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自序 ... i
제1장 韓國思想의 硏究方法論 ... 1
1. 서론 ... 1
2. 기존연구의 경향성 ... 4
3. 연구의 미래적 지향 ... 16
4. 연구방법론의 모색 ... 18
1) 분석법과 종합법 ... 18
2) 연역법과 귀납법 ... 19
3) 논리적 방법과 실제적 방법 ... 20
4) 가설법과 검증법 ... 21
5....
더보기
목차 전체
自序 ... i
제1장 韓國思想의 硏究方法論 ... 1
1. 서론 ... 1
2. 기존연구의 경향성 ... 4
3. 연구의 미래적 지향 ... 16
4. 연구방법론의 모색 ... 18
1) 분석법과 종합법 ... 18
2) 연역법과 귀납법 ... 19
3) 논리적 방법과 실제적 방법 ... 20
4) 가설법과 검증법 ... 21
5. 결론 ... 22
제2장 靜庵 趙光祖의 至治主義 哲學 ... 24
1. 서론 ... 24
2 학문적 연원과 그 推移 ... 28
1) 학문적 연원 ... 28
2) 학문적 특성 ... 34
3) 학문실천의 근본원리 ... 39
3. 道學思想과 至治主義의 이념 ... 49
1) 道學의 의미부여 ... 49
2) 用心과 戒心의 修爲論 ... 57
3) 至治의 구현이념 ... 66
(1) 靜庵의 포부와 이상실현의 의지 ... 68
(2) 至治의 의의와 그 구현이념 ... 71
4. 결론 ... 73
제3장 休庵 白仁桀의 道學思想과 經世論 ... 82
1. 서론 ... 82
2. 宦路와 현실인식 ... 86
3. 휴암의 학문경향 ... 91
4. 道學의 학맥과 師承關係 ... 100
5. 도학정치의 원리와 방법 ... 113
6. 왕도정치의 具體案 ... 121
7. 至治主義의 성과 ... 128
8. 결론 ... 134
제4장 南冥 曺植의 理氣論 辨正-一齋 李恒과 관련하여- ... 140
1. 서론 ... 140
2. 南冥과 一齋의 학문적 경향 ... 144
3. 理氣先後論의 유형분석 ... 151
4. 理氣關係論의 다양성 ... 155
1) 道器論과 理氣-物的 사고 ... 155
2) 理氣一物, 一體說 釋義 ... 158
3) 理氣의 渾淪無間說 ... 166
5. 一齋와 南冥의 理氣論 변석 ... 168
1) 一齋의 理氣一物, 一體說 ... 168
2) 南冥의 理氣一物的 理氣論 ... 177
6. 결론 ... 183
제5장 秋巒 鄭之雲의 思想的 位置 ... 190
1. 서론 ... 190
2. 『天命圖說』의 내용과 문헌 고찰 ... 191
3. 『天命圖說』의 내용과 정정의 한계 ... 199
1) 天人合一과 理師氣卒 ... 199
2) 도판의 해설 ... 201
3) 心性情意와 存養省察 ... 203
4) 수정의 한계 ... 205
4. 결론 ... 209
제6장 高峰 奇大升의 經學思想-『論思錄』을 중심으로- ... 213
1. 서론 ... 213
2. 학문적 發端 ... 215
3. 『論思錄』의 성립과 내용 ... 222
4. 『小學』의 중시와 교화적 기능 ... 230
5. 『大學』의 解釋體系 용어의 해설 ... 235
6. 『論語』의 강론과 주석성향 ... 243
7. 『禮記』와 禮의 강조 ... 249
8. 결론 ... 250
제7장 牛溪 咸渾의 理氣一發說 ... 255
1. 서론 ... 255
2. 왕복서한의 내용분석 ... 259
1) 제1서한: 退說의 수용과 변척 ... 259
2) 제2서한: 退高兩說의 考評 ... 267
3) 제3답서: 未發時의 善惡여부와 心性情圖 ... 273
4) 제4서한: 氣發, 互發의 비판 ... 276
5) 제5서한: 氣發理乘一途說의 비판 ... 287
6) 제6서한: 理氣一發說의 확정 ... 294
3. 결론 ... 303
제8장 己亥禮訟의 經學的 辨析 ... 309
1. 서론 ... 309
2. 禮設發端의 註釋上의 원인 ... 310
3. 眉수의 妻妾論과 다산의 평설 ... 313
4. 眉수의 再疏에 대한 변론 ... 316
5. 允庵의 伯仲論에 대한 考評 ... 317
6. 眉수의 三疏에 대한 변석 ... 319
7. 결론 ... 324
제9장 「父爲長子」 주석 및 그 재해석 ... 326
1. 서론 ... 326
2. 『儀禮』「喪服」의 경전과 주소 ... 327
1) 鄭玄과 賈公彦의 註疏와 재해석 ... 327
2) 用語 사용의 문제 ... 337
3. 결론 ... 339
제10장 실학의 연구방법과 그 성과 및 전망 ... 341
1. 서론 ... 341
2. 한국사상의 正體性 ... 346
3. 전통적 한국사상의 연구방법론 ... 358
1) 분류학적 방법론 ... 360
2) 구체적 방법론 ... 362
4. 실학연구의 반성적 고찰 ... 367
5. 실학의 구체적 연구방법 ... 373
1) 훈고적 연구방법 ... 382
2) 실리적 연구방법 ... 384
3) 간죽적 연구방법 ... 386
4) 본말적 연구방법 ... 387
6. 실학연구의 성과와 전망 ... 389
7. 결론 ... 393
제11장 磻溪 柳馨遠의 理氣, 心性論 ... 402
1. 서론 ... 402
2. 이기론에 대한 해석 경향 ... 403
1) 주리론적 경향 ... 403
2) 주기론적 경향 ... 403
3) 경험론적 경향 ... 404
3. 반계의 선유비판과 주기론적 경향 ... 406
1) 理의 개념규정 ... 406
2) 先儒의 이기론 비판 ... 407
3) 실학적 주기론의 구축 ... 411
4. 인심도심설의 依樣과 創新的 해석 ... 417
5. 결론 ... 428
제12장 茶山 丁若鏞의 學問과 思想 ... 434
1. 서론 ... 434
2. 생애와 저술 ... 437
3. 다산의 현실인식과 구제방안 ... 448
4. 性理學의 실학적 轉回 ... 449
5. 실학파의 형성과 전개과정 ... 451
6. 茶山學과 그 학문사적 위치 ... 454
7. 다산학의 내부구조 ... 457
8. 다산의 숨결 ... 463
9. 결론 ... 471
제13장 『孟子要義』의 實學的 註釋方法論 ... 475
1. 서론 ... 475
2. 內容構成 체계와 解釋方法의 모색 ... 479
1) 내용체계 ... 479
2) 해석방법 ... 482
3. 性命哲學 분석을 통한 인간관 해명 ... 484
1) 天人의 문제 ... 484
2) 性에 관한 실천적 해석 ... 487
3) 윤리적 인간의 해명 ... 489
4) 行事의 윤리 ... 491
4. 修養方案에 대한 해석방법 ... 493
1) 存養의 방법 ... 496
2) 浩然之氣와 知言 ... 498
3) 虞舜의 孝와 문제점 ... 500
5. 王道政治의 具體的 方法論 ... 500
1) 왕도정치의 기초 ... 501
2) 토지제도의 재고 ... 505
3) 조세제도의 합법성 ... 508
6. 결론 ... 510
제14장 華西 李恒老의 哲學思想 ... 510
1. 서론 ... 512
2. 생애와 학문적 경향 ... 522
3. 학문의 성숙과 저술 ... 528
4. 태극론 ... 530
5. 이기론 ... 534
6. 심성론 ... 536
7. 인심도심설 ... 538
8. 이단론 ... 540
9. 위정척사론 ... 544
10. 결론 ... 547
제15장 南道의 義理思想과 儒學的 思考 ... 547
1. 서론 ... 549
2. 의리의 경전적 의의 ... 552
3. 선비의 冀北 南道의 의리사상 ... 564
4. 擧義와 의병정신의 실천 ... 571
5. 결론 ... 579
제16장 儒學과 未來(21世紀) 新興工業國家의 展望 ... 579
1. 서론 ... 579
2. 경제주체와 환경의 지각변동 ... 582
1) NICs의 성립 ... 582
2) NICs의 특성 ... 583
3. 新儒學과 NICs의 開發志向的 성장메커니즘 ... 588
1) 동아시아의 급속한 경제성장 ... 588
2) 경제성장의 직접적 요인 ... 591
3) 경제성장의 간접적, 구조적 요인 ... 593
4. 유교문화와 경제성장 ... 595
1) 유교경제사상과 도덕법칙 ... 595
2) 한국의 경제성장과 유교윤리 ... 599
5. 결론: 21세기 아시아 新興工業國의 전망 ... 6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