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Ⅰ. 단군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1. 머리말 ... 9
2. 단군신화의 본문 ... 10
3. 선행 연구 개관 ... 13
4. 典據 및 고조선의 민족과 영토 ... 18
5. 天符印 3개와 청동의기들 ... 21
6. 太伯山頂 神市 ... 27
7. '熊虎同穴'의 토테미즘 논의 ... 32
8. 단군신화 전승의 역사 ...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Ⅰ. 단군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1. 머리말 ... 9
2. 단군신화의 본문 ... 10
3. 선행 연구 개관 ... 13
4. 典據 및 고조선의 민족과 영토 ... 18
5. 天符印 3개와 청동의기들 ... 21
6. 太伯山頂 神市 ... 27
7. '熊虎同穴'의 토테미즘 논의 ... 32
8. 단군신화 전승의 역사 ... 36
Ⅱ. 고주몽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1. 머리말 ... 43
2. 주몽신앙의 변천사 ... 44
3. 고주몽신화의 기록, 전승의 변천 ... 64
4. 맺는말 ... 88
Ⅲ. 김알지신화와 영남지방의 민간신앙
1. 머리말 ... 91
2. 동제의 실제 ... 92
3. 시조단지 신앙의 실제 ... 98
4. 김알지신화의 해석 ... 100
5. 맺는말 ... 113
골맥이 동제신의 추가자료 ... 114
Ⅳ. 제주도 당신신화의 구조와 의미
1. 머리말 ... 119
2. 던데스의 북미인디언 설화 형태론 ... 121
3. 당신본풀이의 주요 구성요소들 ... 122
4. 주요 구성요소들의 연결 구조 ... 128
5. 당신본풀이의 역사성과 3성시조신화 ... 135
6. 주요 구성요소들과 구조의 의미 ... 138
7. 맺는말 ... 142
당신본풀이 자료 ... 146
Ⅴ. 구전신화의 문헌신화화 과정
1. 머리말 ... 161
2. 광양당굿과 3성시조 ... 162
3. 당신본풀이의 구조와 3성신화의 문헌신화화 ... 169
4. 기타 문헌신화들의 경우 ... 173
5. 맺는말 ... 178
Ⅵ. 3성신화의 형성과 문헌 정착과정
1. 머리말 ... 181
2. 3성신화의 형성과 전승 ... 181
3. 문헌상의 정착과정 ... 184
4. 명칭 문제 ... 190
5. 맺는말 ... 195
Ⅶ. 처용설화의 고찰
1. 머리말 ... 197
2. 벽사가면의 인격신화 ... 197
3. 처용설화의 형성과 변화과정 ... 202
4. 맺는말 ... 209
Ⅷ. 제주도 무속신화 : 본풀이 전승의 현장 연구
1. 머리말 ... 213
2. 본풀이의 상투적 표현과 문체론 ... 214
3. 본풀이의 서사 법칙 ... 223
4. 본풀이의 구성 ... 231
5. 심방과 전승의 현장 ... 235
6. 맺는말 ... 242
Ⅸ. 화청의 문화사적 연구
1. 머리말 ... 245
2. 선행 연구들의 검토 ... 246
3. 한·중·일 동계 불교가요의 비교 검토 ... 256
4. 화청과 한국문학사 ... 265
5. 맺는말 ... 277
Ⅹ. 한국의 민속종교미술
1. 머리말 ... 279
2. 고대의 민족종교미술 ... 280
3. 현대의 민속종교미술 ... 297
4. 유·불·도교의 종교미술 개관 ... 307
5. 맺는말 ... 310
참고문헌 ... 315
찾아보기 ... 32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