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근대 문학의 주체 개념 비판 - 김남천을 중심으로
Ⅰ. 서론 ... 15
1. 카프 해산의 의의와 김남천의 위치 ... 15
2. 주체의 해체와 마르크스주의 비판 ... 25
Ⅱ. 마르크스주의 문학이론의 절대적 타자성 비판 ... 35
1. 프로문학의 전개과정에 나타난 문학이념의 권력화 ... 35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근대 문학의 주체 개념 비판 - 김남천을 중심으로
Ⅰ. 서론 ... 15
1. 카프 해산의 의의와 김남천의 위치 ... 15
2. 주체의 해체와 마르크스주의 비판 ... 25
Ⅱ. 마르크스주의 문학이론의 절대적 타자성 비판 ... 35
1. 프로문학의 전개과정에 나타난 문학이념의 권력화 ... 35
2. 물논쟁을 통한 카프의 문학이념 비판 ... 51
Ⅲ. 새로운 주체의 정립을 위한 모색 ... 69
1. 근대적 주체의 극복을 위한 창작방법론 ... 69
1) 주체 해체의 고발문학론 ... 69
2) 새로운 주체와 현실의 교섭 ... 78
3) 새로운 주체의 의미와 장편소설의 이론 ... 86
2. 새로운 주체 개념의 소설적 형상화 ... 100
1) 주체 해체의 작품 세계 ... 100
2) 해로운 주체로서의 소년 주인공과 생활의 세계 ... 108
3) 장편소설을 통한 새로운 주체의 형상화 ... 118
Ⅳ. 해방공간과 문학이념의 재절대화 ... 131
1. 재절대화된 문학이념의 이론적 구조 ... 131
2. 작품을 통한 재절대화된 문학이념의 형상화 ... 142
Ⅴ. 결론 ... 159
참고문헌 ... 163
제2부 근대 리얼리즘 소설의 전개양상
1930년대 현실주의 장편소설 연구
1. 서론 ... 171
2. 주관성의 강조로 인한 현실의 왜곡 ... 176
3. 주체의 상실과 현실의 현상적 반영 ... 183
4. 주체의 정립과 현실의 총체적 형상화 ... 188
5. 현실주의 장편소설의 미적 특질 ... 194
노동동맹의 성과와 한계 - 「고향」론
1. 「고향」 연구의 문제점 ... 201
2. 농민층의 계층분해와 근대적 노동계급의 발생 ... 203
3. 노동자의 자기각성과 노농동맹의 사상 ... 207
4. 맺음말 ... 214
북한문학에 나타난 민족해방투쟁의 형상화와 문제점 - 「두만강」론
1. 소설에서의 현실과 작가 ... 217
2. 지주-소작인 대립구조의 직접성 ... 220
3. 친일과 반일의 갈등 및 혁명적 무장투쟁 ... 224
4. 문학의 교육적 측면 ... 229
5. 현실주의를 위하여 ... 233
현실주의와 주관주의의 갈등 - 한설야론
1. 관념과 현실의 통일 ... 237
2. 「과도기」적 전통의 회복을 위한 노력 ... 243
3. 자의식의 회복과 그 방향성 ... 248
4. 일상생활에의 소시민적 복귀 ... 251
1930년대 적색 농조운동과 낙관주의적 비극 - 「설봉산」론
1. 머리말 ... 257
2. 대중 동원책으로서 씨름의 현실성 ... 259
3. 러시아의 문학작품과 혁명운동이 끼친 영향 ... 261
4. 낙관주의적 비극의 미학 ... 264
5. 맺음말 ... 269
「대하」와 「동맥」에 나타난 개화사상과 개화풍경
1. 소설의 위기와 가족사 연대기 소설의 등장 ... 271
2. 과도기로서의 개화기와 그 풍경 ... 277
3. 사상적 갈등을 통해 본 신세대의 진취성 ... 282
4. 개화풍경과 진취성 묘사의 한계 ... 286
5. 결론 ... 288
사상 없는 시대의 왜곡된 인간 군상 - 「사랑의 수족관」론
1. 사상 전향과 김남천의 문학활동 ... 291
2. 소설의 통속성과 사상 없는 시대의 도래 ... 293
3. 식민지시대 말기의 타락한 인간군상 ... 297
4. 현대의 성격과 현대 젊은이의 고민 ... 300
5. 맺음말 ... 305
전향 문학과 근대의 극복
1. 전향의 새로운 인식 ... 307
2. 전향 문학에 대한 일본과 한국의 연구 동향 ... 308
3. 근대적 이성의 비판과 생활의 강조 ... 317
4. 전향 연구의 의의 ... 328
제3부 근대 리얼리즘 이론의 수준
'물' 논쟁의 미학적 연구
1. 서론 ... 333
2. 작자적 실천 : 경험주의와 사회학주의 비판 ... 335
3. 맑스주의 비평의 객관성과 그 임무 ... 339
4. 현실주의 이론의 확립 : 현실반영과 당파성 ... 342
5. 결론 ... 346
1930년대 후반의 한국문학과 반파시즘 인민전선 - 김두용론
1. 서론 ... 349
2. 문화옹호 국제작가회의와 문학에서의 반파시즘 인민전선 ... 351
3. 반파시즘 인민전선에 대한 자유주의적 관점과 그 비판 ... 357
4. 반파시즘 인민전선과 문학단체의 협조문제 ... 359
5. 결론 ... 365
주체 재건을 중심으로 한 임화의 리얼리즘론 비판
1. 서론 ... 367
2. 작가의 창작 실천과 리얼리즘 ... 369
3. 주체의 재건과 객관 현실 ... 371
4. 현실 인식과 세계관의 결합에 대한 이해 수준 ... 374
5. 결론 ... 376
1930년대 후반의 창작방법론에 미친 외국 이론의 영향
1. 서론 ... 379
2. 프리체의 사회학주의 문예이론 ... 380
3. 藏原惟人의 리얼리즘론 ... 384
4. 甘粕石介저 『藝術論』의 이론 구조 ... 390
5. 결론 ... 402
해방공간의 민족문학 논쟁과 카프의 문학이념
1. 민족문학 논쟁의 두 단계 ... 405
2. 인민성과 당파성 : 문건과 프로문맹의 논쟁 ... 408
3. 민족문학과 계급문학 : 문학가동맹과 북문예총의 논쟁 ... 411
4. 맺음말 ... 417
부록 : 한설야·이기영·김남천 연구논저 목록 ... 419
색인 ... 4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