 설치 ... 150
(ㄷ) 교과과정 ... 150
(ㄹ) 교과용 도서 ... 151
(ㅁ) 교원의 자격 ... 151
5. 독립의 싸움과 교육 ... 153
(삼일독립운동) ... 160
Ⅱ. 총독 사이또오 시대의 교육 ... 169
1. 3.1운동 후의 교육 ... 169
(一) 그들이 본 3.1 운동 ... 169
(二)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 173
(三) 총독 사이또오의 교육정책 ... 178
(ㄱ) 사이또오의 우리 교육에 대한 일반 방침 ... 178
(ㄴ) 일부 개정된 교육제도의 내용 ... 178
① 고등보통학교와 여자고등보통학교 규측을 개정 ... 178
② 사립학교 규측을 개정 ... 178
③ 교육령 일부를 개정 ... 181
(ㄷ) 신교육령 공포 ... 183
① 임시 교육조사위원회의 설치 ... 183
② 제1회 위원회에 제출한 학무국의 신학제에 대한 참고안 ... 184
③ 학무국에서 제출한 신학제에 관한 참고안 답신서 ... 185
④ 학무국과 위원회와 협의 결정 사항 ... 185
⑤ 신교육령 ... 189
⑥ 신교육령 실시상황 ... 193
각 학교규정의 발표와 사립학교 규칙을 다시 개정한 일 ... 193
각 도에 학무과장을 둔 일 ... 194
사범교육에 관한 일 ... 194
실업교육 및 전문교육에 관한 일 ... 195
대학교육을 베풀기 시작한 일 ... 195
⑦ 신교육령 및 이에 따르는 각 학교규정의 실지 내용 ... 198
⑧ 사이또오의 교육 보급의 자취 ... 200
Ⅲ. 총독 야마나시의 교육방침 및 그 시책 ... 202
1. 반도교육의 금본방침 ... 203
(一) 교육심의회 조직 및 운영 ... 203
(ㄱ) 교육심의회 의안(議案) ... 203
제 1 호 의안(보통학교 보급에 관한 일) ... 204
제 2 호 의안(보통학교 내용 개선에 관한 일) ... 204
제 3 호 의안(국민학교 신설에 관한 일) ... 205
제 4 호 의안(사범교육 개선에 관한 일) ... 206
제 5 호 의안(청년훈련소 설치에 관한 일) ... 207
(ㄴ) 야마나시의 교육방침 및 그 시책에 대한 각계의 의견 ... 208
① 제 1 호 의안에 관한 것 ... 208
② 제 2 호 의안에 관한 것 ... 208
③ 제 3 호 의안에 관한 것 ... 209
④ 제 4 호 의안에 관한 것 ... 209
⑤ 제 5 호 의안에 관한 것 ... 209
(二) 교육령 일부 수정과 그에 따라 실시한 일 ... 210
(ㄱ) 공립 보통학교 일면일교제 실시 ... 210
(ㄴ) 사범교육을 개선한 일 ... 210
(ㄷ) 보통교육 및 고등보통교육을 개선한 일 ... 211
Ⅳ. 제2차 총독 사이또오 시대의 교육 ... 212
1. 사이또오의 교육방침 교육방침 및 그 내용 ... 212
(一) 광주학생 사건 ... 214
(二) 학교 감독기관을 강화한 일 ... 216
(三) 이 시대의 우리 학도들의 사상동향 ... 217
Ⅴ. 총독 우가끼의 교육방침 및 그 시책 ... 218
1. 총독 우까기의 농촌진흥 운동 ... 220
(一) 농가 갱생 계획 ... 222
(二) 지도망(指圖網) 확충과 중견인물 양성 ... 223
2. 농촌진흥운동을 중심으로 한 우가끼의 교육정책 ... 225
(一) 공립 보통학교에 있어 직업과교육을 개선 충실케 한 일 ... 225
(二) 보통학교 졸업생 지도시설 ... 226
(三) 농촌 간이학교 제도의 창설 ... 227
(ㄱ) 간이학교 조직과 사명 ... 228
(ㄴ) 간이학교 경영의 실제 ... 234
(四) 실업학교 교육을 강화한 일 ... 239
(ㄱ) 농업보습교육의 개선 ... 239
(ㄴ) 농업학교의 증설과 교육내용의 개선 ... 240
(ㄷ) 농업교원 양성소를 시설 ... 240
(五) 전문학교 교육에 대한 시책 ... 240
(ㄱ) 공립 의학전문학교 신설 ... 240
(六) 제2차 초등교육 보급 확충 계획 ... 241
(ㄴ) 제2차 초등교육 보급 확충 계획을 세운 이유 ... 241
(ㄷ) 계획의 목표와 규모 ... 241
(七) 도시 간이학교(都市簡易學校)제도의 창설 ... 242
3. 총독 우가끼가 우리의 교육에 끼친 일 ... 242
Ⅵ. 당시 일본인이 본 우리 나라 교육의 교육관 ... 242
1. 일본 중앙 법제국 참사관 '하라'의 교육관 ... 242
2. 일본 전 대장대신 '이노우에'의 교육관 ... 244
3. 우리 나라 교육에 오래 종사한 '야스다'의 교육관 ... 246
(一) 일반 덕성 및 풍습의 장점 ... 246
(ㄱ) 부모의 명령에 절대 복종하는 일 ... 246
(ㄴ) 어른을 존경하는 일 ... 246
(ㄷ) 동서간의 혼인을 하지 않는 일 ... 247
(ㄹ) 인보상조의 미풍 ... 247
(ㅁ) 장제기복(葬祭忌服)을 중히 하는 일 ... 247
(ㅂ) 친족 간의 부양 ... 248
(ㅅ) 관청의 명령에 잘 복종하는 일 ... 248
(ㅇ) 의복 용의가 단아한 일 ... 248
(ㅈ) 김장 ... 248
(ㅊ) 가정 ... 248
(ㅋ) 언어 ... 249
(ㅌ) 교제 ... 249
(二) 일반 덕성 및 풍습의 단점 ... 249
(ㄱ) 어린이의 인격을 무시하는 일 ... 249
(ㄴ) 상기(喪期)가 너무 긴 것 ... 249
(ㄷ) 규률과 질서가 없는 일 ... 250
(ㄹ) 면종배반(面從背反) ... 250
(ㅁ) 위생사상이 얕은 일 ... 250
(ㅂ) 저축심이 적은 일 ... 251
(ㅅ) 감은(感恩)의 염(念)이 얕은 일 ... 251
(ㅇ) 축첩과 여자들의 싸움 ... 252
(ㅈ) 미신이 많은 일 ... 252
(ㅊ) 근로를 끄리는 일 ... 252
(ㅋ) 관존민비의 풍 ... 253
(ㅌ) 계급관념이 강한 일 ... 253
(ㅍ) 공공심(公共心)이 적은 일 ... 253
(ㅎ) 가장의 권력기 너무 큰 일 ... 254
(ㄲ) 흰옷을 즐겨 입는 일 ... 254
Ⅶ. 향민화(皇民化)의 교육정책 ... 254
1. 교명을 통일하였다 ... 256
2. 우리말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 256
3. 창씨를 강제로 시키었다 ... 256
4. 징병제를 실시하여 우리의 젊은이들을 수없이 죽음의 길로 끌어넣었다 ... 257
5. 학도병이라 하여 우리학생들을 그들의 방패로 내세웠다 ... 257
6. 황민화 교육의 말로(末路) ... 258
Ⅷ. 왜정 36년 간 교육의 총결산 ... 261
<vol>3
서문 ... 3
자서(自序) ... 5
일곱 번째 가름 대한교육의 새 출발 ... 25
첫째 조각 8·15해방과 교육 ... 25
Ⅰ. 국내 전 교육자의 회오(悔悟)와 결의 ... 25
Ⅱ. 미 군정시대의 교육 ... 26
1. 교육심의회 조직 및 신 교육이념의 심의 ... 27
2. 교육행정 최고기관으로 문교부가 이루어진 일 ... 28
3. 미군정시대 교육활동의 가지 가지 ... 28
둘째 조각 대한민국이 이룩된 일 ... 30
Ⅰ. 대한민국 수립 ... 30
Ⅱ. 대한민국의 성격 ... 30
Ⅲ. 대한민국 관제(官制) 대강 ... 31
Ⅳ. 대한민국 교육제도 ... 35
1. 교육법 제정 ... 35
2. 교육법의 내용 ... 37
3. 교육법에 의거하여 교육을 베푼 일 ... 44
(一) 대한민국의 학제 ... 44
(二) 학제에 의한 교육내용 ... 45
(ㄱ) 초등교육 ... 45
① 의무교육을 실시한 일 ... 47
② 의무교육제에 의한 교과목과 시간수 ... 49
(ㄴ) 중등교육 ... 51
① 고등학교의 성격 ... 52
② 중등학교교육의 내용 ... 55
③ 인문고등학교교육의 내용 ... 56
④ 사립중등학교 교육 ... 57
(ㄷ) 실업교육 ... 58
① 농업고등학교 ... 63
② 공업고등학교 ... 64
③ 상업고등학교 ... 64
④ 수산고등학교 ... 64
(ㄹ) 사범교육 ... 65
(ㅁ) 고등교육 ... 67
① 문리과대학 ... 68
② 농과대학 ... 68
③ 상과대학 ... 68
④ 공과대학 ... 69
⑤ 국립수산대학 ... 69
⑥ 예술대학 ... 69
⑦ 법과대학 ... 69
⑧ 의과 치과 및 약학대학 ... 70
Ⅴ. 학도호국단 ... 73
1. 학도호국단의 유래 ... 73
2. 학도호국단의 조직 및 지도요령 ... 76
(ㄱ) 취지 ... 76
(ㄴ) 조직요령 ... 76
(ㄷ) 지도요령 ... 78
(ㄹ) 지도사항 ... 79
(ㅁ) 유의사항 ... 80
Ⅵ. 대한교육의 당면과제 ... 81
1. 민주적 민족교육 ... 81
(一) 우리의 민주정신 ... 81
(二) 우리의 민족정신 ... 84
2. 민주적 민족교육 구현의 길 ... 86
(一) 사도확립(師道確立) ... 86
(ㄱ) 교사의 수양 ... 88
(ㄴ) 사제동행(師弟同行) 구학구진(俱學俱進)의 태세견지 ... 92
(二) 교수법의 혁신 ... 94
(ㄱ) 합자연(合自然)의 원리 ... 95
(ㄴ) 직관(直觀)의 원리 ... 96
(ㄷ) 생활의 원리 ... 96
(ㄹ) 향토의 원리 ... 97
(ㅁ) 노작(勞作)의 원리 ... 98
(ㅂ) 종합(綜合)의 원리 ... 99
(三) 멸공신념의 계배 ... 99
(ㄱ) 대한민국 최고 국가이념 확인(確認) ... 100
(ㄴ) 애국심 환기 ... 101
(ㄷ) 화랑정신의 고취(鼓吹) ... 101
(ㄹ) 군사훈련의 강화 ... 102
(ㅁ) 북방강의(北方强毅)의 기풍 연성 ... 102
(ㅂ) 방첩교육의 철저 ... 103
(ㅅ) 최저생활의 고수(固守) ... 103
(四) 생산교육의 강화 ... 104
(ㄱ) 근로애호정신의 함양 ... 104
(ㄴ) 기술연마 ... 104
(ㄷ) 과학심 개발 ... 104
(五) 감은보사생활(感恩報謝生活)의 유도(誘導) ... 105
(ㄱ) 신앙심 조장 ... 106
(ㄴ) 사회봉사심 앙양(昻揚) ... 107
(ㄷ) 풍년감사제 설행(設行) ... 108
(六) 문화재건교육의 진작(振作) ... 108
(七) 학교교육의 사회진출 ... 109
셋째 조각 6·25동란과 교육 ... 112
Ⅰ. 피난학교 ... 114
1. 피난학교의 시초인 의성군 피난학교 ... 114
(一) 일어난 동기 ... 114
(二) 교육목적 ... 115
(三) 교육방침 ... 115
(四) 교육시설 ... 116
(五) 교과과목 및 내용 ... 117
(六) 실시방법 ... 118
(七) 하루의 생활모습 ... 118
(八) 의성군 피난학교의 교육적 성과 ... 119
Ⅱ. 6·25동란의 교훈과 시련 ... 120
1. 수복후의 경기도 교육실정 ... 121
2. 수복후의 강원도 교육실정 ... 125
3. 외지(外誌)에 보도된 수복후의 한국의 교육실정 ... 126
① 뉴욕타임스(4284년 4월 23일 기사) ... 127
② 뉴욕타임스(4284년 6월 8일 기사) ... 127
③ 뉴욕타임스(4284년 6월 22일 기사) ... 128
4. 전시교육을 주로 한 284년도 문교부 장학방침 ... 129
5. 전시학교경영의 시태 ... 134
(一) 초등부 부산 ○○국민학교 ... 134
(ㄱ) 전시학교경영의 지표 ... 134
(ㄴ) 전시학교경영의 실태 ... 135
(二) 중등부 서울 ○○상업중학교 ... 138
(三) 대학부 전시연합대학의 구상과 운영 ... 142
(ㄱ) 대학강좌 임시조치안 ... 143
(ㄴ) 연합학부의 운영 ... 145
(ㄷ) 부령(部令)에 의한 법적 조치 ... 148
(ㄹ) 연합학부의 성과 ... 150
6. 과거 1년간(자 4283.12, 지 4284.12)의 중요 문교시책 ... 151
(一) 전란중의 학업수업 계속 ... 152
(ㄱ) 전시연합대학 ... 152
(ㄴ) 노천수업에서 가교실 수업으로 ... 153
(二) 피난학생에 대한 교육조치 ... 154
(三) 학제변경에 의한 중등교육기관의 개편 ... 155
(四) 중학교 입학지원자에 대한 국가고사 ... 156
(五) 삼도(三道) 종합대학 설치의 결정 ... 157
(六) 학도호국단의 개편 ... 157
(七) 유네스코 원조도입 ... 158
(ㄱ) 10만불(弗) 원조 ... 158
(ㄴ) 유네스코 펠로우슆에 의한 연구유학생 파견 ... 158
(八) 국민사상지도원 설치 ... 159
(九) 일인일기교육의 실시 ... 159
(一0) 라디오학교 방송 실시 ... 160
(一一) 과학기술용어 제정 ... 160
(一二) 유실녹화운동 전개 ... 161
(ㄱ) 학원유실녹화 5개년계획 실시 ... 161
(ㄴ) 호두나무 일인일수 운동 ... 161
(一三) 도시 및 국보의 소개 ... 162
(一四) 문교재단 재산 전환의 실시 ... 162
(一五) 국립공원 설치계획 ... 163
(一六) 문화공작 ... 164
(一七) 생벽돌 임시교사 축성운동 전개 ... 164
(一八) 임시교사 1,000교실 건축 진행 ... 165
(一九) 교과서용지 1,000톤 도입 ... 166
(二十) 전시교재의 발행 ... 166
(二一) 상용한자 교수의 실시 ... 167
(二二) 기초어휘(基礎語彙) 조사 ... 167
(二三) 교육공무원법(안)의 제정 ... 167
(二四) 교육법시행령(안)의 제정 ... 168
(二五) 학교군사훈련 실시령 공포 ... 168
(二六) 재학생 학업계속에 대한 특별조치 ... 169
(二七) 4284년도 전시교과서 편찬 ... 171
(ㄱ) 발행방침 ... 171
(ㄴ) 편찬방침 ... 171
(二八) 유일한 학교후원기관인 부형회를 사친회로 개편 ... 174
(ㄱ) 사친회의 성격 ... 174
(ㄴ) 사친회의 회원 ... 176
(ㄷ) 회원으로서의 교사의 위치 ... 176
(ㄹ) 부모의 회원자격 ... 177
(ㅁ) 사친회의 임원(任員) ... 177
(ㅂ) 사친회회의 회비 ... 178
(ㅅ) 사친회의 사업 ... 179
(ㅇ) 사친회의 예산 ... 179
(二九) 기술교육에 힘쓴 일 ... 183
7. 중등학교 입학시험에 신기원을 지은 국가시험제를 실시한 일 ... 196
(一) 전락과 한국의 교육 ... 196
(二) 고사제도의 창안 ... 198
(ㄱ) 창안동기 ... 198
(ㄴ) 구상(構想) ... 199
(ㄷ) 성안(成案) ... 200
(ㄹ) 사회의 반향 ... 202
(三) 고사실시전의 준비 ... 203
(ㄱ) 공고(公告)와 원서접수 ... 203
(ㄴ) 고사문제의 출제 ... 205
(ㄷ) 고사문제의 인쇄 ... 206
(ㄹ) 고사문제의 수송(輸送) ... 208
(ㅁ) 고사실시 직전 ... 210
(四) 고사실시 개황(槪況) ... 211
(ㄱ) 고사일 광경 ... 211
(ㄴ) 고사실시 구역 ... 212
(ㄷ) 응시자 일람 ... 213
(五) 고사실시의 결과 ... 215
(ㄱ) 채점발표 ... 215
(ㄴ) 고사성적 ... 216
(六) 입학자 선발 ... 219
(ㄱ) 선발요항 ... 219
(ㄴ) 선발상황 ... 221
(七) 신고사제도의 검토 ... 224
(ㄱ) 신고사제도의 성과 ... 224
(ㄴ) 금후의 연구문제 ... 226
8. 성인교육에 힘쓴 일 ... 228
(一) 성인반 의무교육 실시요령 ... 228
(ㄱ) 실천사무의 분담 ... 229
(ㄴ) 지도체계 ... 229
(ㄷ) 성인반의 설치 ... 229
(ㄹ) 금년도 취학대상자의 결정범위 ... 230
(ㅁ) 취학대상자 조사 및 명부작성 ... 230
(ㅂ) 국문해득자 심사기준 및 방법 ... 230
(ㅅ) 취학통지 ... 231
(ㅇ) 실시기간 ... 231
(ㅈ) 수업일수 및 교수요지 ... 231
(ㅊ) 수료자의 결정 및 조치 ... 231
(ㅋ) 취학불응자 ... 232
(ㅌ) 전출입(轉出入)의 조치 ... 232
(ㅍ) 경비조치 ... 232
(ㅎ) 교사조치 및 교재조치 ... 233
(二) 공민학교와 고등공민학교의 복구 및 유지경영 방법 ... 233
(ㄱ) 공민학교 ... 233
(ㄴ) 고등공민학교 ... 235
(ㄷ) 복구조치 ... 235
(三) 전시 계몽교화사업의 실천방법 ... 235
(四) 성인교육 협조단체의 재건지도책 ... 238
(五) 일반 국문보급사업 추진 ... 239
9. 결식아동(缺食兒童) 구제에 힘쓴 일 ... 240
(一) 구제책 및 실시상황 ... 240
(二) 앞으로의 대책 ... 241
네째 조각 대한교육의 재출발 ... 242
Ⅰ. 대한교육의 자주를 기한 교육자치제를 실시한 일 ... 242
1. 교육자치제를 실시하기까지 여러 가지 행한 일 ... 245
(一) 교육위원회 위원선거 실시에 관한 일 ... 256
(二) 교육위원회 운영에 관한 일 ... 260
(三) 교육위원회 성립초창기에 행할 가지가지의 일 ... 262
(四) 시교육위원회 및 교육구제 실시에 관한 일 ... 270
(五) 교육감 추천에 관한 일 ... 272
(六) 교육구와 시교육위원회 지휘감독에 관한 일 ... 273
(七) 4285년도 시교육위원회 특별회계 및 교육구 예산편성과 집행에 관한 일 ... 275
2. 교육자치제 실시와 교육자의 각오 ... 278
3. 교육자치제 실시에 따라 지금까지 떨치지 않던 의무교육제도를 다시 추진시킨 일 ... 281
(一) 학령아동 조사와 학령부 작성 및 처리 ... 282
(二) 취학조처 ... 284
(三) 취학독려 ... 285
(四) 학령아동에 대한 학교의 출석상황 정리 ... 288
(五) 학령아동의 전입학 및 출석정지 ... 288
(六) 취학의무의 종결 또는 면제와 유예 ... 289
(七) 학령아동에 대한 보고 ... 291
(八) 4283년 6월 1일 현재 이후의 취학적령 아동의 조치 ... 291
(九) 4283년 6월 1일 현재의 학령아동 조처 ... 292
4. 교육자치제 실시에 따라 교육자의 지위를 높이는 교육공무원법을 공포 시행한 일 ... 292
(一) 교육공무원법이 국회를 통과하기까지의 경위 ... 292
(二) 전 교유자의 연서로 제출된 교육공무원법에 관한 건의 ... 293
(三) 교육공무원법의 내용 ... 300
Ⅱ. 우리 나라 교육발전에 거룩한 공적을 쌓은 대한교육연합회에 대한 일 ... 310
1. 대한교육연합회의 위대한 업적의 가지가지 ... 310
2. 대한교육연합회의 재건상 ... 312
3. 대한교육연합회의 정관(定款) ... 316
Ⅲ. 중앙교육연구소가 이루어진 일 ... 319
1. 중앙교육연구소 규정 ... 320
2. 중앙교육연구소내 기구 및 사무분장규정 대요 ... 322
3. 중앙교육연구소의 사명 ... 326
Ⅳ. 외국사람이 본 대한교육의 실태 ... 332
1. 국토 ... 333
2. 민족 ... 334
3. 한국역사에 나타난 지리적 요소 ... 335
4. 한국과 서양 ... 337
5. 종교적 제영향 ... 339
6. 예술에 나타난 한국인의 독창성 ... 340
7. 한국의 언어문제 ... 342
8. 국민의 생활상태 ... 344
(一) 가족제도 ... 345
(二) 가옥 ... 346
(三) 가정연료(家庭燃料) ... 347
(四) 오락 ... 348
(五) 식량 ... 348
(六) 보건과 위생 ... 349
(七) 가내공업(家內工業) ... 350
9. 사회조직의 원측 ... 350
10. 정규적이 아닌 사회교육 ... 351
(一) 교육물로서의 출판물 ... 351
(二) 교육자로서의 정부 ... 353
(三) 미국공보원 ... 354
(四) 라디오 교육 ... 355
(五) 성인교육 ... 356
(六) 문학·미술 및 음악 ... 357
11. 교육시설 ... 357
12. 교육을 위한 재정조달(財政調達) ... 361
(一) 초등교육 ... 361
(二) 중등교육 ... 363
(ㄱ) 문교부의 지원(支援) ... 363
(ㄴ) 도(道)의 지원 ... 363
(ㄷ) 사친회비 ... 363
(三) 고등교육 ... 364
(四) 각학교의 재정 ... 365
13. 직원 ... 367
(一) 교원자격 ... 367
(二) 국민학교 교사 보충 ... 369
(三) 중고등학교의 교사 보충 ... 371
(四) 교육충실부면의 조직 ... 372
(五) 무자격교사를 위한 강습 ... 373
(六) 국민학교 교사에 관한 일 ... 374
(七) 중등학교 교사에 관한 일 ... 375
(八) 교직원의 봉급 ... 376
14. 교육의 감독과 행정 ... 380
(一) 현행 감독기관 및 행정조직 ... 380
(ㄱ) 각 도(道)의 교육행정 ... 381
(ㄴ) 구(區) 교육행정 ... 382
(ㄷ) 교육공무원의 임명 ... 382
(二) 교육의 행정감독에 관한 의견 ... 382
15. 한국의 교육상황 요약 ... 385
여덟째 가름 근세 이름난 교육가 ... 393
첫째 조각 도산 안창호 ... 393
Ⅰ. 선생의 약력(略歷) ... 393
Ⅱ. 선생의 교육자적 성격 ... 397
1. 성실(誠實) ... 397
2. 근엄(謹嚴) ... 398
3. 궁행(躬行) ... 398
4. 인내(忍耐) ... 399
Ⅲ. 선생의 교육지도적 이념 ... 399
1. 자아혁신(自我革新) ... 402
2. 사대정신(四大精神) ... 403
3. 신성단결(神聖團結) ... 404
4. 정의돈수(情誼敦修) ... 404
5. 덕체지삼육(德體知三育) ... 404
6. 동맹수련(同盟修鍊) ... 405
7. 자조(自助)와 호조(互助) ... 405
8. 대공주의(大公主義) ... 405
Ⅳ. 선생의 교육형식과 기관(機關) ... 406
1. 일인일기(一人一技) ... 406
2. 직업학교 ... 406
3. 모범농촌 ... 407
4. 사회교육 ... 407
5. 중등교육 ... 4707
6. 청년운동 ... 408
7. 표상이용(表象利用) ... 408
둘째 조각 한흰샘 주시경 ... 409
셋째 조각 남강 이승훈 ... 414
Ⅰ. 선생의 약력 ... 414
Ⅱ. 선생의 교육사업 ... 416
Ⅲ. 선생의 교육정신 ... 427
Ⅳ. 선생의 조국광복에 끼친 일 ... 430
넷째 조각 한서 남궁억
Ⅰ. 선생의 약력 ... 435
Ⅱ. 선생의 교육사업 ... 436
Ⅲ. 선생의 교육정신 ... 438
Ⅳ. 선생의 조국광복에 끼친 일 ... 441
다섯째 조각 백농 최규동 ... 443
Ⅰ. 선생의 탄생과 그 당시 국정 ... 443
Ⅱ. 인간교사로서의 백농선생 ... 445
Ⅲ. 학교장으로서의 백농선생 ... 449
아홉째 가름 총결론 ...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