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국어판에 대한 저자서문 ... 9
발간사 ... 19
참고도판 목록 ... 21
제Ⅰ장 춘추·전국·진한의 회화이론
개설 ... 29
1. 『좌전(左傳)』의 '사민지신간(使民知神姦)'론 ... 31
2. 공자(孔子)의 '회사후소(繪事後素)'와 '명경찰형(明鏡察形)'론 ... 35
3. 장자(莊子)의 '해의반박(解衣般박)'론 ... 43
4. 『한비...
더보기
목차 전체
한국어판에 대한 저자서문 ... 9
발간사 ... 19
참고도판 목록 ... 21
제Ⅰ장 춘추·전국·진한의 회화이론
개설 ... 29
1. 『좌전(左傳)』의 '사민지신간(使民知神姦)'론 ... 31
2. 공자(孔子)의 '회사후소(繪事後素)'와 '명경찰형(明鏡察形)'론 ... 35
3. 장자(莊子)의 '해의반박(解衣般박)'론 ... 43
4. 『한비자(韓非子)』의 회화와 생활의 관계 및 조각의 도(道)에 관한 론 ... 49
5. 『회남자(淮南子)』의 '군형(君形)'과 '근모실모(謹毛失貌)'론 ... 54
6. 왕충(王充)의 회화이론 ... 57
제Ⅱ장 위진·남북조의 회화이론
개설 ... 67
1. 조식(曹植)과 육기(陸機)의 회화효능론 ... 70
2. 육기(陸機)의 회화의 특징에 관한 '존형막선어화(存形莫善於畵)'론 ... 74
3. 서(書)·화(畵)·문(文)의 제1차 결합과 왕익(王이)의 이론 ... 75
4. 고개지(顧愷之)의 회화이론 ... 77
5. 사혁(謝赫)의 '6법(六法)'과 요최(姚最)의 '심사조화(心師造化)'론 ... 90
6. 종병(宗炳)과 왕미(王微)의 산수화론 ... 100
7. 대옹(戴 )의 조소론(雕塑論) ... 110
제Ⅲ장 당·오대의 회화이론
개설 ... 117
1. 고개지(顧愷之), 육탐미(陸探微), 장승요(張僧繇)에 대한 비평논쟁과 장회관(張懷瓘)의
'신(神), 골(骨), 육(肉)'론 ... 119
2. 회화비평의 또 하나의 새로운 기준: '4격(四格)'과 '5등(五等)' ... 127
3. 장언원(張彦遠)의 회화이론 ... 131
4. 수묵산수화의 창시자 장조(張操)와 그의 '외사조화(外師造化), 중득심원(中得心源)'론 ... 159
5. 형호(荊浩)의 산수화론: '6요(六要)'와 '2병(二病)' ... 163
6. 전(傳) 왕유(王維)의 『산수결(山水訣)』과 『산수론(山水論)』 ... 170
7. 민간화가들의 경험의 총결: 전(傳) 형호(荊浩)의 『화론(畵論)』 ... 172
제Ⅳ장 송대의 회화이론
개설 ... 179
[Ⅰ] 송대 회화비평의 몇 가지 기준 ... 182
1. '4격(四格)'의 해석과 4격의 순서변화 ... 182
2. 곽약허(郭若虛)의 '기운비사(氣韻非師)'와 용필(用筆)의 '3병(三病)'론 ... 187
3. 유도순(劉道醇)의 '6요(六要)'와 '6장(六長)'론 ... 191
4. 구양수(歐陽修), 심괄(沈括), 소식(蘇軾)의 중신사(重神似)론 ... 196
5. 소식(蘇軾)의 회화이론의 기준: '상리(常理)' ... 204
6. 소식(蘇軾)의 '시정화의(詩情畵意)'론 ... 214
7. 화가의 수양(修養)론 ... 219
[Ⅱ] 송대의 인물화론 ... 228
1. 송대의 오도자(吳道子)와 주방(周肪)론: 당송대 심미관의 차이 ... 228
2. 곽약허(郭若虛)의 사기모(寫氣貌)론과 진욱(陳郁)의 사심(寫心)론 ... 236
3. 이공린(李公麟)의 인물의 내면정신 표현론 ... 239
4. 소식(蘇軾)과 진조(陳造)의 전신(傳神)론 ... 245
[Ⅲ] 송대의 산수화론 ... 250
1. 송대 산수화의 심미관과 예술 정취 논쟁 ... 250
2. 곽희(郭熙)의 산수화론 ... 263
[Ⅳ] 송대의 화조화론 ... 272
1. 서희(徐熙)와 황전(黃筌)의 양대 화풍에 대한 평론 ... 273
2. 대상에 대한 철저한 관찰정신과 사물의 '신명(神明)'론 ... 278
3. 사물을 통한 우의(寓意)와 서정(抒情) ... 284
제Ⅴ장 원대의 회화이론
개설 ... 293
1. 조맹부(趙孟 )의 '고의(古意)'와 '서화용필동법(書畵用筆同法)'론 ... 296
2. 전선(錢選)의 '사기(士氣)'론 ... 320
3. 예찬(倪瓚)의 '일필(逸筆)'과 '일기(逸氣)'론 ... 326
4. 이간(李간)의 화죽(畵竹)론 ... 336
제Ⅵ장 명대의 회화이론
개설 ... 345
1. 왕리(王履)의 『화산도서(華山圖序)』 ... 347
2. 절파((浙派)와 이개선(李開先)의 『중록화품(中麓畵品)』 ... 353
3. 서위(徐渭)의 회화이론 ... 363
4. 산수화의 남북종론(南北宗論) ... 369
5. 명청대의 '사(邪), 첨(甛), 속(俗), 뢰(賴), 와 '생(生), 숙(熟)'론 ... 381
6. 명청대의 제발(題跋)과 인장(印章)론 ... 390
제Ⅶ 청대의 회화이론
개설 ... 405
1. 왕원기(王原祁)등의 의고사상(擬古思想) ... 405
2. 운격(운格)의 '섭정(攝情)'론과 추일계(鄒一桂)의 '활탈(活脫)'론 ... 412
3. 석도(石濤)의 회화이론 ... 420
4. 금농(金農)의 회화이론 ... 439
5. 정섭(鄭燮)의 회화이론 ... 453
후기 ... 463
중국역대주요화론서지 ... 465
중국역대왕조연표 ... 482
역자후기 ... 486
색인 ... 49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