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고봉선생문집 속집 제 1권 高峰先生文集續集卷一
시 詩
중종대왕의 능을 옮길때의 만장(中宗大王遷陵挽章) ... 1
호상에 노니는 제자들에게 붙이다(寄遊湖諸子) ... 2
남루 중에 더디 오는 손을 바라다(南樓中望所遲客) ... 3
호수에 배 띄우다(핍湖) ... 4
배 안에서 취하여 일어나다(舟中醉起) ... 5
압구정(狎鷗亭) ......
더보기
목차 전체
고봉선생문집 속집 제 1권 高峰先生文集續集卷一
시 詩
중종대왕의 능을 옮길때의 만장(中宗大王遷陵挽章) ... 1
호상에 노니는 제자들에게 붙이다(寄遊湖諸子) ... 2
남루 중에 더디 오는 손을 바라다(南樓中望所遲客) ... 3
호수에 배 띄우다(핍湖) ... 4
배 안에서 취하여 일어나다(舟中醉起) ... 5
압구정(狎鷗亭) ... 5
퇴계 선생께 올리다(上退溪先生) ... 6
또 율시 한 수를 오리며 아울러 기꺼이 보아주시기를 빌다(又奉一律倂祈笑攬) ... 6
고시(古詩) ... 6
사제에 대한 만장(挽舍弟) ... 8
뱃놀이(船遊) ... 9
숙모에 대한 만장(挽叔母) ... 10
종형에 대한 만장(挽從兄) ... 11
허유의 은거(許由隱居) ... 11
양진이 사지를 두려워하다(震畏四知) ... 11
송정에서 재신을 접대하다(松亭接宰臣) ... 12
노련동해유고풍(魯連東海有高風) ... 12
춘풍화초향(春風花草香) ... 13
화신풍(花信風) ... 13
섣달 그믐날 홀로 앉아 붓 가는대로 쓰다(除日獨坐信筆而成) ... 13
밤에 앉아 우연히 읊다(夜坐偶吟) ... 14
벗을 심방하다(訪友) ... 14
증별(贈別) ... 15
우연히 읊다(偶吟) ... 15
친구에게 주다(贈友) ... 15
고 참의에 대하 만장(挽高參議) ... 16
건장궁의 봄 새벽(建章春曉) ... 17
초새에 잔나비 소리를 듣다(楚한開猿) ... 17
악양루에서 군산을 대하다(岳陽樓對君山) ... 17
증점의 비파가 천기를 울리다(點○天機鳴) ... 18
배로 구당을 지나다(舟過瞿塘) ... 18
취한 후 경석과 계진께 드리다(醉後呈景錫季眞) ... 19
또 계진께 드리다(又呈季眞) ... 19
또 경석께 드리다(又呈景錫) ... 19
집 앞에 한 그루의 매화가 있었는데 얼어 죽을까 염려되어 거적으로 싸 놓았다. 오랫동안 열어 보지 않다가 지금에서야 열어 보니 초췌해져서 생기가 없었다. 이에 감탄하며 이 시를 쓴다(堂前有梅日株畏其凍死以점과之久不開視今始開之憔悴無生意感歎賦此) ... 20
재차 앞에서 운자를 따서 고향에 매화가 만개한 것을 생각하다(再用前韻憶故圓梅花之盛) ... 20
호당으로 향하다(向湖堂) ... 20
친구가 편지로 초대하므로 절구시로 회답하다(友人以書相招答以絶句) ... 21
모인에 대한 만장(挽人) ... 22
우연히 읊다(偶吟) ... 22
중추절 하루 전 밤에 달을 구경하다(仲秋前一夕翫月) ... 23
송별(送別) ... 23
친구를 작별하다(別友) ... 24
정자중을 전송하다(送鄭子中) ... 24
한식(寒食) ... 25
한강루 시를 차운하다(次漢江樓韻) ... 26
친구를 작별하다(別友人) ... 27
유둣날 호당에 술을 하사하다(流頭日湖堂宣온) ... 27
두류의 장로들에게 답하다(酬頭流長老) ... 29
모인에 대한 만장(挽人) ... 29
남루에서 중을 전송하다(南樓送僧) ... 31
기쁨으로 황매우를 보다(喜見黃梅雨) ... 32
만발한 홍도를 읊다(詠滿開紅桃) ... 32
한 경제(漢景帝) ... 32
연덕이 높은 대신을 애도하다(悼老德大臣) ... 33
온갖 꽃들이 늦게야 향기를 토하다(群花晩吐芬) ... 34
한강에서 손을 전송하다(漢江送客) ... 34
모인에 대한 만장(挽人) ... 35
돌아가는 제비(歸燕) ... 36
모인에게 주다(贈人) ... 37
모인을 생각하다(思人) ... 37
한 광무(漢光武) ... 38
쇠잔한 국화를 탄식하다(殘菊歎) ... 38
백학봉에서 소동파의 옛집을 찾다(白鶴峰尋피舊居) ... 39
한 선비가 능히 나라를 빛내다(匹士能光國) ... 39
만족함을 알면 욕됨이 없다(知足不辱) ... 40
밤에 영릉에 정박하여 한자창의 운율 쓰다(夜泊寧陵用韓子蒼韻) ... 41
용루의 침소에 문안하다(問寢龍樓) ... 41
삼강령 팔조목을 읊다(詠三綱八目) ... 42
치중화를 읊다(詠致中和) ... 42
정일집중을 읊다(詠精一執中) ... 42
육절육문을 가르치다(敎六節六文) ... 43
선을 쌓으면 남은 경사가 있다(積善有餘慶) ... 43
소춘(小春) ... 43
어옹(漁翁) ... 44
벗에게 수답하다(酬友) ... 45
농월헌에서(弄月軒) ... 45
관찰사에게 주다(贈道伯) ... 45
금강산에 유람가는 사람을 보내며(送人遊金剛) ... 48
길주목사를 보내며(送吉州牧使) ... 48
자미헌 운을 차하다(次紫薇軒韻) ... 49
송별(送別) ... 49
눈(雪花) ... 50
매화(梅花) ... 50
축요루 연회(祝堯樓宴飮) ... 51
작약(芍藥) ... 52
벗에게 주다(贈友人) ... 53
중에게 주다(贈僧) ... 54
어떤 사람에게 주다(贈人) ... 54
속절없이 읊다(만吟) ... 54
관어대 전별 술자리에서(觀魚臺錢飮) ... 55
안문보에게 주다(贈安文寶) ... 56
우연히 읊다(偶吟) ... 56
병중에 석천 선생을 그리고 아울러 나의 뜻을 기술하다(病中有懷石川先生倂述鄙意) ... 57
늙은 선비(老儒) ... 59
물 마른 벼루(枯硯) ... 60
모인에 대한 만장(挽人) ... 60
조사의를 위하여 장례원계회도에 쓰다(掌隷院契會圖爲趙司議) ... 61
서산의 가을 조망(西山秋眺) ... 61
송천의 시운을 차하여 중에게 주다(次松川韻贈僧) ... 61
극념당을 운을 차하다(次克念堂韻) ... 62
권학하는 소시(勸學小詩) ... 62
모인에 대한 만장(挽人) ... 63
모인에 대한 만장(挽人) ... 65
유거잡영(幽居雜詠) ... 66
떠나는 사람에게 주다(贈別) ... 71
극재신정의 강정에서 읊은 시에 화답하다(和克齋愼正江亭吟) ... 71
백운정에서 양 통판사기을 전송하다(白雲亭餞楊通判士寄) ... 72
우연히 쓰다(偶題) ... 73
칠월 이십일일 취중에 쓰다(七月二十一日醉書) ... 74
배움을 권면하는 시로 정자중에게 주다(勉學詩贈鄭子中) ... 74
고요 정자를 읊은 시로 정자중에게 주다(靜詩贈鄭子中) ... 76
제영(題詠) ... 77
유영해의 만장(柳寧海挽章) ... 77
중 각준에게(僧覺俊) ... 78
우연히 읊음(偶吟) ... 79
존재만록(存齋만錄) ... 80
관동에 안찰사로 나가는 경숙을 전송하다(送景肅出按關東) ... 80
퇴계선생이 우거하는 건천동 집의 분매를 두고 짓다(賦退溪先生乾川洞寓第盆梅) ... 81
퇴계선생과 작별하다(奉別退溪先生) ... 81
퇴계선생의 차운(退溪先生次韻) ... 81
퇴계선생의 매화시를 우러러 차운하다(仰次退溪先生梅花詩) ... 82
퇴계선생의 매화시(退溪先生梅花詩) ... 83
병인 중춘에 소명의 사면을 빌며 예천동헌에 머물면서 뜨락 매화에게 묻다(丙寅仲春乞辭召命留醴泉東軒問庭梅) ... 84
매화가 대답함(梅花答) ... 84
병인 삼월에 소명을 사면하고 산에 돌아와서 매화에게 묻다(丙寅季春辭召命還山問梅) ... 84
매화가 대답함(梅花答) ... 85
기사년 봄에 한성 우사에 있으면서 분매를 얻어 늘 책상에서 대하였는데 장차 떠남에 이 시로 작별하다(己巳春在漢城寓舍得盆梅常案上將行贈別) ... 85
선생께서 정존의 송별시 세 절구를 차운함을 보고 문득 화답해서 구구한 정성을 바치다(伏覩先生次韻靜存送別三절輒敢攀和以效區區) ... 86
꿈에 퇴계선생을 뵙다(夢見退溪先生) ... 86
정존 문장이 매화시 여덟 수를 화답해 보여주므로 다시 그 운에 의하여 내 뜻을 말하였다(靜存文丈和示梅花八韻仍復依韻以申下情) ... 87
비오는 속에 희롱으로 쓰다(雨中희筆) ... 88
정자중의 회포 말한 시에 차운해서 퇴계선생께 울리다(次韻鄭子中述懷呈退溪先生) ... 88
정자중이 새벽에 앉아 우연히 쓴 운을 차하여 보내다(次鄭子中曉坐偶書韻仍以奉贈) ... 90
노 감사에게 받들어 전송하다(奉送盧監司) ... 91
우연히 두 율시를 얻어 바치려고 하다 이루지 못하였다(偶得兩律欲奉매未果) ... 92
퇴계 선생이 화답해서 보여주신 없을 무자 운을 차하다(奉次退溪先生和示無字韻) ... 93
물격의 풀이(釋物格) ... 93
분변해서 대답함(辨答) ... 94
두 번째 풀이함(再釋) ... 94
경숙이 시를 보내오고 또 금강산에 논다는 말이 있기에 화답해서 보내다(景肅以詩來寄又有將遊楓岳之示奉和以呈) ... 95
황해도 관찰사로 나가는 경시를 전송하다(送景時出按海西) ... 95
소재의 운을 차하다(次蘇齋韻) ... 96
한강에서 유이현을 전송하다(漢江送柳而見) ... 97
직산에 이르러 감회를 써서 퇴계 선생께 올리다(行到稷山感懷有述寄上退溪先生) ... 98
태인에 이르러 자앙 윤오음의 편지를 받고 달가의 운을 화하여 보내주어 다시 화답하여 갚았다(到泰仁得子仰尹梧陰書追和達可韻寄示요復和報) ... 98
달가의 송별운을 차하여 편지와 함께 부치다(追次達可送別韻簡寄) ... 99
병든 후에 우연히 기록하다(病後偶記) ... 99
정관찰 시첩에 쓰면서 양송천 운을 쓰다(題鄭觀察詩帖用梁松川韻) ... 99
퇴계선생이 있을 존자 운을 화답하여 보내주셨기에 또 그 운을 써서 올리다(退溪先生和存字韻寄示又用韻仰매) ... 100
퇴계선생 기락암 운을 차하여 인해 선생에게 올리다(仰次退溪先生韻紀樂菴仍上先生) ... 100
달가가 연경에 가려면서 종이를 보내서 이별시를 구하였다(達可將赴京送紙求別語) ... 101
도산서당(陶山書堂) ... 101
암서헌(巖棲軒) ... 101
완락재(玩樂齋) ... 102
유정문(幽貞門) ... 102
정우당(淨友塘) ... 102
절우사(節友社) ... 102
농운정사(농雲精舍) ... 103
시습재(時習齋) ... 103
지숙요(止宿寮) ... 103
관란헌(觀瀾軒) ... 104
곡구암(谷口巖) ... 104
천연대(天淵臺) ... 104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 ... 105
탁영담(濯纓潭) ... 105
반타석(盤陀石) ... 105
동취병산(東翠屛山) ... 105
서취병산(西翠屛山) ... 106
부용봉(芙容峯) ... 106
남강의 송별운을 써서 회포를 말하다(用南岡送別韻寓懷) ... 106
탄림(歎霖) ... 107
만성(만成) ... 108
김사안 경우의 만장(挽金師顔景愚) ... 108
기우(寄友) ... 109
식영정 운을 차하다(次息影亭韻) ... 109
만성(만成) ... 111
회포를 쓰다(書懷) ... 111
밤에 술을 마시며 운자를 부름(夜酌呼韻) ... 111
통판 성주와 함께 낙암에서 자고 유생의 운을 써서 이별의 회포를 펴다(同通判城主宿樂庵用柳生韻敍別懷) ... 112
성주의 운을 쓰다(用城主韻) ... 113
또 한 수의 율을 짓다(又賦一律) ... 113
천상즉사(川上卽事) ... 113
송천에서 보내다(呈松川) ... 113
뜻을 말하다(述意) ... 114
중 성진을 만나 노산의 경치를 말하다(逢僧性眞說蘆勝槪) ... 114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15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16
퇴계선생이 산매와 산웅이 주고 답하는 두 절구를 보내주시므로, 한가한 취미를 흠모하며 그리움을 마지 못해 감히 거친 생각을 얽어 울려, 웃으며 보시기를 엎드려 빌었다(伏蒙先生垂示山梅山翁贈答兩절欽尙閑趣懷不能己敢급蕪思伏祈笑攬) ... 116
분매 바람 풍자의 운을 아울러 화답해 보여주심을 입어 감사하고 송구함을 말할 수 없으므로 감히 또 운에 차하여 이 마음을 털어 놓았다(盆梅風字韻倂蒙和示感悚難言敢又步韻以경下情) ... 117
노부제학의 화답한 율시를 보고 삼가 원운을 써서 회포를 말하고 웃으며 보기를 빌다(伏覩盧副學和律謹用元韻仰述鄙懷伏祈笑攬) ... 117
나주목사와 칠두정에서 회화하기를 기약하다(羅牧期話七頭亭) ... 118
우락암에서 회포를 쓰다(寓樂菴書懷) ... 119
식영정의 운을 차해서 네 계절을 기록하다(次息影亭韻紀四時) ... 120
퇴계 선생 운을 차해서 설형에게 주다(次退溪先生韻贈雪衡) ... 121
퇴계 선생 만장(退溪先生輓章) ... 121
원효사에서 남의 운을 차하다(元曉寺次人韻) ... 123
행정에게 주다(贈行正) ... 124
느낌이 있어 읊음(感吟) ... 124
규봉에서 비를 만나 제군과 함께 소나무 송자 운으로 짓다(圭峯遇雨同諸君賦得松字) ... 125
식영정에서 술 취한 후에 고제봉과 김상사 경생과 더불어 운자를 부르다(息影醉侯與高霽峯金上舍景生呼韻) ... 125
식영정 운을 차하다(次息影亭韻) ... 126
관압사 양공의 만장(管押使梁公挽) ... 127
임희인의 운을 차하다(次林希仁韻) ... 128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28
중 성감에게 주다(贈僧性鑑) ... 129
차운하여 인운에게 주다(次贈引雲) ... 129
중 도균에게 주다(贈僧道均) ... 129
담준에게 주다(贈澹俊) ... 130
나사훤 송재의 여덟 경치 읊음(羅士원松齋八詠) ... 130
어저께 숙취로 인해 거친 태도가 많았으니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해서 이 거친 시구를 지어 올리니 행여 한번 보고 웃기를 바랍니다. 노소재 앞에(昨因宿취多發狂態愧慄不勝此有荒句仰매淸혜幸祈一粲盧蘇齋前) ... 130
한강루에 올라 차운하다(次登漢江樓) ... 131
만강홍을 차하다(次滿江紅) ... 132
한강 배 안에서의 운을 차하다(次漢江舟) ... 133
강물에서 놀음을 차운하다(次江遊) ... 133
용두산에서 늦게 술마시며 지은 운을 차하다(次龍頭山晩酌) ... 133
용두봉에 오른 운을 차하다(次登龍頭峯) ... 134
태평관 누대에 오른 운을 차하다(次登太平館樓) ... 134
기울 경자 운으로 짓다(傾字韻) ... 135
사간원 계축에 쓰다(題司諫院契軸) ... 136
정존재 이담의 별첩에 쓰다(題靜存別帖李湛) ... 136
충청감사 유전를 전송하다(送忠淸監司柳전) ... 138
천추사 이억상를 전송함(送千秋使李億祥) ... 138
서장관 김시회을 전송함(送書狀官金時晦) ... 138
박우상 순이 중국 서울에 감을 전송하다(送朴右相淳赴京) ... 139
김옥천을 전송함(送金沃川) ... 140
송동지 인을 전송함(送宋同知寅) ... 141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41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42
우연히 쓰다(偶書) ... 142
없을 무자 운을 두 번째로 차운하다(再次無韻) ... 142
차운(次韻) ... 143
부질없이 이루다(漫成) ... 143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44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44
어느 사람의 만장(挽人) ... 144
풍영정 운을 차하다(次風詠亭韻) ... 145
섣달 초하루 밤에 중서당에 숙직하다가 외고조 진산 강문량공 운을 써서 회포를 기술하다(잡月初一日夜寓直中書堂用外高祖晉山姜文良公韻요述鄙懷) ... 145
김좌랑 경우에게 준 요월 정시(與金佐郞景愚邀月亭詩) ... 146
고봉선생문집 속집 제2권 高峰先生文集續集卷二
서 書
이태백(李太白)이 두 자미(杜子美)에게 주는 편지를 가정하여 씀 ... 147
종형(從兄)께 울리는 글 ... 149
「덕양유고(德陽遺稿)」를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글 ... 151
유미암(柳尾巖)에게 답한 글 ... 153
목사(牧使)에게 올린 글 ... 153
김하서(金河西)의 호상소(護喪所)에 답한 글 ... 156
잡저 雜著
과정기훈(過庭記訓) ... 157
자경설(自警說) ... 159
삼해(三解) ... 165
적해(跡解) ... 165
의해(意解) ... 166
이해(理解) ... 168
천사(天使) 허국(許國)·위시량(魏時亮)의 문목(問目)에 대해 조목조목 답함 ... 169
서 序
산인(山人) 조웅(祖雄)에게 주는 시(詩)의 서 ... 187
발 跋
퇴계선생(退溪先生)의 도산기문(陶山記文)에 대한 발 ... 189
제문 祭文
하서 김선생(河西金先生)께 제사드리는 글 ... 190
논 論
불의후(不義侯)를 봉해 준 데 대해서 논함 ... 191
책 策
일제(佚題) ... 194
고봉선생문집 부록 제 1 권 高峰先生文集附錄卷一
행상 行狀
정홍명(鄭弘溟) ... 202
시장 諡狀
이식(李植) ... 208
고봉선생문집 별집부록 제 1권 高峯先生文集別集附錄卷一
제문 祭文
제일(第一) 유홍(兪弘) ... 220
제이(第二) 서엄(徐엄) ... 221
제삼(第三) 김계(金啓) ... 222
제사(第四) 안용(安容) ... 226
제오(第五) 정인관(鄭仁寬) ... 228
제육(第六) 정염(丁焰) ... 235
제칠(第七) 최경회(崔慶會) ... 236
제팔(第八) 서맹종(徐孟宗) ... 240
제구(第九) 심의겸(沈義謙) ... 240
제십(第十) 김우홍(金宇弘) ... 241
제십일(第十一) 김계휘(金繼輝) ... 242
제십이(第十二) 양응정(梁應鼎) ... 244
제십삼(第十三) 임추(林樞) ... 245
제심사(第十四) 김경생(金景生) ... 248
제십오(第十五) 민철명(閔哲命) ... 249
제십육(第十六) 김관(金瓘) ... 251
제십칠(第十七) 조유성(趙惟誠) ... 253
제십팔(第十八) 이함형(李咸亨) ... 259
제십구(第十九) 이호민(李好閔) ... 259
제이십(第二十) 정철(鄭澈) ... 263
고봉선생문집 별집부록 제 2권 高峯先生文集別集附錄卷二
만장 挽章
제일(第一) 유홍(兪泓) ... 264
제이(第二) 노진(盧진) ... 265
제삼(第三) 양사기(楊士奇) ... 266
제사(第四) 김계(金啓) ... 267
제오(第五) 우성전(禹性傳) ... 268
제육(第六) 홍인경(洪仁慶) ... 268
제칠(第七) 정철(鄭澈) ... 269
제팔(第八) 노수신(盧守愼) ... 270
제구(第九) 구봉령(具鳳령) ... 271
제십(第十) 윤두수(尹斗壽) ... 271
제십일(第十一) 유격(柳格) ... 273
제십이(第十二) 최현(崔顯) ... 273
제십삼(第十三) 홍천민(洪天民) ... 274
제십사(第十四) 정유일(鄭惟一) ... 275
제십오(第十五) 송인(宋寅) ... 275
제십육(第十六) 허엽(許曄) ... 276
제십칠(第十七) 김귀영(金貴榮) ... 276
제십팔(第十八) 이이(李珥) ... 277
제십구(第十區) 이담(李湛) ... 277
제이십(第十二) 김취려(金就礪) ... 278
제이십일(第二十一) 유근(柳根) ... 279
제이십이(第二十二) 정유길(鄭惟吉) ... 281
제이십삼(第二十三) 정탁(鄭琢) ... 281
제이십사(第二十四) 홍적(洪迪) ... 281
제이십오(第二十五) 김성일(金誠一) ... 282
제이십육(第二十六) 신광필(申光弼) ... 284
제이십칠(第二十七) 임추(林樞) ... 285
제이십팔(第二十八) 박광옥(朴光玉) ... 285
제이십구(第二十九) 오건(吳健) ... 285
제삼십(第三十) 황혁(黃赫) ... 286
제삼십일(第三十一) 이로(李輅) ... 288
제삼십이(第三十二) 심우승(沈友勝) ... 289
제삼십삼(第三十三) 박순(朴淳) ... 289
제삼십사(第三十四) 김언거(金彦거) ... 290
제삼십오(第三十五) 이호민(李好閔) ... 291
제삼십육(第三十六) 진중후(陳重厚) ... 291
제삼십칠(第三十七) 최시망(崔時望) ... 292
제삼십팔(第三十八) 이유회(李惟晦) ... 292
제삼십구(第三十九) 정인관(鄭仁寬) ... 293
제사십(第四十) 박대붕(朴大鵬) ... 294
제사십일(第四十一) 조유성(趙惟誠) ... 298
제사십이(第四十二) 정복현(鄭復顯) ... 300
제사십삼(第四十三) 변사정(邊士貞) ... 300
제사십사(第四十四) 김위(金위) ... 300
제사십오(第四十五) 이후백(李後白) ... 301
제사십육(第四十六) 신응시(辛應時) ... 302
제사십칠(第四十七) 박충원(朴忠元) ... 302
제사십팔(第四十八) 정염(丁焰) ... 303
제사십구(第四十九) 유주(柳澍) ... 303
제오십(第五十) 유은(柳은) ... 304
제오십일(第五十一) 이경명(李景明) ... 306
제오십이(第五十二) 윤근수(尹根壽) ... 306
제오십삼(第五十三) 심의겸(沈義경) ... 308
제오십사(第五十四) 김경생(金景生) ... 308
제오십오(第五十五) 서태수(徐台壽) ... 310
삼가고봉 선생 서원에 제하다(謹題高峯先生院) 유근(柳根) ... 310
월봉서원사실(月峯書院事實)
서원문헌록(書院文軒錄) ... 311
고청사가 월봉의 상소 일로 모인 유생에게 답한 글(高晴沙答月峯疏會儒生書) ... 312
청액소(請額疏) 고용후(高用厚) ... 313
예조의 회계(禮曹回啓) ... 314
예문관의 회계(禮文館回啓) ... 315
춘추 제향축문(春秋祭享祝文) 김집(金集) ... 315
제이(第二) 송시열(宋時烈) ... 315
신독재 김선생이 월봉서원의 유림에게 답한 글(愼獨齋金先生答月峯儒林書) ... 315
또(又) ... 316
중수상량문(重修上梁文) 윤선거(尹宣擧) ... 317
세 분 선생을 합향할 때의 제문(三先生合享時祭文) 송시열(宋時烈) ... 318
존재 선생 서원에 치제하는 글(祭存齋先生書院文) 심연(沈演) ... 319
소(疏)
청향소(請享疏) ... 320
또(又) 정예환(鄭禮煥) ... 333
태학에 보내는 통문(抵太學通文) ... 343
태학에서 답한 통문(太學答通) ... 345
서술(敍述) ... 345
후지(後識) ... 347
논사록 論思錄
상편(上篇) ... 349
하편(下篇) ... 409
부록 附錄
치제문(致祭文) 효종대왕(孝宗大王) ... 459
치제문(致祭文) 정종대왕(正宗大王) ... 436
고봉 선생 논사록을 중간한 뒤의 전교(傳敎) ... 464
고봉 선생 논사록 발문(跋文) ... 465
논사록 소지(小識) ... 466
후지(後識) ... 46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