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자서 ... 5
재판자서 ... 7
삼판자서 ... 8
옮긴이의 말 ... 10
서론 ... 29
제1부 춘추 시대의 사회 성격[歷史證件]
1. 인人(노예주)와 민民(노예)의 대립[釋人民] ... 39
1. 교육 대상인 세습 귀족(誨人)과 군사 훈련 대상인 민(敎民) ... 40
1. 애인愛人과 사민使民의 차이 ... 40
2. 사인使人의 ...
더보기
목차 전체
자서 ... 5
재판자서 ... 7
삼판자서 ... 8
옮긴이의 말 ... 10
서론 ... 29
제1부 춘추 시대의 사회 성격[歷史證件]
1. 인人(노예주)와 민民(노예)의 대립[釋人民] ... 39
1. 교육 대상인 세습 귀족(誨人)과 군사 훈련 대상인 민(敎民) ... 40
1. 애인愛人과 사민使民의 차이 ... 40
2. 사인使人의 정확한 의미 ... 43
3. 교민敎民의 정확한 의미 : 교敎와 회誨의 차이 ... 46
'회誨'의 용례와 의미 ... 48
'교敎'의 용례와 의미 ... 51
4. 소결론 ... 54
2. 생산력의 담당자 '민'의 반정전제 투쟁 ... 56
1. 생산력의 담당자로서 '민民' ... 56
2. 『좌전』에 나타난 민民이 반정전제 투쟁 ... 59
3. 『논어』에 나타난 민의 투쟁 양상과 공구의 대응 방식 ... 61
4. 일민逸民과 민民의 차이 ... 67
3. '인人'의 자격 요건 및 특권과 인仁의 개념 ... 72
1. 인人의 자격과 요건과 인仁 개념의 실제적 의미 ... 72
2. 득인得人과 지인知人의 문제 ... 76
참정권 ... 80
의정권 ... 80
재판권 ... 81
군대 훈련과 지휘권 ... 81
3. 인人의 특권적 생활 내용들 ... 84
수영 ... 84
노래(가무와 음악, 즉 학도學道·학례學禮·학악學樂) ... 84
가창·학례와 연관된 '시 학습' ... 85
습례와 관련된 술 마시기 ... 85
군사권과 관련된 승마 ... 85
신맞이와 액막이 행사 ... 86
4. 결론 ... 86
2. 인人 개념의 변천과 인仁 사상의 의의[人仁古義辨證] ... 88
1. 풍우란식 '인자애인仁者愛人' 해석에 대한 반박 ... 89
1. 문자의 어원과 파생어의 구별에 입각한 반박 ... 89
2. 인식론의 발전 과정에 입각한 반박 ... 90
3. 소결론 ... 91
2. 인人 개념의 역사적 발전 과정 ... 93
1. 『주례』의 인人 개념 ... 93
2. 『좌전』의 인人 개념 ... 95
3. 『논어』의 인人 개념 ... 97
4. 풍우란의 의문에 대한 문제 제기 ... 99
3. 『논어』의 '소인' 개념과 『좌전』의 '인유십등人有十等'에 대한 고찰 ... 101
1. 반론Ⅰ : 『논어』에 쓰인 '소인' 개념의 사회적 성격 ... 101
2. 반론Ⅱ : 『좌전』에 쓰인 '인유십등人有十等'의 사회적 성격 ... 102
'조조'를 풀이함 ... 105
'여輿'를 풀이함 ... 106
'예隸'를 풀이함 ... 108
'요僚'를 풀이함 ... 111
'복僕'을 풀이함 ... 111
'대臺'를 풀이함 ... 114
'어어'를 풀이함 ... 115
'목牧'을 풀이함 ... 116
소결론 ... 118
4. 인仁 개념의 사회 사상적 의의 ... 121
1. '거擧'의 의미 분석 ... 126
2. '직直'의 의미 분석 ... 129
3. '거직擧直'의 의미 분석 ... 133
5. 결론 : 인仁 사상의 한계 ... 135
3. 민民에 대한 군사 훈련 강화와 공실 권력의 신장[有敎無類解] ... 140
1. 양계초梁啓超와 풍우란馮友蘭식 해석에 대한 비판 ... 141
1. 양계초와 풍우란의 새로운 해석 ... 141
2. 풍우란 해석에 대한 비판 ... 145
2. '민가사유지民可使由之, 불가사지지不可使知之'에 대한 곡해 사례와 비판 ... 146
1. 정호程顥·정이程이 및 주희朱熹의 경우 ... 147
2. 유보남 劉寶楠·유공면劉恭冕 부자의 경우 ... 147
3. 전목錢穆의 경우 ... 148
4. 양계초梁啓超의 경우 ... 149
5. 양계초식 해석에 대한 비판과 올바른 해석 ... 151
나의 논거Ⅰ : 진晉 봉국의 형정刑鼎 주조에 대한 공구의 반대 ... 152
나의 논거Ⅱ : 민民자의 의미 ... 153
3. '유교무류有敎無類'의 '유有'는 유무有無의 '유'가 아니라 역민域民의 '역域'을 뜻한다 ... 156
1. 『논어』에서 보이는 '유有'가의 다양한 용례 ... 156
2. '유교무류有敎無類'의 '유有'는 역민域民의 '역域'을 뜻한다 ... 159
4. '유교무류有敎無類'의 '교敎'는 교육이 아니라 군사 훈련을 뜻한다 ... 163
1. 『논어』에서 보이는 '교敎'자는 오늘날 교육의 의미가 아니다 ... 163
2. 군사 훈련의 내용 :문文·행行·충忠·신信 ... 166
3. 『좌전』 희공 27년조에 씌인 '지知'자의 의미 ... 168
4. '교敎'자의 동의어 : 도道(導)·사使 ... 170
5. '유교무류有敎無類'의 '류類'는 동족(族類)의 의미이다 ... 174
1. '류類'를 '동족'(族)의 뜻으로 쓴 용례 ... 174
2. '류類'와 '족族'을 '성姓'의 뜻으로 쓴 용례 ... 176
3. '류類'와 '족族'을 '씨氏'의 뜻으로 쓴 용례 ... 177
4. 『좌전』 정공 4년조의 은민육족殷民六族·은민칠족殷民七族·회성구종懷姓九宗에 대한 분석 ... 179
6. '유교무류'에 대한 전체적인 해석과 사회 사상적 의미 ... 182
1. 춘추 시대 이성 귀족의 역할 ... 183
2. 세경世卿의 국정 전횡에 대한 공구의 비판 ... 187
3. 소결론 ... 196
4. 군자와 소인의 세계관 : 복례파와 변혁파의 대립[君子小人辨] ... 198
1. 서주에서 춘추 시대까지 군자와 소인 개념의 변화 ... 202
1. 『논어』와 선진 문헌에 군자·소인 개념이 나타난 빈도수 ... 203
2. 소인과 민의 경제적·정치적 지위 비교 ... 204
3. 『시경』에 나타난 군자·소인관 ... 206
4 『좌전』에 나타난 군자·소인관 ... 208
2. 『논어』에 나타난 군자·소인관 ... 210
1. 논어』이 군자관 ... 213
공식화의 형상 ... 214
학문 추구와 사람됨의 모범 ... 214
인물을 평가하는 기준 ... 215
2. 『논어』의 소인관 ... 218
3. 소인사小人士의 특징 ... 220
3. 군자와 소인의 사회적 역할 차이 및 모순의 내용 ... 224
1. 노력자勞力者와 노심자勞心者의 구별 ... 224
2. 양 계층간의 부차적 모순이 주요 모순으로 변화한다 ... 226
3. 주요 모순의 내용 ... 227
주비관周比觀 ... 227
화동관和同觀 ... 229
군자유삼외君子有三畏 ... 231
4. 공구의 군자에 대한 찬미와 소인에 대한 비하 ... 233
1. 전형적 존잴서 군자에 대한 찬미 ... 233
2. 소인의 행위 방식에 대한 비판 ... 239
5. 복식 방면에 나타난 군자와 소인의 차이 ... 246
1. 복색과 복장 문제의 중요성 ... 247
2. 자장과 묵적의 관련성 ... 254
6. 『논어』와 『묵자』의 군자·소인관 비교 ... 257
1. 『논어』와 『묵자』의 군자관 비교 ... 257
2. 『논어』와 『묵자』의 소인관 비교 ... 261
5. 군자·소인 대립의 경제적 기초 : 정전제와 사유제[原貧富] ... 263
1. 사유제의 발달 : 쟁송爭訟과 탈전奪田 현상의 만연 ... 263
1. 여왕여王과 유왕幽王 시기 빈부 문제의 전개 ... 264
2. 『시경』과 『좌전』에 나타난 토지 소유권 분쟁 ... 267
3. 귀족의 신흥 토지 소유자(小人)에 대한 비판 ... 272
4. 춘추 시대 봉국의 기근 현상 : 정전제 생산 양식의 한계 ... 277
2. 『논어』에 반영된 사유제 ... 281
1. 임대 관계의 발생 ... 281
2. 도적질과 약탈의 사회 현상 ... 282
3. 속수 束脩의 해석 ... 286
4. 정신 노동(지적 활동)의 상품화 ... 288
5. 정신 노동의 종사자로서 군자 ... 289
6. 소결론 ... 292
3. 『논어』에 나타난 부인富人과 빈인貧人의 유형 ... 293
1. 부인과 빈인의 사례 ... 293
2. 부인의 유형Ⅰ : 계씨와 관중 ... 296
3. 부인의 유형Ⅱ : 위 공자 형荊 ... 302
4. 부인의 유형Ⅲ : 자공 ... 308
5. 빈인의 유형 : 공구·안연·민자건·증삼 ... 311
4. 부富 추구와 예禮 실천 사이의 모순 문제 ... 317
1. 관중의 경우 ... 317
2. 계씨의 경우 ... 319
3. 분배 문제와 예의 실천 ... 321
4. 빈부의 갈등과 복례 ... 324
5. 빈부 문제의 심화와 군자의 복례 노선 ... 329
1. 사회적 불균등의 심화 ... 329
2. 빈부 문제와 민의 관계 ... 332
3. 중용·복례와 빈부의 문제 ... 334
제2부 전기 유가의 사상 체계[儒學究元]
1. 고대 전기 유가의 자연 인식[自然稽求] ... 341
1. 공구의 자연 인식과 인식 방법 ... 342
1. 육체 노동에 대한 천시 ... 342
2. 공구이 자연 인식 ... 345
천문 현상에 대한 인식 ... 345
물리·화학 현상에 대한 인식 ... 347
동식물에 대한 인식 ... 350
농업·수공업 기술에 대한 인식 ... 358
3. 소결론 ... 364
2. 공구의 자연 인식 방법의 한계 ... 365
1. 자연 인식의 유산 ... 365
2. 공구의 천관 ... 366
3. 공구의 도덕관 : 덕치주의 ... 371
사회 경제적 조건 ... 372
자연 인식의 선구자들 : 예백芮伯·사백史伯·안영 晏영 ... 373
공구의 자연 인식 방법과 그 한계 ... 375
3. 의인주의擬人主義적 사고의 유비 추리 ... 377
1. 유비 추리와 시 해석 방법으로서 흥興 ... 377
2. 사유 형식으로서 유비 추리 ... 380
3. 유비 추리의 한계 : 왕응린王應麟의 시 해석 방법 ... 382
2. 내성 체험에 근거한 선험적 인식론[學習知能論] ... 387
1. 감성 인식으로서 '학學'자의 분석 ... 389
1. 감성 인식으로서 학學 ... 389
2. 감성 인식의 대상으로서 예禮 ... 390
3. 감성 인식으로서 '학學'자의 동의어들 : 문聞·관觀·시視·찰察·청聽·위爲(사事) ... 393
4. 이성 인식으로서 사思 ... 396
2. 감성 인식의 지속을서 '습習'자의 분석 ... 397
1. 감성 인식 지속의 대상으로서 예禮 ... 397
2. 공구의 유심주의 인식론 ... 400
3. 유심주의 인식론과 인성론 ... 401
4. '습習'자의 동의어들 : 행行·관貫 ... 403
3. 정치적·윤리적 덕목으로서 '지知'의 분석 ... 407
1. 지知의 인식 대상으로서 예禮 ... 407
2. 완성된 인격자의 덕목으로서 지知 ... 409
지知의 의미Ⅰ : 지인知人 ... 411
지知의 의미Ⅱ : 지례知禮 ... 414
4. 복례 활동으로서 '능能'자의 분석 ... 416
1. 능能자의 원시적인 의미 : 육체 노동의 근면성 ... 417
2. 『논어』에서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능能'자의 의미 : 기예技藝·소도小道 등이 비례非禮적인 활동 ... 419
3. 『논어』에서 긍정적으로 사용되는 '능能'자의 의미 : 복례復禮의 활동 ... 421
5. 결론 ... 423
3. 모순과 조화의 사상으로서 복례復禮[兩端異端解] ... 429
1. '단端'자의 해석 ... 430
1. 사물이 생겨나는 모양(山)과 뿌리(而)의 의미 : '단端'자가 갖는 본말本末의 의미 ... 430
2. 근원根源의 의미 ... 433
3. 기하학적 점點의 의미 ... 434
4. 소결론 ... 434
2. '양단兩端'의 해석 ... 435
1. '양兩'자의 의미 : 사물 내부의 대적하는 모순 요소 ... 436
2. '양兩'자의 동의어들 : 이貳·이二·의疑 ... 440
3. '양단兩端'의 의미 : 상호 모순·상호 저촉·상호 견제 ... 441
4. 중국 철학사에서 변증법적 사유의 예 ... 444
3. '이단異端'의 분석 ... 449
1. 기존의 이단 해석 : 제자諸子·잡서雜書·잘못된 학설·불온 사상 ... 449
2. 이단은 양단가 동의어이다 ... 453
4. 『논어』에 보존된 인식론 자료와 공구의 인식론에 대한 평가 ... 457
1. 사묵의 변증법적 사유와 『논어』에 나타난 소인 학파의 인식 방법 ... 457
2. 공구의 인식론에 대한 평가 ... 460
'양단兩端'과 '고기양단叩其兩端'의 차이 ... 461
'이단異端'과 '공호이단攻乎異端'의 차이 ... 462
『논어』에 나타난 조화·절충의 정신과 복례의 관련성 ... 465
5. 결론 ... 468
4. 인식론의 발전 과정과 그 영향[說知探源] ... 470
1. '說'자에 대한 곡해와 『논어』에 쓰인 '說'자의 의미 변화 과정 ... 471
1. '說'자에 대한 다양한 곡해 사례 : 호명옥胡鳴玉의 입장을 중심으로 ... 471
2. 『논어』에 쓰인 '說'자의 의미 변화 과정 ... 472
원시적인 의미인 '말하다'(言說)에서 이성적인 인식의 동사 '해解'의 의미로 ... 472
동사 '해解'의 의미에서 명사 '해解'의 의미로 ... 474
이성적 의미의 '해解'에서 정감적 의미의 '심열성복 心悅誠服'으로 ... 474
2. 공구의 논리학과 인식론 : 『논어』에서 '해解'자로 해석되는 '說'자의 풀이 ... 477
1. 「옹야」 28의 '子路不說'은 '자로불설'인가 '자로불열'인가 ... 478
이 장에 대한 기존의 학자들의 의심 ... 478
나의 견해 : 공구와 자로·염유의 정치적 입장 차이 ... 481
2. 「양화」 5의 '子路不說'은 '자로불설'인가 '자로불열'인가 ... 483
3. 「옹야」 12이 '非不說子之道'는 '비불설자지도'인가 '비불열자지도'인가 ... 484
4. 「선진」 4의 '無所不說' '무소불설'인가 '무소불열'인가 ... 485
5. 「자로」 25의 '說之不以其道'는 '설지불이기도'인가 '열지부이기도'인가 ... 486
모기령毛寄齡이 해석 ... 487
나의 해석 : 여섯 개의 '說'자는 똑같이 해석될 수 없다 ... 488
해解를 뜻하는 '說자'는 세說와 통용되지만 열悅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 489
6. 「학이1」의 '不亦說乎'는 '불역설호'인가 '불역열호'인가 ... 490
7. 소결론 ... 496
3. '해解'의 의미가 다른 학파에 끼친 영향 ... 498
1. '해설解說'의 '說'자는 '유세遊說' 또는 '변설辯說'의 기원이다 ... 498
2. '유세遊說'는 정치 논쟁의 분석 방법으로, '변설辯說'은 사상 논쟁상의 분석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 499
3. '說'은 사물이 시원·원인 또는 학설 이론 체계라는 의미로 발전하였다 ... 500
4. '說'은 인식의 뜻으로, '不說'은 부지·무인식·무이해의 뜻으로 발전하였다 ... 502
5. 묵적·맹가·장주·순황 등은 '說'을 인식론의 범주로 발전시켰다 ... 503
4. 묵적의 '說知'설 ... 503
5. 윤리 결정주의 : 논리학과 인식론의 윤리적 종속[崇仁惡녕解] ... 507
1. 『논어』에서 '인仁'과 '녕녕'의 의미 분기 ... 508
2. '녕녕'자의 다양한 의미 갈래 : 좋은 의미·나쁜 의미 및 혼용 사례 ... 509
3. 공구의 '녕녕'자에 대한 정의와 '영인영人' 비판 ... 511
1. '구급口給'에 대한 의미 분석 ... 512
2. '녕녕'자의 어원 : 편녕便녕의 편便, 곧 변녕辯녕 ... 512
3. '녕녕'은 변론 재주로서 『논어』의 교언巧言·이구利口·교알絞알과 동의어이다 ... 517
4. 영인영人을 부정하는 이유Ⅰ : 국가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감을 저해한다 ... 520
5. 영인영人을 부정하는 이유Ⅱ : 국가 행정 명령에 이의를 제기한다 ... 522
6. 영인영人에 대한 공구와 자로의 정치적 입장 차이 ... 524
7. 완원의 『석녕釋녕』에 대한 긍정과 부정 ... 527
완원의 입장에 대한 긍정 ... 527
완원의 입장에 대한 부정 ... 528
8. 소결론 ... 531
4. 윤리 결정주의 ... 532
1. 윤리 결정주의와 덕치·극기 복례 ... 534
2. 윤리·정치에 논리가 종속된다 ... 535
5. 『논어』의 언言(논리 명제)과 인仁(유비 추리) ... 536
1. 판단과 명제의 수립 문제 ... 537
2. 언言(논리 명제)의 덕德에 대한 종속성 ... 539
3. 영인영人을 소인과 일치시키는 사상의 방법 ... 544
4. '능근취비 能近取譬'의 유비 추리 ... 547
6. 결론 ... 550
6. '극기복례위인'의 새 해석 : 인仁의 예禮로의 종속[仁禮解故] ... 551
1. '극기복례위인克己復禮爲仁'에 대한 새 해석과 문제 제기 ... 551
1. '극기복례위인'에 대한 새로운 해석 ... 551
2. 문제의 제기 ... 553
2. '극克'·'기己'의 해석 ... 554
1. '극克'은 '승勝'이 아니라 '능能'의 뜻이다 ... 554
2. '기己'는 '사私'가 아니라 '위인爲仁'의 행위 주체를 가리킨다 ... 557
'기己'의 개념의 분화 과정 ... 557
『논어』에 쓰인 '기己' 개념의 분석 ... 558
'기己'는 '거기去己'가 아니라 '유기由己'와 같이 '위인爲仁'의 주체이다 ... 558
3. '극기克己'의 해석 ... 562
극기克己는 유기由己·솔기率己와 동의어이다 ... 562
극기克己에 대한 오해와 왜곡의 과정 : 양웅揚雄·유현劉炫·형병邢昺·정이程이·주희 朱熹 ... 562
성리학적 해석에 대한 초순焦循·모기령·완원阮元·능정감凌廷堪의 반론 ... 565
성리학적 해석에 대한 안원顔元의 반론 ... 568
성리학적 해석에 대한 대진戴震의 반론 ... 570
풍우란의 입장에 대한 나의 반론 ... 571
3. '복復'과 '예禮'의 해석 ... 574
1. '복復'은 본성을 회복한다는 뜻이 아니라 서주의 제도를 회복하자는 뜻이다 ... 574
2. '예禮'는 서주의 노예 제도를 의미한다 ... 576
예가 '천리지절문天理之節文'이라는 해석에 대한 능정감과 완원의 반론 ... 576
'신복례新復禮'주의에 대한 능정감과 완원의 비판과 예의 정의 ... 578
춘추 시대 예에 대한 입장의 분기와 공구의 '복례'가 갖는 시대사적 의미 ... 579
4. '인仁'의 해석 ... 583
1. 인仁은 '심지덕心之德'이 아니라 인人과 이二의 합성어이다 ... 583
2. 인仁은 춘추 시대 새로운 인간 관계의 반영이다 ... 584
3. 인仁과 예禮의 관계 : 예가 일차적이고 인은 부차적이다 ... 585
예禮는 일차적이고 인仁은 오히려 부차적이다 ... 585
능정감의 입장에 대한 긍정과 부정 ... 587
공구의 '관중은 예는 모르지만 인하다'는 평가에 대한 반론과 재반론 ... 588
'관중이 인하다'는 공구의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 ... 593
필부필부의 양諒으로 관중의 모든 행위를 평가할 수 없다 ... 598
공구의 관중 평가에 대한 반론 ... 600
4. 풍우란의 인人·인仁 해석에 나타난 초역사적인 관점 비판 ... 601
방법론적인 입장 : 인간의 본지은 당대 사회 관계의 총화이다 ... 601
역사적인 사실 : 『논어』의 다양한 인人 개념은 당대 사회 모순의 반영이다 ... 602
공구의 인仁 사상은 추상적·보편적 사상으로 해석될 수 없다 ... 605
5. 결론 : '극기복례위인'의 전체적 해석과 복례 사상의 한계 ... 607
제3부 공자 학파의 차이[孔門異同]
1. 선배 제자들의 차이에 대한 고찰[先進異同考] ... 613
1. 안연과 자공 ... 615
2. 재아 ... 628
3. 민손과 염구 ... 639
4. 자로 ... 653
2. 후배 제자들이 차이에 대한 고찰[後進異同考] ... 676
1. 자유 ... 676
2. 자하 ... 687
3. 자장 ... 700
4. 증삼 ... 716
5. 유약 ... 731
6. 번지 ... 744
후기 ... 758
참고 문헌 ... 76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