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Ⅰ. 민속문화의 계승과 전통의 재창조
도시화 문제와 전통의 재창조 방향 ... 15
1. 전통을 보는 현실적 시각 ... 15
2. 전통에 대한 오해와 편견 ... 18
3. 시골에서의 전통 단절과 계승 ... 28
4. 마을공동체 민속의 회복 ... 34
5. 도시화의 역기능과 전통의 재창조 ... 38
6. 재...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Ⅰ. 민속문화의 계승과 전통의 재창조
도시화 문제와 전통의 재창조 방향 ... 15
1. 전통을 보는 현실적 시각 ... 15
2. 전통에 대한 오해와 편견 ... 18
3. 시골에서의 전통 단절과 계승 ... 28
4. 마을공동체 민속의 회복 ... 34
5. 도시화의 역기능과 전통의 재창조 ... 38
6. 재통합을 위한 소통과 나눔의 전통 ... 42
7. 문화적 정체성의 회복과 전통 ... 46
8. 전통이 지닌 현실적 기능 ... 50
전통문화의 전승공동체와 주체적 계승의 길 ... 55
1. 전통문화의 두 전승공동체 ... 55
2. 전통문화에 입각한 민족교육 ... 57
3. 전통문화를 수용하는 민족종교 ... 60
4. 민족적 전망을 열어가는 문화정책 ... 63
5. 지방화를 겨냥한 계승의 길 ... 64
6. 통일을 전망하는 계승의 길 ... 65
7. 주체화를 실현하는 계승의 길 ... 67
8. 세계화를 겨냥한 계승의 길 ... 69
민속문화에 나타난 공동체의식과 그 회복 ... 71
1. 민중적 전통과 공동체의식 ... 71
2. 일과 놀이 전통의 공동체의식 ... 73
3. 제의와 의례 전통의 공동체의식 ... 78
4. 공동체 문화의 회복을 위하여 ... 81
5. 연구자들의 시각조정 필요 ... 84
민속예술의 계승과 남북한 동질성 확보 ... 87
1. 민족적 동질성과 전통예술 ... 87
2. 남북한 문화를 보는 삐뚠 눈 ... 88
3. 민속예술의 층위와 북한의 사정 ... 90
4. 민속예술을 보는 남북한의 시각 ... 92
5. 민속예술의 수용과 동질성 회복 ... 94
Ⅱ. 지역문화의 재인식과 민속의 세계
지역문화의 재인식과 공동체적 삶의 문화 ... 101
1. 지역문화의 재인식과 활성화 ... 101
2. 지역문화의 주체는 토박이 ... 103
3. 지역문화와 자유로운 삶 ... 106
4. 지역문화와 풍요로운 삶 ... 109
5. 지역문화의 주체적 인식 ... 112
6. 지역사회 개발과 지방자치제 ... 114
7. 지방문화에서 지역문화로 ... 116
8. 향토문화에서 지역문화로 ... 120
9. 지역문화의 독자성 회복 ... 122
민속문화의 세계와 안동지역의 문화적 특징 ... 126
1. 민속문화의 위상과 학문적 관심 ... 126
2. 민속을 보는 민주적인 눈 ... 128
3. 안동민속의 문화적 의의와 기능 ... 128
4. 안동민속이 가지는 문화사적 맥락 ... 132
5. 안동문화의 다양성과 조화 ... 134
6. 안동문화의 가능성에 거는 기대 ... 136
안동사람들의 의식형성과 그 비판적 인식 ... 139
1. 논의의 실마리 ... 139
2. 양반지향적인 의식의 한계 ... 141
3. 관향이 별나게 존중되는 안동 ... 143
4. 선조를 내세우는 의식의 저변 ... 146
5. 추로지향, 그 사대적 인식 ... 149
6. 안동사람들의 본디 의식 ... 151
7. 안동사람들의 의식형성 근거 ... 155
8. 논의의 마무리 ... 159
길쌈문화의 전통과 두레공동체 ... 163
1. 길쌈문화를 주목하는 뜻 ... 163
2. 길쌈문화의 전통과 역사 ... 166
3. 삼농사의 두레양식 ... 171
4. 삼무지 작업의 관행 ... 175
5. 삼삼기의 방식과 두레삼 ... 178
6. 길쌈의 공정과 베짜기 ... 182
7. 입성문화의 전통 회복 ... 185
Ⅲ. 세시풍속의 이해와 민속예술의 세계
설과 보름 민속의 대립적 성격과 유기적 관련성 ... 191
1. 논의의 실마리 ... 191
2. 설날 아침에 올리는 차례와 세배 ... 193
3. 설에 하는 윷놀이와 종경도놀이 ... 196
4. 대보름에 올리는 동신제와 별신굿 ... 198
5. 대보름에 하는 대동놀이와 패놀이 ... 200
6. 설과 보름 민속의 대립성과 유기성 ... 204
7. 논의의 마무리 ... 209
8. 논의에 덧붙여 ... 211
놋다리밟기 춤의 유형과 풍농기원의 의미 ... 221
1. 민속에서 원형이란 무엇인가? ... 221
2. 놋다리밟기의 유형과 전승지역 ... 223
3. 풍농기원의 주술적 의미와 원리 ... 229
4. 사회통합적 기능과 역사적 의미 ... 234
5. 기능의 소멸에 따른 전승의 양상 ... 240
6. 의도적 전승의 의의와 한계 ... 243
7. 자료 ... 246
하회탈춤에 나타난 민중적 세계관과 대동성 ... 255
1. 하회탈춤의 새로운 이해 ... 255
2. 중마당의 재해석 근거 ... 257
3. 중마당의 극적 성격과 주술적 성격 ... 259
4. 양반·선비마당의 갈등구조와 비판의식 ... 261
5. 민중의 비판적 대동성 ... 264
6. 양반들의 긍정적인 수용태도 ... 267
탈과 조각품으로 본 하회탈의 예술성과 사회성 ... 270
1. 논의의 실마리 ... 270
2. 조각품으로 본 탈의 형상과 색상 ... 272
3. 탈의 전체적 균형과 이목구비의 특징 ... 274
4. 탈의 고정성을 극복한 동적 기능과 의미 ... 277
5. 상하좌우의 움직임에 따른 탈의 가변성 ... 279
6. 탈의 구조와 그에 따른 착용감 ... 282
7. 탈의 제작시기 추론 ... 284
8. 고려조의 신분제와 탈의 전승력 ... 288
9. 논의의 마무리 ... 295
Ⅳ. 기우제의 제의적 성격과 주술의 세계
기우제의 성격과 그 전승의 시공간적 이해 ... 305
1. 기우제의 제의적 성격 ... 305
2. 기우제의 문화적 폭과 깊이 ... 308
3. 공적 주술로서의 기우제와 제관 ... 313
4. 기우제의 장소와 기우권역 ... 318
5. 문헌에 나타난 기우제터와 그 분포 ... 320
6. 기우제의 전승력과 지리적 환경 ... 323
7. 기우주술과 관개기술의 관계 ... 327
도연기우제의 민속지와 주술적 장치 ... 331
1. 도연기우제와의 만남 ... 331
2. 조사경과와 제보자의 기우제 수용 ... 332
3. 기우제 장소인 도연의 입지와 환경 ... 337
4. 도연기우제의 관행과 주술 ... 340
5. 용신의 성격과 기우제의 주술적 장치 ... 344
6. 도연기우제의 주술원리 ... 349
7. 도연기우제의 이해 ... 352
기우제의 주술관행과 주술의 원리 ... 356
1. 기우제의 의식과 기우주술 ... 356
2. 기우주술의 관행과 유감주술의 원리 ... 359
3. 유감주술의 원리에서 벗어난 기우주술 ... 363
4. 반감주술 또는 대응주술과 그 원리 ... 367
5. 주술적 사고의 발전과 주술의 변모 ... 369
6. 기우주술의 영험성과 결과의 수용 ... 373
Ⅴ. 전통생활의 모습과 민속문학의 세계
여성민요에 나타난 시집살이와 여성생활의 향방 ... 379
1. 여성의 노래와 삶을 보는 눈 ... 379
2. 시집살이에서 시집생활로 ... 382
3. 여성민요 속의 시집생활 ... 384
4. 시집생활의 고난 ... 396
5. 시집생활의 즐거움 ... 402
6. 시집생활의 재인식 ... 407
7. 바람직한 여성상의 전통 ... 409
8. 같은 시대 여성생활의 향방 ... 412
성주의 본향 제비원의 노래와 전설 ... 415
1. 안동의 상징 제비원 미륵불 ... 415
2. 성주풀이가 말해 주는 성주의 본향 제비원 ... 417
3. 제비원 전설의 유형적 성격 ... 420
4. 제비원 전설의 역사적 층위와 문화사의 전개 ... 424
5. 자료 ... 430
안동지역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 ... 442
1. 안동은 이야기의 고장 ... 442
2. 이야기꾼의 층위 ... 444
3. 안동의 전문적인 이야기꾼 ... 446
4. 안동의 예사 이야기꾼들 ... 448
5. 안동의 인물에 관한 이야기 ... 450
6. 안동의 유적에 관한 이야기 ... 454
7. 이양기를 통해 본 안동문화 ... 456
꿈 이야기의 유형과 꿈에 관한 인식 ... 459
1. 민담의 꿈화소와 ‘꿈 이야기’ ... 459
2. 돼지꿈도 해몽나름 : 해몽의 이치 ... 460
3. 흉몽도 해몽에 따라 길몽 : 꿈보다 해몽 ... 462
4. 대몽은 함구해야 길몽 : 꿈의 비의성 ... 464
5. 꿈의 계시성과 인연성 : 꿈의 영험성 ... 466
6. 꿈 이야기에 드러난 꿈에 관한 인식 ... 46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