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서장 統-問題에 대한 논의와 방법론 고찰 ... 13
제1절 북한문제의 理論化 가능성 ... 13
제2절 통일문제와 북한문제의 접근방법과 문제점 ... 17
제3절 결론 ... 26
제1편 韓半島 統一의 역사적 환경
제1장 한국전쟁시와 오늘의 安保環境間의 비교 평가 ... 29
제1절 韓半島의 안보환경 ... 29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서장 統-問題에 대한 논의와 방법론 고찰 ... 13
제1절 북한문제의 理論化 가능성 ... 13
제2절 통일문제와 북한문제의 접근방법과 문제점 ... 17
제3절 결론 ... 26
제1편 韓半島 統一의 역사적 환경
제1장 한국전쟁시와 오늘의 安保環境間의 비교 평가 ... 29
제1절 韓半島의 안보환경 ... 29
제2절 한국전쟁 당시와 오늘의 안보환경의 비교평가 ... 31
1. 冷戰秩序와 한국전쟁 ... 31
2. 남북한의 경제체제와 안보환경 ... 33
3. 한국전쟁과 北韓社會의 재편성 ... 34
4. 戰略的 環境의 변화와 평가 ... 36
5. 북한의 전쟁관과 한국전쟁에 대한 시각 ... 41
제3절 결론 ... 43
제2장 休戰協定의 정치적 평가 ... 46
제1절 휴전협정의정치적 의미 ... 46
제2절 휴전체제와 戰爭抑止力 ... 47
제3절 휴전체제에 대한 북한의 태도 ... 51
제4절 휴전체제의 지속과 변화 : 韓半島問題의 평화적 해결 ... 55
제5절 휴전체제와 한반도 안정의 강화와 통일 ... 60
제3장 유엔과 남북한 ... 62
제1절 한반도와 유엔과의 관계 ... 62
제2절 유엔에서의 韓國問題(Korean Question) 기원 ... 65
제3절 한국전쟁에서 기인한 한반도 安全體系의 요인과 특징 ... 72
제4절 오늘의 한반도문제와 유엔 ... 83
제5절 결론 ... 87
제4장 한반도 주변 强大國이 보는 우리 민족의 통일 ... 89
제1절 강대국과 한반도문제 ... 89
제2절 美蘇關係의 변화와 한반도 ... 90
제3절 강대국의 한반도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 ... 91
제4절 韓國外交의 문제점과 대응 ... 95
제2편 極東國際秩序의 재편과 한반도
제1장 국제관계 속의 한국정치 ... 101
제1절 서론 ... 101
제2절 새로운 데탕트의 성격 : '70년대와 '90년대의 데탕트의 차이 ... 102
제3절 소련의 對韓半島 접근과 한반도 ... 103
제4절 미국의 반응 : 駐韓美軍과 한반도 ... 107
제5절 새로운 데탕트 속의 한반도 ... 109
제6절 결론 ... 111
제2장 소련의 極東軍事政策과 북한과의 관계 ... 113
제1절 서론 ... 113
제2절 蘇聯-北韓間의 새로운 군사관계의 형성과 성격 ... 114
1. 金日成의 소련방문의 배경과 목적 ... 114
2. 金正日-카핏차 단독군사회담과 새로운 군사협력 ... 117
제3절 소련의 대북한 군사협력과 그 성격 ... 120
1. 군사장비의 지원과 무기체계의 성격 ... 120
2. '기지'문제와 소련-북한간의 군사협력 ... 122
3. 소련의 북한 내에서의 '군사활동' ... 124
4. 소련과 북한간의 '군사교류' ... 127
5. 소련의 북한에 대한 핵기술 지원의 개시 ... 129
6. 군사협력의 문서화와 군사협정의 가능성 ... 129
제4절 소련-북한간의 군사협력과 전략적인 제영향 ... 130
1. 소련-북한간의 전략적 협력과 '滿洲包圍' ... 131
2. 蒙古-北韓-極東소비에트간의 전략적 연계 ... 133
3. 極東소비에트-北韓-越盟간의 연계와 루트 ... 135
4. 중국과 서방과의 군사적인 차단 ... 136
5. 대마도해협의 무력화와 소련의 태평양 진출 ... 137
6. 東海와 黃海의 연결 ... 138
7. 중국에 대한 위협과 중국의 반응 ... 138
8. 소련의 극동정책과 북한의 전략적 편입 ... 140
9. 서태평양으로의 진출과 일본열도 ... 141
10. 소련의 휴전선 접근과 한국 ... 142
제5절 결론 ... 143
제3장 中蘇和解와 북한의 대외정책 변화 ... 146
제1절 서론 ... 146
제2절 중소회담과 화해의 기본적 성격 ... 148
1. 새로운 형태의 관계 ... 148
2. 고르바쵸프의 '새로운 사고' ... 151
3. 중소회담과 '프롤레타리아트 국제주의' ... 152
4. 중소간의 '3대장애' ... 153
5. 중소회담과 미국 ... 154
제3절 중소화해와 북한의 대외정책 ... 155
1. 소련의 새로운 외교논리와 한반도 ... 155
2. 소련의 對韓接近의 이론적 근거 ... 157
3. '하나의 조선' 정책과 소련 ... 158
4. '크라스노야르스크' 연설과 한소관계 ... 161
5. 한반도문제와 '헬싱키형'의 협상 ... 161
제4절 북한의 대외정책 변화와 전망 ... 163
1. '北方3角關係'와 문제점 ... 163
2. '하나의 조선' 정책과 문제점 ... 164
3. '평화공존'의 문제점 ... 167
4. 북한의 '對美接近'의 가능성과 문제점 ... 169
5. '지역분쟁' 문제와 한반도의 '연동' 문제 ... 170
제5절 결론 : 정책적 문제점 ... 171
1. 북한의 대미접근의 새로운 측면 ... 171
2. 북한의 대소정책과 '김일성 이후'(Post-Kim) ... 172
3. 북한의 대남정책 : 이중구조의 성격 ... 173
4. 북한의 對中政策 ... 174
5. 중소화해와 일본의 입장 ... 175
6. 중소회담과 '북방정책' ... 175
제4장 새로운 國際環境과 한반도 군축 ... 177
제1절 미국의 極東軍事와 한반도 ... 177
제2절 미소간의 군사적 변화와 한반도 ... 179
제3절 한반도의 군축문제와 군사긴장의 성격 ... 181
제4절 미군철군과 감축의 조건과 한미동맹관계 ... 183
제3편 유럽 및 東歐圈의 변화와 韓半島
제1장 소련·동구권의 변화와 한반도의 미래 ... 189
제1절 '새로운 데탕트'의 본질 ... 189
제2절 소련의 변화와 그 성격 ... 191
제3절 동유럽의 변화와 한반도의 변화 ... 194
제4절 결론 ... 197
제2장 소련의 변화와 북한의 對內政治 변동 ... 198
제1절 문제의 제기와 접근방법 ... 198
제2절 소련과 동유럽의 변혁과 북한 ... 201
1. 루마니아 붕괴의 충격과 북한의 체제적 반응 ... 201
2. 루마니아 충격에 대한 북한의 정치적 대응논리 ... 205
3. 소련의 韓國承認과 북한이 받은 충격 ... 206
제3절 북한의 閉鎖體制와 政治變動 : 개방과 정보환경 ... 211
1. 북한의 '체제'와 정보환경 ... 212
2. 북한의 정보엘리트와 국가체제 ... 214
3. 소련의 '글라스노스트'와 북한의 정보환경 ... 215
제4절 북한의 體制와 政治變動 ... 216
1. 북한사회의 구조적 특징과 기초 ... 217
2. 북한의 經濟體制 ... 221
3. 북한의 軍事體制 ... 225
4. 북한의 권력적 변동의 전망 ... 228
5. 북한의 체제적인 변화의 가능성 : 소결론 ... 230
제5절 결론 ... 232
제3장 유럽군축이 極東軍事構造에 미치는 영향 ... 235
제1절 유럽과 극동간의 기본적인 차이점 ... 236
제2절 유럽군축의 성격 ... 239
1. '새로운 사고'와 군축의 발상 ... 239
2. 소련의 새로운 군사정책 ... 242
제3절 유럽의 軍縮과 극동군사구조 ... 244
1. 기본적인 문제점 : 유럽과 극동의 군축 ... 244
2. 극동군축의 문제점과 그 전개 : 소련의 극동군사조치와 정책 ... 246
제4절 결론 : 새로운 극동군사구조와 문제점 ... 249
제4장 동유럽의 政治變勳이 북한에 끼칠 영향과 우리의 대응책 ... 252
제1절 서론 :문제의 제기 ... 252
제2절 동유럽변화의 본질과 영향요인 ... 254
1. 理念的인 차원에서의 요인 ... 254
2. 政治體制的인 차원에서의 요인 ... 256
3. 安全保障 차원에서의 요인 ... 258
4. 經濟的 차원에서의 요인 ... 261
5. 國際的인 차원에서의 요인 ... 262
제3절 동유럽의 정치변동과 북한의 정치변동 ... 264
1. 한국전쟁과 북한 社會構造의 특징 ... 265
2. 북한의 정치변동의 핵심문제 : '하나의 조선' 정책 ... 266
3. 북한의 사회변동과 軍部問題 ... 267
4. 중국의 '社會主義 4原則'과 북한의 정치변동 ... 268
5. 동유럽의 군축과 한반도의 군축 ... 270
6. 한국의 북한 흡수력의 부족 ... 273
제4절 결론 ... 273
제4편 남북한관계 변화와 韓半島 統一
제1장 한국의 北方政策 ... 277
제1절 북한정책의 목적과 기원 ... 277
1. 북방정책의 목적 ... 277
2. 북방정책의 기원 ... 278
제2절 共産圈에 대한 접근의 성격과 방식 ... 279
1. 접근의 성격 ... 279
2. 접근의 방식 ... 281
제3절 결론 ... 284
제2장 북한의 核 : 기원과 문제점 ... 286
제1절 서론 ... 286
제2절 核政策과 연구의 起源 ... 288
제3절 북한의 핵정책과 개발체제 ... 291
제4절 북한의 對外 원자력 협력 ... 292
제5절 북한의 핵과 정치적 제문제 ... 295
제3장 북한의 정치변동 : 展望과 可能性 ... 301
제1절 동유럽의 정치변동과 북한 ... 301
제2절 북한의 정치변동의 제문제 ... 306
제3절 북한의 정치변동 전망과 그 樣相 ... 310
제4절 결론 ... 313
제4장 북한의 유엔加入과 '하나의 朝鮮' 정책 ... 314
제1절 북한의 변화와 '하나의 조선' 정책 ... 314
제2절 북한의 유엔 同時加入과 입장의 변화 ... 315
제3절 북한의 유엔가입과 관련되는 諸問題 ... 318
제4절 유엔 동시가입과 韓半島의 安定 ... 323
결론 : 공존과 통일 ... 325
著者 著書 및 關聯論文 目錄 ... 329
색인 ... 33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