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 2
序章 어떻게 살 것인가 ... 18
1. 서구의 근대문명(近代文明)과 불교 ... 20
2. 불교사상과 신앙생활 ... 22
3. 관음신앙과 감응도교(感應道交) ... 26
명호(冥護)와 현익(顯益) ... 27
一. 관음신앙(觀音信仰)에 대하여 ... 29
1. 불교와 관음신앙(觀音信仰) ... 3...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 2
序章 어떻게 살 것인가 ... 18
1. 서구의 근대문명(近代文明)과 불교 ... 20
2. 불교사상과 신앙생활 ... 22
3. 관음신앙과 감응도교(感應道交) ... 26
명호(冥護)와 현익(顯益) ... 27
一. 관음신앙(觀音信仰)에 대하여 ... 29
1. 불교와 관음신앙(觀音信仰) ... 30
2. 관음보살의 이근원통장(耳根圓通章) ... 32
문(聞)·사(思)·수(修)의 삼마지(三摩地) ... 32
三十二응신(應身)의 시현 ... 33
십사무외공덕(十司無畏功德) ... 37
사부사의(四不思議)의 묘덕 ... 40
관세음의 수기(授記) ... 41
3. 관음보살의 기원(起源) ... 43
1. 관음기원의 제설(諸說) ... 43
2. 석가여래와의 일체관(一體觀) ... 44
3. 어원상(語源上)의 관찰 ... 46
4. 관음보살과 바라문교(婆羅門敎) ... 47
5. 보살도(菩薩道)의 구현 ... 50
4. 관음보살의 명호(名號) ... 51
1. 六관음·七관음 ... 53
천수천안(千手千眼)관음 ... 53
성(聖)관음 ... 53
마두(馬頭)관음 ... 54
십일면(十一面)관음 ... 54
준제(準提)관음 ... 55
여의륜(如意輪) ... 55
불공견색(不珙견索)관음 ... 56
2. 삼십삼관음(三十三觀音) ... 56
3. 십대이명(十大異名) ... 59
5. 관음본연경(觀音本緣經)의 설화(說話) ... 59
1. 장나장자(長那長者)의 연기 ... 60
장나(長那)와 마나사라 ... 60
장나의 재취(再娶) ... 65
계모의 비정(非情) ... 66
조리(早離)와 속리(速離) ... 69
장나의 귀가(歸家) ... 71
2. 조리의 도심(道心)과 장나의 발심(發心) ... 75
6. 관세음의 불격(佛格)과 대비원력(大悲願力) ... 77
1. 성도(成道)와 대비행(大悲行) ... 77
2. 십대홍원(十大弘願)과 육향(六向) ... 83
3. 관음보살의 십대본심(十大本心) ... 85
7. 관음보살의 상호(相好) ... 86
관음보살의 성별(性別) ... 86
영험 속의 관음신(觀音身) ... 88
관음신(觀音身)의 자재상(自在相) ... 90
二. 관세음의 자재무애(自在無碍) ... 91
1. 관음보살의 제국유행(諸國遊行) ... 92
관음 유행(遊行)과 그 영지(靈地) ... 92
불교의 동전(東前)과 관음유행 ... 96
2. 인도(印度)의 관음신앙 ... 97
1. 관음보살의 연기(緣起) ... 97
2. 선재동자(善財童子)의 관음 친견 ... 98
3. 十一면 관음신주경 ... 104
4. 계현(戒賢)의 관음영험 ... 107
3. 티베트(四藏)의 관음신앙 ... 109
1. 티베트불교의 교풍(校風) ... 109
2. 종가파(宗喀巴)와 정풍(正風) ... 110
3. 라마교(喇마敎)의 교의(敎義) ... 112
4. 티베트 및 몽고의 관음신앙 ... 115
4. 중국(中國)의 관음신앙 ... 117
1. 역경(譯經)과 관음신앙 ... 117
2. 중국의 관음연기(觀音緣起) ... 119
3. 관음신앙의 전파(傳播) ... 120
4. 중국불교의 건설기(建設期) ... 122
5. 양무제(梁武帝)의 불심(佛心) ... 124
6. 손경덕(孫敬德)과 구고관음경(救苦觀音經) ... 126
7. 천태지자(天台智者)의 관음요의(要義) ... 127
8. 백련사(白蓮社)와 염불(念佛) ... 127
9. 선정융합(禪淨融合)의 겸수(兼修) ... 130
10. 섬서(陝西)의 어람(魚籃)관음 ... 132
11. 보타산(補陀山) 불긍거관음원(不肯去觀音院) ... 134
원통전(圓通殿-普濟寺)의 관음신통 ... 136
12. 중국 관음신앙의 종맥(宗脈) ... 138
13. 태허(太虛)와 중국 근대불교(近代佛敎) ... 142
14. 보타산(補陀山)과 손문(孫文) ... 146
당(唐)·송(宋)시대의 관음상(觀音像) ... 146
관음 3대기념일(三大紀念日) ... 147
15. 공산통치와 불교의 시련(試練) ... 148
5. 일본(日本)의 관음신앙 ... 150
1. 백제(百濟)불교의 동전(東傳)과 일본 고대문화 ... 150
2. 일본불교와 성덕태자(聖德太子) ... 151
3. 관음보살의 시적(示跡) ... 155
4. 성관음종(聖觀音宗)과 천초(淺草)관음 ... 159
5. 백관음(百觀音)과 불교문화 ... 163
백관음(百觀音)의 성지(聖地) ... 163
三十三간당(間堂)과 천수천안(千手千眼)관음 ... 164
불교와 정신개혁(精神改革) ... 166
백제(百濟)관음의 화도(化度) ... 167
6. 한국(韓國)의 관음신앙 ... 169
1. 관음신앙의 유포(流布) ... 169
2. 중생사(衆生寺)의 대비(大悲)관음 ... 170
3. 동해 낙산(洛山)의 이대성(二大聖) ... 171
의상(義湘)의 성관음 친견 ... 171
백화도량발원문(白華道場發願文) ... 172
이대성(二大聖)의 연기 ... 175
4. 경흥(憬興)의 대소폭소(大笑暴笑) ... 176
십일면(十一面)의 가면무(假面舞) ... 176
5. 원효(元曉)와 보광산(寶光山-錦山) 보리암(菩리庵) ... 177
금산(金山)의 영기(靈氣)와 이성계(李成桂) ... 177
6. 회정(懷正)과 강화 보문사(普門寺) ... 179
석불(石佛)과 어부(漁夫) ... 179
송자(松子)관음 ... 180
나한성중(羅漢聖衆) ... 181
7. 관음보살의 원통시현(圓通示現) ... 181
구고구난(救苦救難)의 가피(加被) ... 183
三. 한국의 관음도량(觀音道場)과 그 영험 ... 185
1. 동해(東海)의 관음영장 ... 186
1. 호국대룡(護國大龍)의 원력(願力) ... 186
풍자극(諷刺劇) 속의 호국의식(護國意識) ... 186
2. 낙산(洛山)관음의 시현(示現) ... 188
3. 조신(調信)의 꿈 ... 190
1) 세규사(世逵寺)의 장사(裝舍) ... 190
2) 탐애(貪愛)의 마자(魔障) ... 191
3) 조신(調信)의 관음기도 ... 192
4) 소저9小姐)옳 결연(結緣) ... 194
5) 비운(悲運)의 행려(行旅) ... 196
6) 절애(絶崖)의 상황에서 ... 198
7) 관음보살의 명호(冥護) ... 201
4. 인과응보(因果應報)와 관음신력(觀音神力) ... 203
진도(珍島) 군수 이응(李應)의 선정(善政) ... 204
1) 이창해(李蒼海)의 해난(海難) ... 205
2) 지마도(志摩島) 도주(島主)가 되다 ... 209
3) 오씨(吳氏) 부인의 관음기도 ... 210
4) 형제(兄弟)의 해후(邂逅) ... 212
2. 남해(南海)의 관음영장 ... 214
1. 불교의 유연지(有緣地) ... 214
호국(護國)의 요충(要衝) ... 218
2. 임진왜란과 삼련(三蓮) 비구니 ... 219
1) 삼련(三蓮) 비구니의 수도(修道) ... 220
2) 뚜겅배의 출현(出現) ... 222
3) 이순신(李舜臣)과 삼련비구니 ... 223
4) 자운선녀(紫雲仙女)의 종군(從軍) ... 229
5) 자운선의(紫雲仙義) 장군의 무공(武功) ... 230
3. 서해(西海)의 관음영장 ... 233
1. 심판서(審判書)의 관음영이(觀音靈異) ... 235
2. 운중(雲中)관음과 우용택(禹龍澤)의 발심 ... 236
4. 명산대천(名山大川)과 관음영장 ... 240
1. 보덕굴(普德窟-金剛山)의 연기설화 ... 243
보덕각시의 화현(化現) ... 244
보덕화상(普德和尙)의 관음친견 ... 245
세 보살(文수·普賢·觀音)의 유행(遊行) ... 249
마하연(摩하衍)의 관음영이 ... 253
2. 오세암(五歲庵)의 관음연기 ... 257
설정(雪頂)의 관음기도 ... 262
오세도인(五歲道人)의 출현 ... 263
만해(萬海-韓龍雲)와 오세암 ... 266
3. 오대산(五臺山)과 오류성중(五類聖衆) ... 271
월정사(月精寺)와 상원사(上院寺) ... 274
오만진신(五萬眞身)과 두 왕자(寶川·孝明) ... 275
4. 용문산(龍門山-彌智山)의 관음현상(觀音現相) ... 279
세조(世祖)와 상원암(上院庵) ... 279
5. 관촉사(灌燭寺)의 관음석상(觀音石像) ... 282
은진(恩律) 관음상의 위용(偉容) ... 282
관음석상의 창건연기(創建緣紀) ... 284
만공(滿空)의 일할(一喝) ... 286
관음기도와 민족의 비원(悲願) ... 288
6. 지리산(智異山)의 불연(佛緣) ... 291
선도성모(仙挑聖母)와 그 영험 ... 292
지혜(知惠) 비구니와 관음영험 ... 294
7. 성덕산(聖德山―玉果)과 이대성녀(二大聖女) ... 301
홍장(洪莊)의 효심(孝心) ... 303
홍장의 정업(淨業)과 원력(願力) ... 307
성덕(聖德)과 관음사(觀音寺f) ... 309
8. 산천(山川)을 섬기는 마음 ... 312
1) 철신(天神)과 산천(山川)의 숭배 ... 312
2) 묘향산(妙香山)의 메아리 ... 315
3) 삼산오악(三山五岳)과 불국토(佛國土) ... 316
四. 보문시현과 염피관음력(念彼觀音力) ... 321
1. 관음보살의 광도중생(廣度衆生) ... 322
1. 관음보살의 대비대수고(大悲代受苦) ... 322
속명사(續命寺)와 조반(趙반) ... 322
2. 삼독(三毒)을 여의다 ... 326
진심(瞋心)을 다스린 반규(盤珪) ... 327
우치(愚癡)를 면한 점숭(占崇) ... 328
3. 관음보살의 신통유행(新通遊行) ... 329
삼업(三業)의 공덕 ... 329
어느 학병(學兵)의 구사일생(九死一生) ... 331
4. 인간고(人間苦)와 관음영이(觀音靈異) ... 336
사고(四苦)와 팔고(八苦) ... 336
원한의 「三八선」을 넘어 ... 339
5. 다중(多衆) 구제와 관음 위신력(威神力) ... 342
유방(乳房) 큰 하녀(河女) ... 343
천초관음(淺草觀音)과 대진재(大震災) ... 344
6.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와 관음영험 ... 346
1) 사막(沙漠)에서의 현장삼장(玄奬三藏) ... 347
2) 구도(求道)와 서원(誓願) ... 348
3) 청변(淸辯)의 관음친견 ... 349
4) 대상(隊商)과 어난(魚難) 구제 ... 350
7. 인생제난(人生諸難)과 관음묘지력 ... 351
복동(福童)과 화식(和植)의 면액(免厄) ... 353
해난(海難)과 관세음의 호귀(護歸) ... 356
정렴(正廉) 비구니의 타락금강산 ... 357
고모(姑母)와 혜명(慧明) 화상 ... 359
8. 관음보살의 신통력(神通力) ... 360
모련(妙蓮) 대사의 행적(行蹟) ... 362
천태산(天台山) 석교(石橋)와 통천탑(通天塔) ... 363
독룡화도(毒龍化度)와 신통(神通) ... 367
2. 해수(海水)관음과 이구양원(二求兩願) ... 370
1. 글 잘하는 석동자(石童子) ... 372
2. 몽수매혼(夢授媒婚) 이야기 ... 373
3. 관세음과 현신성불(現身成佛) ... 380
1. 이존(二尊)의 성불(成佛) 설화 ... 380
노힐부득(努힐夫得)과 달달박박(달달朴朴) ... 381
2. 욱면비(郁面婢)의 등천(登天) ... 384
五. 불교와 관음신앙 ... 387
1. 관음신앙과 대승불교(大乘佛敎) ... 388
1. 소승(小乘)과 대승(大乘) ... 388
대승불교와 관음 대비(大悲) ... 388
대승정신과 이타행(利他行) ... 389
2. 관음보살의 무외력(無畏力) ... 392
3. 한국불교의 대승적 전통 ... 392
2. 관음보살과 정토(淨土)신앙 ... 393
1. 삼위(三位) 일체관(一體觀) ... 393
2. 관음의 대비력(大悲力) ... 395
3. 내세(來世)주의와 현세(現世)주의 ... 396
4. 미타와 관음의 이신동체 ... 398
3. 관음신앙과 밀교(密敎) ... 399
1. 진언밀교(眞言密敎)의 성립 ... 399
2. 관음신앙의 올바른 자세 ... 401
4. 관음보살과 불교의전(佛敎儀典) ... 402
1. 법요재식(法要齎式)과 관음참법 ... 402
2. 이참(理懺)과 사참(事懺) ... 405
5. 관음보살에 대한 제경전(諸經典) ... 407
1. 현교부(顯敎部) ... 407
2. 밀교부(密敎部) ... 407
3. 제경전의 공덕 ... 409
六. 한국불교와 관음신앙 ... 417
1. 불교의 전래(傳來)와 홍포(弘布) ... 418
2. 한국불교의 대승적(大乘的) 포용 ... 422
1. 원효(元曉)와 화쟁(和爭) 정신 ... 423
2. 의상(義湘)의 국난(國難) 극복 ... 427
3. 자장(慈藏)의 호국(護國) 사상 ... 429
3. 관음신앙의 전포(傳布) ... 430
1. 향가(鄕歌)와 월명사(月明師)의 불력(佛力) ... 433
2. 맹아(盲兒)와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 435
4. 불교신앙의 유통(流通)과 그 맥락(脈洛) ... 437
1. 고려불교와 훈요십조(訓要十條) ... 440
2. 외유내불(外儒內佛) 속의 조선불교 ... 442
1) 이성계(李成桂)와 석왕사(釋王寺) ... 443
2) 흥천사(興天寺)의 연기 ... 445
3) 흥덕사(興德寺)와 교종(敎宗) ... 446
4) 원각사(圓覺寺―興福寺)와 조선불교의 시련 ... 447
3. 세조(世組)와 불교문화 ... 449
관음찬(觀音讚) ... 452
4. 만해(萬海)와 불교 대중화 ... 456
5. 불교신앙의 지향(志向) ... 459
발문(跋文) / 嚴性燮 ... 46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