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연구요약 ... ⅰ
Ⅰ. 서론 ... 7
1. 연구의 필요성 ... 7
2. 연구목적 및 내용 ... 10
3. 연구방법 및 제한점 ... 11
가. 연구방법 ... 11
나. 연구의 제한점 ... 14
Ⅱ. 이혼의 경향과 결과 ... 15
1. 이혼의 경향 ... 15
가. 이혼이 추이 ... 15
나. 동거기간별 이혼율 ... 16...
더보기
목차 전체
연구요약 ... ⅰ
Ⅰ. 서론 ... 7
1. 연구의 필요성 ... 7
2. 연구목적 및 내용 ... 10
3. 연구방법 및 제한점 ... 11
가. 연구방법 ... 11
나. 연구의 제한점 ... 14
Ⅱ. 이혼의 경향과 결과 ... 15
1. 이혼의 경향 ... 15
가. 이혼이 추이 ... 15
나. 동거기간별 이혼율 ... 16
다. 재판이혼의 원인 ... 18
라. 이혼 연구의 동향 ... 20
2. 이혼으로 인한 제반문제 ... 22
가. 경제적 문제 : 재산분할권 ... 22
나. 자녀양육 ... 25
다. 심리적 충격 ... 27
라. 사고율/자살율 ... 32
3. 이혼 후 적응 ... 33
가. 이혼 후 적응의 개념 ... 33
나. 적응과 관련된 요인들 ... 35
다. 적응에 있어서 성 차이 ... 41
라. 이혼적응의 단계 ... 43
4.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 44
가. 심리적 어려움 ... 47
나. 부성 상실 ... 48
다. 모성 상실 ... 49
5. 이혼관련 판례 ... 51
가. 이혼당사자의 재산분할권 ... 51
나. 부모의 자녀 양육권 ... 55
다. 자녀의 복리 ... 59
Ⅲ. 이혼자의 상담요구와 사회적 지원체계 ... 65
1. 이혼자의 상담요구 ... 65
2. 법적 지원체계 ... 67
가. 가사조정위원회 ... 67
나. 대한 법률구조공단 ... 67
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 ... 68
3. 심리적 지원체계 ... 69
가. 한국가정법률상담연구소 교육원의 '기러기 교실' ... 69
나. 한국이혼자클럽 ... 70
다. 한국 남성의 전화 ... 72
라. 화해의 집(가칭) ... 72
4. 경제적 지원체계 : 공적 부조 ... 73
가. 현황 ... 73
나. 지원 ... 73
5. 자녀를 위한 지원체계 ... 74
Ⅳ. 사례조사 결과 분석 ... 75
1. 이혼자의 경험 ... 75
가. 경제적 어려움 ... 75
1) 여성의 어려움 ... 75
2) 남성의 경제적 어려움 ... 78
나. 심리적 갈등 ... 79
1) 여성 ... 80
가) 자아상실감 ... 80
나) 분노, 한탄 ... 81
다) 자녀와의 별거로 인한 외로움 ... 82
라) 외로움/비참 ... 82
2) 남성 ... 84
가) 심리적 고통 ... 84
나) 분노와 용서의 양가감정 ... 84
다) 생리적 어려움 ... 86
다. 자녀와의 관계 ... 87
1) 여성 ... 87
가) 직장과 자녀교육의 양립 어려움 ... 87
나) 자녀에 대한 그리움 ... 88
다) 자녀와의 갈등 ... 89
2) 남성 ... 91
가) 부모로서의 의무감 ... 91
나) 직장과 양육 병행의 어려움 ... 92
라. 재혼의 가능성 ... 92
1) 여성 ... 92
2) 남성 ... 93
마. 사회적 지원체계 이용 ... 94
1) 비공식 지원체계 ... 94
가) 여성 ... 95
나) 남성 ... 95
2) 공식 지원 체계 ... 96
바. 국가나 사회에 대한 바램 ... 97
1) 이혼에 대한 인식 개선 ... 97
2) 영구임대 주택 입구권 대상 확대 ... 97
3) 상담소, 교육소의 활성화 ... 98
4) 적응 프로그램의 활성화 ... 98
2. 이혼자녀의 경험 ... 99
가. 경제적 어려움 ... 99
나. 심리적 갈등 ... 100
다. 자녀가 보는 부모의 이혼 ... 101
라. 생활상 어려움 ... 102
마. 사회적 지원체계 ... 103
바. 사회나 국가에 대한 바램 ... 103
Ⅴ. 정책 제언 ... 105
1. 요약 및 결론 ... 105
2. 이혼의 예방을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 ... 107
가. 혼인 적령기 성인을 위한 혼인 준비교육 실시 ... 107
나. 가정상담소의 부부대화교육 활성화 ... 107
3. 대책방안 ... 109
가. 이혼에 대한 인식변화 ... 109
나. 법제도의 개선 ... 111
1) 세법 개정 ... 111
2) 이혼관련법 제도 개정 ... 111
가) 부상급부제도 인정 ... 112
나) 주거사용권 인정 ... 113
다) '자녀의 복리' 기준의 합리화 ... 113
다. 사회적 지원체계 전문화 ... 114
1) 법적 지원 ... 115
가) 가사조정위원회의 조정역할 강화 ... 115
나) 법률부조 기관의 활성화 ... 116
다) 변호사의 치료적 역할 인식 도모 ... 116
2) 심리적 지원 ... 117
가) 이혼 상담의 전문화 ... 117
나) 종교기관의 상담중요성 인식재고 ... 118
3) 경제적지원 : 공적 부조 확대실시 ... 119
4) 사회복지서비스 ... 119
가) 다양한 아동보육시설의 운영 ... 119
나) 가정봉사원제도 확대실시 ... 120
다) 재혼기회의 마련 ... 120
5) 자녀를 위한 지원 ... 120
가) 상담적 접근 ... 120
나) 교육적인 접근 ... 120
4.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121
참고문헌 ... 123
부록 ... 129
질문지 ... 14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