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출판에 즈음하여
제1장 好太王碑文字考 ... 1
1. 제1면 제2행 15번째 자, 聿 ... 3
2. 제1면 제2행 35번째 자, 제1면 제3행 2번째 자, 鼈 ... 4
3. 제1면 제3행 41번째 자, 履 ; 제1면 제4행 2번째 자, 부 ... 6
4. 제1면 제8행 23번째 자, 王 ... 8
5. 제1면 제9행 6번째 자, 倭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출판에 즈음하여
제1장 好太王碑文字考 ... 1
1. 제1면 제2행 15번째 자, 聿 ... 3
2. 제1면 제2행 35번째 자, 제1면 제3행 2번째 자, 鼈 ... 4
3. 제1면 제3행 41번째 자, 履 ; 제1면 제4행 2번째 자, 부 ... 6
4. 제1면 제8행 23번째 자, 王 ... 8
5. 제1면 제9행 6번째 자, 倭 ... 10
6. 제1면 제9행 13번째 자, 海 ... 10
7. 제1면 제10행 22번째 자, 閣 ... 16
8. 제1면 제11행 40∼41번째 자, □□ ... 17
9. 제2면 제3행 20번째 자, 殘 ... 18
10. 제2면 제4행 9번째 자, 主 ... 19
11. 제2면 제4행 25번째 자, 歸 ... 21
12. 제2면 제9행 30번째 자, 拔 ... 22
13. 제3면 제1행 27번째 자, 41번째 자, 辭, 潰 ... 23
14. 제3면 제2행 13번째 자, 寐 ... 25
15. 제3면 제3행 21∼24번째 자, 和通殘□ ... 26
16. 제3면 제3행 35∼36번째 자, 躬率 ... 27
17. 제3면 제5행 10번째 자, 확(穫) ... 28
18. 제3면 제6행 34번째 자, 駭 ... 29
19. 제3면 제7행 6번째 자, 處 ... 30
20. 제3면 제9행 1번째 자, 民 ... 31
21. 제4면 제1행 5번째 자, 七 ... 31
22. 제4면 제2행 34번째 자, 二 ... 33
23. 제4면 제2행 35번째 자, 看 ... 35
제2장 호태왕비문을 통하여 본 주몽왕의 출신과 그에 의한 고구려 건국연대 ... 37
1. 주몽의 인물과 그의 출신에 대하여 ... 37
2. 주몽에 의한 고구려의 건국연대 ... 51
3. 주몽건국 이전의 '고구려 소국'에 대하여 ... 58
제3장 고구려 산상왕의 존재 여부에 관한 문제 -양통방 선생과 상론함- ... 63
1. 호태왕비문에 기록된 '17세손' 문제에 관하여 ... 64
2. 『삼국지』「위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 ... 67
3. 고구려 왕조 세계(世系)에 관한 『삼국사기』의 기록은 정확하다 ... 72
4. 산상왕 그사람이 확실히 있었다 ... 75
《자료논문》 고구려에 산상왕 연우란 없었다 -『삼국사기』의 고구려 군주 세계에 관한 문제를 논함- / 양통방 ... 83
제4장 호태왕비문의 '영락(永樂)' 연호에 대하여 ... 93
제5장 호태왕비문 영락 5년의 비려에 대한 고증 ... 111
1. 비려의 성질에 대하여 ... 111
2. 비려의 위치에 대한 고증 ... 118
제6장 호태왕비문 영락 8년조의 정벌대상에 대하여 ... 131
1. 숙신, 백제를 정벌대상으로 보는 견해의 부당성 ... 131
2. 영락 8년의 정벌대상은 '동예' ... 137
제7장 호태왕비문 영락 17년조의 정벌대상에 대하여 ... 143
1. 후연이 정벌대상이었다는 견해에 대하여 ... 143
2. 영락 17년의 정벌대상은 백제와 왜이다 ... 153
제8장 호태왕비문의 '동부여'에 대하여 ... 161
1. 동부여에 대한 종래의 잘못된 견해를 비판한다 ... 161
2. 동부여에 대한 고증 ... 171
제9장 이른바 한반도 내의 왜지(倭地)설에 대하여 -후루다 선생과 토론함- ... 191
1. 호태왕비문의 '倭人滿基國境'에 대하여 ... 191
2. 『삼국지』동이전과 이른바 한반도 내의 왜지 문제 ... 201
《자료논문》호태왕비의 사료비판 -북한과 중국의 학자에게 물음- / 후루다다께히꼬 ... 211
제10장 후루다 선생의 논문 「왜지의 사료비판」을 읽고서 ... 241
1. 이른바 '직접법의 문체'에 대하여 ... 242
2. 이른바 '我', '吾'의 용자법(用字法)에 대하여 ... 245
3. 이른바 '倭人滿(倭)國境, 潰破城池'에 대하여 ... 249
4. '倭人在帶方東南大海之中'에 대하여 ... 255
5. '韓在帶方之南 東西以海爲限 南與倭接'에 대하여 ... 258
6. 이른바 '지명비정(比定)을 근거로 한 왜지말살론'의 방법에 대하여 ... 262
7. 독로국의 위치 고증에서 제기되는 이른바 세 가지 필수조건에 대하여 ... 265
8. 이른바 '천 리의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다는 문제에 대하여 ... 270
9. 구야한국이 왜에 소속되어양 한다는 문제에 대하여 ... 275
《자료논문》 왜지의 사료비판 -중국 연변대학 박진석시의 비판논문에 대답함- / 후루다다께히꼬 ... 283
제11장 호태왕릉고 ... 327
1. 태왕릉을 호태왕의 능묘로 보는 견해에 대하여 ... 327
2. 호태왕릉과 장군묘의 관계 ... 333
3. 태왕릉의 묘주에 대하여 ... 340
제12장 호태왕비문 가운데의 수묘인연호의 신분에 대하여 ... 343
1. 수묘인연호의 신분을 노예로 보는 견해에 대하여 ... 343
2. 수묘인연호의 전신 - 민(民), 가(賈), 인(人)을 분석 ... 348
3. 수묘인연호의 신분에 대하여 ... 356
부록 1. 호태왕비문에 대한 일부 탁본과 사진 ... 363
1. 사까와(酒勾景信)쌍구분 ... 365
2. 미즈다니(水谷悌二郞)구장본 ... 367
3. 동경대학 문화연구소장본 ... 379
4. 서울 국립중앙도서관장본 ... 387
5. 『조선유적유물도감』탁본 ... 389
6. 집안시박물관 진열실 탁본 ... 397
7. 장명선(張明善) 탁본 ... 399
8. 1976년에 임지덕(林至德)이 찍은 사진(1) ... 407
9. 1976년에 임지덕(林至德)이 찍은 사진(2) ... 413
10. 주운대(周云臺)탁본 ... 415
부록 2. 호태왕비문에 대한 일부 학자들의 해석문 ... 417
1. 三宅米吉의 해석문 ... 419
2. 호태왕비문에 대한 초균덕의 필기 ... 421
3. 미즈다니(水谷悌二郞)의 해석문 ... 425
4. 박시형의 해석문(1) ... 427
5. 박시형의 해석문(2) ... 429
6. 왕건군의 해석문 ... 431
7. 이형구의 해석문 ... 435
8. 다께다(武田幸男)의 해석문 ... 437
9. 『조선유적유물도감』의 해석문 ... 439
10. 박진석의 해석문(1) ... 441
11. 박진석의 해석문(2) ... 44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