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1
일러두기 ... 3
첫째 들머리 ... 23
[첫째] 한글의 이름과 그 뜻 ... 23
[둘째] 연구 방법론 ... 32
{첫째} 자료 현황 ... 32
{둘째} 연구 방법 ... 35
[셋째] 자료 보기 ... 39
둘째 한글의 제정 경위 ... 170
[첫째] 한글 만듬에 대한 세종과 신하들의 갈등 ... 170
{첫...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1
일러두기 ... 3
첫째 들머리 ... 23
[첫째] 한글의 이름과 그 뜻 ... 23
[둘째] 연구 방법론 ... 32
{첫째} 자료 현황 ... 32
{둘째} 연구 방법 ... 35
[셋째] 자료 보기 ... 39
둘째 한글의 제정 경위 ... 170
[첫째] 한글 만듬에 대한 세종과 신하들의 갈등 ... 170
{첫째} 반대 상소문과 세종 답변의 분석 ... 170
(첫째) 반대 상소문의 성격 ... 170
一. 반대 상소문 분석의 목적 ... 170
二. 반대 상소문 올린 사람 ... 170
(둘째) 최 만리 등의 반대 상소문의 분석 ... 174
一. 반대 상소문의 분석 ... 174
二. 반대 상소문에 대한 답변 분석 ... 182
(셋째) 반대 상소문에 묻혀 있는 사실 ... 186
一. 홑조각 ... 186
二. 문제 제기의 가정문 ... 188
三. 옛글자 ... 195
(1) 옛 글자의 뜻 ... 195
(2) 옛 글자란 말의 잘못 전함 ... 198
{둘째} 언문 제정에 대한 공방 논쟁에서 드러나는 사실 ... 201
(첫째) 언문의 중국 것과 성리학과의 무관성 ... 201
(둘째) 반대상소문 이전의 언문 제정에 대한 논란와 해결 ... 212
[둘째] 한글 만듬과 음운체계 ... 227
{첫째} 세종의 한글 만든 시기 미뤄 잡음 ... 227
{둘째} 글자 만듬과 음운체계 분석 ... 234
(첫째) 속용문자 개선의 가능성 ... 234
(둘째) 우리 나라 한자음 소리체계와 어제 동국정운 ... 237
(셋째) 우리말의 분석과 한글의 특수한 연원 ... 241
一. 한글의 글자 체계와 우리말 소리의 분석 ... 241
二. 한글의 특수한 연원 ... 249
[셋째] 한글 만듬의 동기 ... 256
{첫째} 세종의 공식적으로 밝힌 동기 ... 256
{둘째} 세종의 숨겨 온 동기 ... 259
(첫째) 언문 반대 상소문에서 보여진 한글 만듬의 동기 ... 260
(둘째) 한글 만든 직후의 언역과 한글 만듬의 동기 ... 262
(셋째) 세종의 숨겨 온 동기에서 엿보이는 한글의 문자 성격 ... 265
{셋째} 외국 언어 정책의 영향 ... 266
(첫째) 원나라의 언어 정책 본받음 ... 266
(둘째) 새나라 터 닦음의 동기 ... 273
[넷째] 한글의 이름과 번음 사업의 굴절 ... 280
{첫째} 동국정음과 어제 동국정운의 반절 및 그 통합과 명칭 변화 ... 280
{둘째} 제1차 언문 반대와 한글 이름의 뒤바뀜 ... 284
{셋째} 최 만리 등의 언문 반대 상소와 번음 사업의 굴절 ... 288
셋째 훈민정음 ... 293
[첫째] 훈민정음 ... 293
{첫째} 훈민정음의 종류와 글자체계 ... 293
(첫째) 각 훈민정음의 종류와 성격 ... 293
一. 세종실록 25년의 훈민정음 ... 293
二. 세종실록 28년의 훈민정음 ... 297
三. 지금 전하는 해례본 훈민정음 ... 300
(둘째) 훈민정음의 글자체계 ... 371
一. 세종 25년의 훈민정음 ... 371
二. 해례본 훈민정음 ... 372
三. 언해본 훈민정음의 원문 ... 374
{둘째} 훈민정음과 운서와의 짝 ... 375
(첫째) 훈민정음 과련 운서의 짝 ... 375
一. 해례본 훈민정음과 동국정운 ... 375
二. 언해본 훈민정음 원문과 홍무정운 역훈 ... 378
[둘째] 훈민정음 해례 ... 393
{첫째} 해례의 성격 ... 393
(첫째) 훈민정음 해례의 주석적 성격 ... 393
(둘째) 정 인지 서문에 의한 해례 성격 확인 ... 396
一. 정 인지 서문의 문장 분석 ... 396
二. 정 인지 서문의 내용과 한글을 칭찬한 글의 성격 ... 398
三. 훈민정음 해례 서문과 홍무정운 서문과의 비교 검토 ... 400
四. 제책 경위에서 보이는 해례의 내용 ... 403
(셋째) 어제 훈민정음의 성격에 의한 해례의 성격확인 ... 407
{둘째} 제자해의 분석과 역해 고찰 ... 410
(첫째) 제자해의 성격 해명과 문 분석을 통한 역해 확인 ... 410
一. 제자 해설의 원 설명 ... 410
二. 제자해의 문 분석에 의한 역해 주제의 확인 ... 415
(둘째) 제자해의 역해 적용 양상 ... 424
一. 역리 적용에 대한 철학적 논거와 적용 양상 ... 424
(一) 역의 생성론에 의한 논거 ... 424
(二) 역의 자연론에 의한 논거 ... 428
(三)「이」론 ... 429
二. 역리 풀이를 적용하는 방식 ... 431
(一) 글자 꼴에 의한 적용 ... 431
(二) 글자의 뜻에 의한 적용 ... 437
(三) 글자의 차례에 의한 적용 ... 441
(四) 소리의 기능에 의한 적용 ... 442
三. 문 구조의 이원성과 문구성 유형 ... 443
四. 역리풀이의 짝과 응용한 역 이론 ... 447
{셋쩨} 해례의 고치고 보탬 ... 455
(첫째) 현전 해례의 이질적 요소 ... 455
一. 제자해 문장의 이질적 요소 분석 ... 455
二. 역리 제자설의 꾸며 보탬 확인 ... 456
(一) 제자해 문장의 이질적 요소 분석 ... 456
(二) 역리 제자설의 꾸며 보탬 확인 ... 464
(1) 초성 역리 제자설의 더 보탬 확인 ... 465
(2) 중성 역리 제자설의 더 보탬 확인 ... 466
(3) 꾸민 제자 풀이의 문체적 특징 ... 474
三. 초성해의 이질적 요소 분석 ... 478
四. 중성해의 이질적 요소 분석 ... 480
五. 종성해의 이질적 요소 분석 ... 484
六. 합자해의 이질적 요소 분석 ... 492
七. 용자례의 이질적 요소의 내용 ... 501
(둘째) 훈민정음 해례「결」과 잘못된 글자 ... 503
一. 훈민정음 해례의「결」과 잘못된 글자 ... 503
二. 용자례의 잘못된 글자 ... 506
(셋째) 제자풀이 고침의 확인 ... 509
一. 고친 형태의 지적 ... 509
(一)「ㄱ」글자 만듬 풀이의 고침 ... 511
(二)「ㄴ」글자 만듬 풀이의 고침 ... 515
(三)「ㅁ」글자 만듬 풀이의 고침 ... 516
二. 조금씩 고쳐 나아감과 중성의 역리 제자풀이 ... 519
{넷째} 원래 풀이의 되살림 ... 526
(첫째) 본래 풀이 되살림의 방법 ... 526
(둘째) 중성 글자 만듬 풀이의 바로잡음과 되살림 ... 532
一. 밑글자의 만듬 원리 ... 532
二. 초성 밑글자의 바로잡음과 되살림 ... 533
三. 획 더한 글자와 몸꼴이 다른 글자 ... 539
(셋째) 중성 글자 만듬 풀이의 바로잡음과 되살림 ... 541
一. 밑글자의 되살림 ... 541
二. 쭈그림과 벌림 글자의 글자 만듬 풀이 되살림 ... 548
三. ㅣ에서 일어난 소리 글자의 글자 만듬 풀이 되살림 ... 551
(넷째) 제자해의 그림 풀이 ... 553
一. 초성 글자의 그림풀이 ... 553
二. 중성 글자의 그림풀이 ... 557
{다섯째} 훈민정음 해례으 한자음 표기 ... 559
{여섯째} 초간 해례와 고치고 보탠 해례 ... 563
(첫째) 초가 해례의 원문 ... 563
(둘째) 훈민정음 해례를 지은이 ... 595
(셋째) 두 번 고친 글의 고친 과정 ... 602
(넷째) 지금 전하는 해례의 고치고 보탠 모습 추정 ... 606
{일곱째} 해례를 고치고 보탠 동기와 시기 ... 630
(첫째) 고치고 보탬과 대응 운서 ... 630
一. 고치고 보탠 내용 ... 630
二. 역해 ... 632
三. 한자음 종성체계 ... 633
四. 속서법 ... 635
五. 우리말 방음 ... 637
六. 고친 방향 ... 637
(둘째) 새 훈민정음 체계의 이룸과 대응 운서 ... 638
一. 홍무정운역훈, 사성통고의 글자 체계와 두 가지 사성통고 ... 638
二. 고치고 보탠 해례의 글자 체계와 대응 운서 ... 641
[셋째] 한음 운서 역음 사업과 훈민정음 ... 647
{첫째} 세종·문종의 한음 역음 사업 분석 ... 647
一. 홍무정운역훈 서의 분석과 한음 역음 사업 경위 ... 647
二. 한음 역음 참가자와 활동 ... 654
{둘째} 원고 열 번 고침의 내용 추적 ... 662
[넷째] 역해 ... 679
{첫째} 역해와 훈민정음 ... 679
(첫째) 역해의 동기와 시기 ... 679
一. 역해의 시기와 명령자 ... 679
二. 언문청의 성격과 역해의 목적 ... 682
(1) 언문청의 성격과 관련 인쇄 기관의 변혁 ... 682
(2) 정음청으로의 승격과 역해의 목적 ... 688
(둘째) 해례의 고친 시기와 출간한 시기 미뤄 잡음 ... 693
一. 고치 시기의 추정 ... 693
(1) 제1차 고치고 보탬 ... 694
(2) 제2차 고치고 보탬 ... 669
(3) 제3차 고치고 보탬 ... 702
(4) 제4차 고치고 보탬 ... 704
二. 고치고 보탠 해례본 훈민정음의 출간 시기 추정 ... 704
三. 훈민정음과 대응 운서의 완성 및 간행 연대의 정리 ... 709
(셋째) 역해의 집필자 추정 ... 709
一. 역해 맡음의 적임 인물 ... 710
二. 신 숙주의 역해 의욕 ... 712
三. 신 숙주의 글과 해례 역해의 비교 ... 714
(넷째) 각종 훈민정음 간해 연대화 책이 전하지 못한 까닭 ... 722
一. 훈민정음과 동시에 간행 서적과 훈민정음의 간행 연대 ... 722
二. 언해 훈민정음의 두 가지와 간행 연대 ... 726
三. 언문 사업으로 출간되 두 가지 성격과 그것에 대응되는 훈민정음의 두 종류 ... 734
四. 훈민정음 간행 기록이 묻혀진 까닭 ... 736
五. 각종 훈민정음이 전하지 못한 까닭 ... 738
(一) 연산군의 언문 금지령 ... 740
(二) 유신들의 언문 반대 감정 ... 741
글 연구(Ⅰ) 후주 ... 743
복원(復元)한 글
지금 전하는「훈민정음」표지, 첫머리 4쪽 ... 302
초간본「훈민정음」 ... 564
초간본「훈민정음」의 수정 모습 ... 607
세종 25년 훈민정음 ... 295
언해본「훈민정음」의 원문 ... 370
언해본「훈민정음」첫쪽 들머리 5줄 ... 371
번역(飜譯)한 글(전문을 번역한 글)
세종 25년 訓民正音 ... 40
세종 28년 訓民正音 ... 41
訓民正音解例 ... 44
性理大全의 글 ... 45
언해본 訓民正音 ... 80
諺文反對上疏文 ... 108
세종의 諺文反對上疏의 답변 ... 114
東國正韻序 ... 118
洪武正韻序 ... 119
洪武正韻譯訓序 ... 136
四聲通攷凡例 ... 142
四聲通解序 ... 146
四聲通解凡例 ... 151
諺文字母 ... 166
[ 2 권 ]
넷째 반절 ... 23
[첫째] 반절체계 ... 23
{첫째} 훈몽자회 범례의 반절 ... 23
{둘째} 원래의 반절체계 추정 ... 33
(첫째) 반절문과 반절표의 되살림 ... 33
(둘째) 반절과 훈민정음의 차이점 ... 42
[둘째] 반절의 이루어짐 ... 44
{첫째} 반절의 이루어진 시기 ... 44
{둘째} 훈민정음 해례에 반영된 반절체계 ... 45
{셋째} 반절 글자의 체계와 변화 ... 49
{넷째} 낱글자 읽음 소리의 변화 ... 52
{다섯째} 반절을 만든이 ... 57
다섯째 한글의 제자원리와 표기법 ... 61
[첫째] 한굴의 제자원리 ... 61
{첫째} 한글에 나타난 세종의 소리 견해 ... 61
(첫째) 소리에 대한 견해 ... 61
一. 삼성의 분석과 밑글자의 소리 견해 ... 61
二.「음」과「성」의 뜻과 음의 분석 ... 62
三. 초성의 소리내는 짓 견해와 종성 ... 64
四. 중성의 소리내는 짓 견해 ... 67
(둘째) 소리의 분석 ... 73
一. 초성의 어두음, 어중음 분석과 특수한 소리의 처리 ... 73
二. 겹소리의 홀소리 처리 ... 75
(셋째) 소리의 대립과 분류 ... 77
一. 소리의 대립 ... 77
二. 소리의 분류 ... 79
(넷째) 세종의 음성자질 분석의 특징 ... 80
一. 음성자질 분석 ... 80
二. 초성의 음성자질 분석 ... 80
三. 중성의 음성자질 분석 ... 85
{둘째} 한글의 제자 원리와 표기법 ... 88
(첫째) 한글의 제자원리 ... 88
一. 일반 제자 원리 ... 88
二. 밑글자의 제자 원리 ... 89
三. 획 더한 글자의 제자 원리 ... 90
四. 몸 꼴이 다른 글자의 제자원리 ... 91
(둘째) 훈민정음의 우리말 표기법 규정 ... 92
一. 훈민정음의 글자 맞춤법 규정 ... 92
二. 훈민정음의 정서법 규정 ... 94
(一) 훈민정음의 정서법 원리와 글자 체계 ... 94
(二) 우리말 적음의 정서법 규정 ... 96
(1) 어중 쌍초성과 섞임 겹초성 적기 ... 96
(2) 이름씨의 사이소리 적기 ... 100
(3) 치음 및 유기음 종성 적기 ... 102
(4) 긴소리 종성 적기 ... 106
(5) 겹종성 적기 ... 115
(6) 소리 높임 적기 ... 117
(7) 소리 덩이 적기 ... 119
(三) 한자음 적기 ... 124
(四) 소리대로 적기의 원칙 ... 126
三. 용비어천가의 개수와 정서법의 이루어진 시기 ... 129
(셋째) 훈민정음 해례의 속서법 규정 ... 136
一. 속서법의 글자 체계 ... 136
二. 훈민정음 해례의 속서법 규정 ... 137
여섯째 한글의 음가와 소리체계 ... 139
[첫째] 음가 ... 139
{첫째} 초성의 음가 ... 139
(첫째) 한글 음가의 뜻과 음가 해명의 방법 ... 139
(둘째) 초성과「ㅇ」의 음가 ... 142
(셋째) 홑글자 초성과 없어진 글자의 음가 ... 149
一. 우리말의 홑글자 초성과 그 소리의 갈래 ... 149
二. 없어지 홑글자 초성과 그 음가 ... 161
(一) 「ㆁ」의 없어짐과 그 음가 ... 161
(二) 「ㅿ」의 없어짐과 그 음가 ... 162
(넷째) 겹글자 홑초성과 그 음가 ... 175
一. 연서 ㅸ와 없어짐 ... 175
二. ㅸ의 음가 ... 177
(다섯째) 겹글자 겹소리 초성과 그 음가 ... 181
一. 겹글자 겹소리 초성의 갈래와 겹글자의 변화 ... 181
(一) 겹글자 겹초성의 갈래 ... 181
(二) 쌍초성의 변화 ... 182
(三) 섞임 겹초성의 변화 ... 183
二. 병서의 글자 소리와 그 해명의 문제점 ... 185
(一) 겹글자 초성의 글자와 소리 ... 185
(二) 우리말의 음절 짜임과 병서음가 해명의 문제점 ... 189
(三) 쌍초성 ... 191
(1) 쌍초성의 글자 짜임과 분포 ... 191
(2) 어중 쌍초성 이루어짐의 분석 ... 195
(3) 성문음과 결합된 소리의 쌍초성에로의 변화 ... 202
(4) 마찰음과 마찰음이 이어서 이루어진 쌍초성 ... 210
(5) 파찰음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쌍초성 ... 211
(6) 성문음의 쌍초성 ... 213
(7) 어두 쌍초성 ... 218
(8) 쌍초성의 음가표 ... 220
(四) 섞임 겹초성 ... 221
(1) 섞임 겹초성의 소리 짜임과 그 종류 ... 221
(2) 어중 섞임 겹초성의 이루어짐 ... 227
(3) 「ㅅ」와「ㅂ」의 특수한 성격 ... 229
(4) 섞임 겹초성 「ㅅ」와 「ㅂ」의 음가 고증 ... 233
(5) 섞임 겹초성의 음가 정리 ... 242
(6) 섞임 겹초성의 한자 빌어 적기 ... 246
{둘째} 종성의 음가 ... 264
(첫째) 종성의 뜻과 「ㅇ」종성의 음가 ... 264
一. 종성의 뜻 ... 264
二.「ㅇ」종성의 음가 ... 265
(둘째) 홑종성의 음가 ... 270
一.「ㆆ」종성의 음가 ... 270
二.「ㅅ」종성의 음가 ... 271
三.「ㄹ」종성의 음가 ... 274
(셋째) 겹종성의 음가 ... 276
一. 홑글자 겹종성의 음가 ... 276
(一.)「ㅈ」종성 ... 276
(二) 유기음 종성 ... 277
(1) 유기음 종성의 음가 ... 277
(2) 유기음 종성의 내파화와 내파음 ... 277
二. 겹글자 겹종성 ... 288
(넷째) 긴 종성 ... 291
(다섯째) 종성의 변화 ... 297
{셋째} 중성의 음가 ... 300
(첫째) 중성의 뜻과 중성의 갈래 ... 300
一. 중성의 뜻 ... 300
二. 중성의 갈래 ... 301
(둘째) 홑글자 중성의 음가 ... 303
一. 홑글자 홑중성의 음가와 「ㆍ」음가 ... 303
二. 홑글자 겹중성의 음가 ... 310
(셋째) 겹글자 중성의 음가 ... 310
一. 겹글자의 소리 ... 310
二. 겹글자 중성의 결합분포 ... 314
三. 뒤 선「ㅣ」의 음성적 음가 ... 315
四. 앞 선 「ㅗ」와 「ㅜ」의 음성적 음가와 결합제약 ... 319
五.「ㅚ」와「ㅟ」의 음성상의 두 소리 ... 322
(一)「ㅚ」〔 i〕「ㅟ」〔wi〕소리의 확인 ... 322
(二)「ㅚ」〔oj〕「ㅟ」〔uj〕소리의 확인 ... 324
六. 밝은 소리와 어두운 소리의 음가 ... 325
{넷째} 사성의 음가 ... 327
{다섯째} 방언의 특수한 소리 ... 332
(첫째) 반설경음 ... 332
(둘째) ·와 ㅡ가 ㅣ에서 일어난 소리 ... 333
[둘째] 옛말의 음소체계 ... 335
{첫째} 음소의 구조의식과 체계 ... 335
(첫째) 글자와 음소 ... 335
(둘째) 구조의식과 체계 ... 336
{둘째} 초성체계 ... 337
(첫째) 어두 초성 체계 ... 337
(둘째) 어중 초성 체계 ... 339
{셋째} 종성체계 ... 341
(첫째) 정서법의 종성과 홑글자 종성의 구조 ... 341
(둘째) 겹종성의 상관 구조 ... 342
{넷째} 중성체계 ... 344
(첫째) 홑중성 체계와 모음조화의 대립구조 ... 344
(둘째) 중성의 상관구조 ... 346
[셋째] 한자음 표기 글자의 음가 ... 348
{첫째} 한자음 표기글자의 성격과 한자음 표기만을 위한 글자 ... 348
(첫째) 한자음 표기글자의 성격 ... 348
(둘째) 한자음 표기만을 위한 글자 ... 350
{둘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는 초성의 음가 ... 351
(첫째) 중국말 소리의 초성과 우리 한자의 초성 ... 351
(둘째) 한자음 포기에만 쓰인 글자의 음가 ... 354
一. 한자음 표기에 쓰인 「ㄲ ㄸ ㅃ ㅉ ㅆ ㆅ」초성의 음가 ... 354
二.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ㅸ ㆄ ㅹ ㅱ」초성의 음가 ... 358
三. 한자음 표기에 쓰인 「ㆁ」와「ㆆ」초성의 음가 ... 360
四.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ㅿ」초성의 음가 ... 361
五. 한자음 표기에 쓰인 「ㄹ」초성의 음가 ... 362
六. 한자음 표기에 쓰인 치두음과 정치음 글자의 음가 ... 362
{셋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는 중성의 음가 ... 363
(첫째) 한자음 중성과 우리말 중성 ... 363
(둘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ㅘ ㆊ ㅙ ㅞ」중성의 음가와 국어적 제약 ... 366
{넷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는 종성의 음가 ... 368
(첫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는 「ㅇ ㅿ ㅱ ㅸ」종성과 한음 중성 ... 368
(둘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ㅇ」 종성의 음가 ... 368
(셋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ㅿ」종성의 음가 ... 371
(넷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ㅱ」와「ㅸ」종성의 음가 ... 373
(다섯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ㅇ ㅿ ㅱ ㅸ」종성 음가의 초성과의 비교 ... 375
{다섯째} 한자음의 사성 ... 376
(첫째) 한자음의 사성점과 사성체계 ... 376
(둘째) 한자음의 사성음가 ... 77
일곱째 한글의 기원 ... 381
[첫째] 한글 기원의 해명 방법론 ... 381
{첫째} 한글 기원 연구 일별 ... 381
(첫째) 한글 기원 해명의 문제점과 한글의 어미 글자 ... 381
(둘째) 이제까지의 한글 기원 해명의 모색과 문제점 ... 383
一. 민간 기원설과 조작설 ... 383
(一) 민간 기원설 ... 383
(二) 조작설 ... 384
(1) 사람에 의거한 조작설 ... 384
(2) 글자에 의거한조작설 ... 385
(3) 역학에 의거한조작설 ... 386
(4) 악리 기원설 ... 388
(5) 꼴에 의거한 조작설 ... 389
(6) 상형에 의거한 조작설 ... 390
二. 학구적 기원설 ... 392
(一) 학구적 기원설의 유형 ... 392
(二) 문화전통관에 의한 기원 탐색 ... 393
(1) 중국 문화 영향관에 선 기원설 ... 393
(2) 불교 문화 영향관에 선 기원설 ... 393
(3) 원 문화 영향관에 선 기원설 ... 394
(4) 겨레 문화 전통관에 선 기원설 ... 394
(三) 문자 변형관에 의한 기원 탐색 ... 399
(1) 탐색적 수준의 기원설 ... 399
(2) 고증적 기원설 ... 403
(四) 문헌 기록의 입증관에 선 기원설 ... 407
(1) 고전에 근거한 기원설 ... 408
(2) 상형에 의한 육서 기원설 ... 409
三. 고증적 기원론의 되살핌 ... 410
[둘째] 한글 기원 고찰 ... 413
{첫째} 한글 기원 해명 방법 ... 413
一. 기원설 혼란의 원인 ... 413
二. 한글 기원의 해명방법 ... 415
{둘째} 한글 기원 해명의 실마리 ... 417
(첫째) 한글의 특성 ... 417
一. 한글 만듬에 기초가 된 음운 견해 ... 417
(一) 음절 분석 ... 418
(二) 음소 분류 ... 419
(三) 음소의 음성자질 분석 ... 421
(둘째) 한글 글자의 특성 ... 423
{셋째} 한글 기원 밝힘 ... 426
(첫째) 우리나라의 옛글자와 속용문자 ... 426
一. 한글 기원의 암시적 기록 ... 426
(一) 글귀 자체의 뜻이 두 가지로 해석됨 ... 426
(二) 반박의 전제 ... 427
(둘째) 옛글자와 속용문자 ... 428
一. 옛 글자의 성격과 속용문자의 종류 ... 428
二. 속용문자의 그림글자 ... 430
三. 속용문자의 꼴 본뜸 글자 ... 437
四. 속용문자를 만든 이 ... 452
(셋째) 한자 빌어적기의 변질 ... 453
一. 한자 빌어적기와 그 종류 ... 453
二. 한자 빌어적기와 한자의 변질 ... 455
(넷째) 속용문자의 발달과 그 방향 ... 457
一. 그림문자의 발달과 그 방향 ... 457
二. 빌어적기 글자의 발달과 그 방향 ... 458
{넷째} 한글의 기원 밝힘의 맺음 ... 459
(첫째) 한글과 속용문자 및 빌어적기 글자와의 맥락관계 입증 ... 459
一. 결과음 표기법 ... 460
二. 극도로 간단한 글자꼴 ... 461
(둘째) 옛글자와 언문의 확인 ... 463
(셋째) 세종의 무당과의 접촉 ... 467
(넷째) 속용문자 기원 단정 ... 470
(다섯째) 한글 만듬의 국문자사적 의미 ... 472
여덟째 한글의 우수성 ... 475
{첫째} 한글의 세 가지 장점 ... 475
{둘째} 문자의 발달과 한글의 지위 ... 478
{셋째} 한글과 음성기호 ... 488
(첫째) 한글의 음성기호 이용 ... 488
(둘째) 국제 음성기호 제안 ... 490
一. 초성 기호 ... 492
二. 중성 기호 ... 493
{넷째} 한글의 개량과 그 한계점 ... 495
(첫째) 글씨체 변화와 참꼴 지키기 ... 495
(둘째) 전하여 오는 글자꼴의 잘못과 원 글자꼴 회복 ... 498
(셋째) 새 소리 글자의 바로잡음과 한글의 글자 만듬 원리 지키기 ... 498
(넷째) 펴 쓰기와 원 글자꼴 지키기 ... 500
(다섯째) 쓰기체와 한글의 참꼴 지키기 ... 501
[붙임]
훈민정음 관계 인물 ... 503
각종 훈민정음의 일람표 ... 639
훈민정음 연표 ... 645
한글 연구(Ⅱ) 후주 ... 665
나의 한글 연구의 발자취 ... 713
찾아보기 ... 725
복원(復元)한 글
반절문(反切文) ... 34
반절표(反切表) ... 39
언문(諺文) ... 569
초간본 언해 훈민정음 ... 589
글자(文字) 보기
범자(梵字) ... 411
고대 인도(古代印度) 문자 ... 411
위굴(偉兀) 문자 ... 412
파스파(八思巴) 문자 ... 412
남해도(南海島) 석각문(石刻文) ... 481
미국(米國) 인디언 문자 ... 481
한자(漢字) ... 479,
힛타이드 문자 ... 482
이집트(埃伋) 문자 ... 482,
슈메르 문자 ... 482
일본(日本) 가나(假名) ... 482
페니키아 문자 ... 483
희랍(希臘) 문자 ... 483
옛셈 문자 ... 483
라틴 문자 ... 483
헤브류(希伯來) 문자 ... 483
한글 ... 487
권 재선 제안「새 한글 음성기호」 ... 492
전문을 번역한 글
直解童子習譯訓評說 ... 57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