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井間譜 大綱의 解釋 ... 1
1. 머리말 ... 1
2. 井間譜 ... 1
3. 井間 ... 3
4. 大綱 ... 3
5. 大綱과 장단의 關係 ... 12
6. 맺음말 ... 13
Ⅱ. 上靈山과 二數大葉의 리듬 ... 15
1. 上靈山의 리듬 ... 15
2. 二數大葉의 리듬 ... 18
3. 리듬의 意味 ... 23
Ⅲ. 『三竹琴譜...
더보기
목차 전체
Ⅰ. 井間譜 大綱의 解釋 ... 1
1. 머리말 ... 1
2. 井間譜 ... 1
3. 井間 ... 3
4. 大綱 ... 3
5. 大綱과 장단의 關係 ... 12
6. 맺음말 ... 13
Ⅱ. 上靈山과 二數大葉의 리듬 ... 15
1. 上靈山의 리듬 ... 15
2. 二數大葉의 리듬 ... 18
3. 리듬의 意味 ... 23
Ⅲ. 『三竹琴譜』 中大葉의 時價解析 ... 28
1. 各章 二頭의 始發點 ... 29
2. 一脚과 二頭의 둘째 三綱(小節)의 始發點 ... 30
3. 各章의 終止句(二頭 第2小節) ... 30
4. 各章 第一大綱(3井間)에 들어갈 音標 ... 31
5. 各章 第三大綱에 들어갈 音標 ... 33
Ⅳ. 長短의 槪念 ... 51
1. 머리말 ... 51
2. 장단이란 用語의 模糊性 ... 51
3. 장단의 各種解析의 整理 ... 52
4. 拍子(Meter)의 種類 ... 53
5. 拍子(Meter)의 集合體로서의 장단 ... 55
6. 結論 ... 67
Ⅴ. 女唱 羽調 二數大葉의 旋律分析 ... 71
1. 머리말 ... 71
2. 二數大葉의 構造 ... 71
3. 二數大葉의 旋律分析 ... 73
4. 맺음말 ... 81
Ⅵ. 韓國傳統音樂의 形成問題 ... 86
1. 曲의 끝과 終止形의 不一致 ... 86
2. 歌詞와 音樂의 章 區分의 不一致 ... 87
3. 連續 演奏에 나오는 돌장(回長)의 先行曲과 後續曲 ... 88
Ⅶ. 小歌曲의 形式 ... 91
1. 머리말 ... 91
2. 민요 ... 92
3. 판소리 ... 106
4. 맺음말 ... 109
Ⅷ. 致和平과 眞勺 ... 112
1. 머리말 ... 112
2. 致和平 首章과 眞勺 前腔·附葉 ... 112
3. 致和平의 卒章과 眞勺의 二葉以下 ... 115
4. 致和平 2章 前後句와 眞勺 中腔·後腔·附葉 ... 119
5. 致和平 3章 前後句와 眞勺 大葉·附葉 ... 120
6. 致和平 4∼124章과 脚 ... 121
7. 맺음말 ... 124
Ⅸ. 高句麗音樂과 百濟音樂의 國際性 ... 134
1. 머리말 ... 134
2. 高麗樂 ... 134
3. 百濟樂 ... 142
4. 맺음말 ... 147
Ⅹ. 高麗時代의 音樂文化와 思想 ... 149
1. 머리말 ... 149
2. 圓丘·社稷·太廟의 祭儀와 그에 따르는 音樂 ... 149
3. 燃燈會와 그에 關聯된 音樂 ... 155
4. 八關會와 그에 關聯된 音樂 ... 161
5. 結論 ... 167
ⅩⅠ. 高麗史 樂志의 長巖과 장끼타령 ... 170
1. 長巖 ... 170
2. 판소리 (장끼타령) ... 171
3. (長巖)과 (장끼타령) ... 174
4. 結論 ... 175
ⅩⅡ. 「經國大典」取才項目 中의 唐樂과 鄕樂 ... 176
1. 머리말 ... 176
2. 唐樂項目과 鄕樂項目 共有의 14曲 ... 176
3. 唐樂과 鄕樂의 項目 共有의 14곡과 鄕唐交奏 ... 177
4. 唐樂 項目 特有의 26曲과 只奏唐樂 ... 182
5. 鄕唐交奏 ... 183
ⅩⅢ. 正樂의 槪念 ... 187
ⅩⅣ. 現存 거문고譜의 年代考 ... 193
1. 現存 거문고譜 40篇 ... 193
2. 第一群의 거문고譜 ... 196
3. 第二群의 거문고譜 ... 201
4. 第三群의 거문고譜 ... 208
5. 第1小群 ... 208
6. 第2小群 ... 209
7. 第3小群 ... 213
8. 第4小群 ... 214
9. 第5小群 ... 217
10. 맺음말 ... 220
ⅩⅤ. 韓國音樂史學과 韓國民俗音樂學의 方法과 課題 ... 223
ⅩⅥ. Sung Dynasty Music Preserved in Korea and China ... 231
1. Tz'u Music in Korea ... 233
2. Tz'$\breve{u}$ Music in China ... 236
3. Conclusion ... 248
ⅩⅦ. 音樂上으로 본 韓日關係 ... 260
1. 머리말 ... 260
2. 第一期 百濟文化의 日本 大移動 ... 261
3. 第二期 日本의 雅樂寮와 三國樂의 制度化 ... 264
4. 第三期 百濟樂과 百濟王 ... 266
5. 第四期 새로운 新羅樂 ... 271
6. 第五期 高麗樂의 優勢 ... 274
7. 맺음말 ... 279
ⅩⅧ. 催馬樂의 五拍子(고효시) ... 281
1. 머리말 ... 281
2. 催馬樂의 古樂譜 ... 282
3. 催馬樂의 所謂 그 原曲 ... 284
4. 催馬樂의 空拍子(소라뵤시)와 唐樂 ... 28 9
5. 催馬樂 五拍子의 두 가지 解釋 ... 295
6. 五拍子와 三度拍子의 關係 ... 302
7. 맺음말 ... 307
ⅩⅨ. 催馬樂(사이바라)의 原曲 ... 336
1. 머리말 ... 336
2. 催馬樂과 所謂 그 原曲 ... 337
3. 催馬樂의 五拍子(고효시) ... 341
4. 催馬樂의 五拍子와 三度拍子(산도뵤시)의 關係 ... 343
5. 催馬樂의 五拍子(소라뵤시) ... 344
6. 催馬樂의 語義 ... 346
7. 맺음말 ... 346
ⅩⅩ. 韓國傳統音樂의 美 ... 348
ⅩⅩⅠ. 나의 음악연구 생활 회고 ... 358
1. 미개지의 산 같은 문제들을 찾아서 ... 358
2. 연구 여정의 제1 여정표가 세워지기까지 ... 358
3. 제2의 旅程 ... 364
4. 정년퇴임까지의 제3여정 ... 367
5. 많은 산을 넘고 喜壽 ... 371
6. 여전히 바쁜 나날들 ... 376
7.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바쁜 심정 ... 37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