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편 말[馬]의 유래
Ⅰ. 말의 源流 ... 3
Ⅱ. 아시아의 馬 ... 8
1. 中央아시아馬[西域馬] ... 8
1) 大宛國의 汗血馬[天馬·龍馬·神馬]와 목숙 ... 12
(1) 汗血馬 ... 12
(2) 거여목(목숙) ... 15
2) 烏孫國의 西極馬 ... 15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편 말[馬]의 유래
Ⅰ. 말의 源流 ... 3
Ⅱ. 아시아의 馬 ... 8
1. 中央아시아馬[西域馬] ... 8
1) 大宛國의 汗血馬[天馬·龍馬·神馬]와 목숙 ... 12
(1) 汗血馬 ... 12
(2) 거여목(목숙) ... 15
2) 烏孫國의 西極馬 ... 15
3) 吐火羅[大夏]의 汗血馬 ; 葉護 ... 16
4) 康居國의 善馬 ... 16
5) 大食國의 千里馬 ... 16
6) 기타 말의 명산지 ... 17
2. 蒙古馬 ... 19
1) 몽고마와 유목 ... 19
2) 騎馬民族으로의 성장 ... 21
3) 匈奴의 騎馬戰 ... 22
4) 蒙古馬의 전래 ... 26
3. 中國馬 ... 30
1) 中國馬의 起源 ... 30
2) 중국 馬産地와 품종 ... 32
3) 마정의 발달 ... 37
4. 南方馬 ... 43
Ⅲ. 한국말의 유래 ... 45
1. 선사시대의 馬跡 ... 45
2. 한국말의 유래와 계통 ... 48
1) 한국말의 유래 ... 48
2) 한국말의 계통 ... 53
3. 馬貝의 유래 ... 58
제2편 초기 국가시대의 마정
1. 中國正史 말 관계 기사의 검토 ... 63
1) 古朝鮮 ... 63
2) 夫餘 ... 65
3) 高句麗 ... 67
4) 東濊·沃沮 ... 68
5) 三韓 ... 69
2. 騎馬戰의 존재 문제 ... 71
3. 騎馬民族說의 문제 ... 75
제3편 고대의 마정
Ⅰ. 삼국시대의 騎馬戰 ... 81
1. 馬貝·武器·武貝의 구분과 출토 ... 81
1) 마구의 구분 ... 81
2) 마구의 출토 ... 84
3) 무기·무구의 구분과 출토 ... 86
(1) 공격용 무기 ... 86
(2) 방어용 무기 ... 92
2. 삼국시대의 기마전 ... 93
1) 기마전의 존재형태 ... 93
2) 실전에서의 기병운용 ... 95
(1) 고구려 ... 95
(2) 백제 ... 97
(3) 신라 ... 98
(4) 삼국간 기병운용의 특징 ... 100
3) 기마전과 그 모습 ... 102
Ⅱ. 고대의 마정과 그 운용 ... 106
1. 마정조직과 목장의 운영 ... 106
2. 驛制의 발달 ... 111
3. 마필의 국제적 교류와 馬種·馬料의 개량 ... 115
제4편 고려시대의 마정
Ⅰ. 마정조직과 그 운용 ... 123
1. 마정 조직 ... 124
1) 중앙 조직 ... 124
2) 지방 조직 ... 127
3) 마정에 관려한 특수 기관 ... 134
2. 마정 관리책 ... 135
3. 마정 중심의 외교 관계 ... 139
1) 초기의 대외관계 ... 139
2) 女眞과의 관계 ... 140
3) 蒙古와의 관계 ... 142
4) 明과의 간계 ... 149
4. 마정 중심의 제 경제 관계 ... 164
1) 馬價 문제 ... 164
2) 馬料 문제 ... 168
5. 마정의 제 문제 ... 170
Ⅱ. 典牧司 ... 173
1. 유래 ... 174
2. 관장 업무 ... 177
3. 조직 ... 178
4. 변천 ... 180
5. 典牧司의 치적 ... 184
Ⅲ. 尙乘局 ... 188
1. 유래 ... 189
2. 관장 업무 ... 194
3. 조직 ... 195
4. 변천 ... 199
1) 麗末 內乘과의 관계 ... 202
2) 鮮初의 內司僕寺와의 관계 ... 206
제5편 조선시대의 마정
Ⅰ. 馬政의 조직과 그 운용 ... 215
1 馬政의 조직 ... 216
1) 중앙 조직 ... 216
2) 지방 조직 ... 220
(1) 監牧官의 지위 ... 222
(2) 群頭·群副·牧子 ... 226
2. 목장의 발달과 실태 ... 230
1) 목장의 발달과 변천 ... 230
2) 목장의 실태 ... 234
3. 말의 需給문제[말의 이용도] ... 243
1) 국내 수요 ... 243
2) 중국[明]으로의 수출 ... 248
4. 馬價 관계 ... 257
1) 국내 마가 ... 257
2) 國際馬價 청산 관계 ... 259
(1) 明과의 관계 ... 259
(2) 女眞·倭와의 관계 ... 262
5. 마정관리책 ... 263
Ⅱ. 초기의 兼司僕 ... 278
1. 유래 ... 279
2. 임무 ... 290
3. 조직 ... 296
1) 기구 ... 296
2) 조직의 변천 ... 300
(1) 겸사복과 內乘의 직책 정리 ... 300
(2) 겸사복과 羽林衛 - 淸班 부대로 개편 ... 303
(3) 기구의 변천 ... 306
4. 임용제도 ... 308
5. 사회적 폐해 ... 319
Ⅲ. 牧子考 ... 321
1. 유래 ... 321
2. 신분 ... 324
3. 직책 ... 328
4. 牧子를 중심으로 한 제 문제 ... 333
Ⅳ. 牛馬盜賊 ... 339
1. 종류 ... 339
1) 白丁, 新白丁 ... 339
2) 去骨匠 ... 341
3) 窩主 ... 342
2. 刑政 ... 343
3. 형량문제 ... 347
제6편 목장의 발달
Ⅰ. 濟州島牧場 ... 359
1. 입지 조건 ... 359
2. 제주마의 내력 ... 365
3. 조선 이전의 제주도 목장 ... 376
1) 牧馬의 始源 ... 376
2) 고려시대의 마목장 ... 377
(1) 고려 전기의 목장 ... 377
(2) 元의 목장건설 ... 377
3) 明의 徵馬 요구 ... 381
4. 조선시대 濟州島 馬牧場의 발달 ... 384
1) 마정조직의 정비와 운영 ... 384
2) 목장의 발달과 실태 ... 393
(1) 國馬牧場의 실태 ... 393
(2) 私馬牧場[私屯場]의 실태 ... 401
(3) 牛牧場[牛屯場] ... 403
3) 목장 시설과 마필 수 ... 405
(1) 목장 시설과 放馬 모습 ... 405
(2) 마필 수 ... 406
4) 목장 관리책 ... 407
5. 제주도 목장의 경제 ... 409
1) 牧場田의 규모 ... 410
2) 馬草場과 飼料 문제 ... 411
3) 牧子의 경제생활[牧子位田·復戶·奉足{保人)] ... 412
4) 濟州馬牛價와 貢賦 문제 ... 415
(1) 濟州馬牛價 ... 415
(2) 貢賦 문제 ... 417
5) 牛馬와 島民 생활 ... 417
6. 貢馬와 수송 문제 ... 420
1) 공마 문제 ... 420
2) 공마 절차 ... 423
3) 수송 문제 ... 425
Ⅱ. 江華島 牧場 ... 428
1. 自然環境과 牧場의 유래 ... 428
1) 자연환경 ... 428
2) 牧場의 유래 ... 428
2. 朝鮮時代 馬牧場의 건설 ... 429
1) 馬牧場 건설 ... 429
2) 徙民·築場(城)論의 대립 ... 433
3. 馬牧場組織 ... 438
4. 馬牧場의 변천 ... 439
5. 牧場의 실태 ... 444
1) 牧場의 실태 ... 444
2) 馬種, 馬匹 수 ... 446
3) 馬木匠과 島民의 생활 ... 452
Ⅲ. 牛政과 牧場 ... 454
1. 소의 수급 문제 ... 454
1) 소의 이용도 ... 454
2) 국내 수요 ... 455
3) 중국(明)의 수출 ... 459
2. 牛政體制의 정비 ... 463
1) 牛牧場(牛場)의 내력 ... 463
2) 牛政組織과 관리 ... 467
3. 牛牧場 실태 ... 468
4. 畜牛 宰殺禁止 ... 470
제7편 馬政과 交通
Ⅰ. 驛의 유래와 기능 ... 479
1. 驛·站·館의 유래 ... 479
2. 驛의 기능 ... 482
1) 공문서의 운송기능 ... 482
2) 進上·貢賦 등 物貨의 운송기능 ... 483
3) 使客의 迎送기능 ... 485
Ⅱ. 驛의 정비와 驛路의 확립 ... 487
1. 驛의 新設과 移屬 및 합병 ... 487
2. 驛道의 재편과 驛路 조직 ... 491
Ⅲ. 驛의 관리와 察訪制의 확립 ... 497
1. 乘興司의 설치 ... 497
2. 驛丞의 置廢와 察訪制의 확립 ... 499
3. 察訪의 제수와 임기 ... 502
4. 驛馬의 확보와 관리 ... 505
1) 驛戶의 立馬役 ... 505
2) 鋪馬法의 제정과 驛馬 관리 ... 512
제8편 馬政과 通信
Ⅰ. 烽燧制 ... 521
1. 烽燧制의 始源과 성립 ... 521
1) 삼국시대의 봉수 ... 521
2) 고려시대의 봉수 ... 521
3) 조선시대의 봉수제 ... 523
2. 봉수제도 ... 525
1) 烽燧網 ... 527
2) 중앙[木覓山 봉수] 조직 ... 527
3) 지방[연변, 內地烽燧] 조직 ... 528
3. 烽燧軍의 신분과 임무 ... 528
1) 신분·임무·대우 ... 528
2) 伍長·五員의 신분 ... 532
3) 처벌 규정 ... 533
4. 봉수제의 전달·속도 ... 534
1) 전달방법 ... 534
2) 봉수의 속도[소요 시간] ... 536
5. 봉수대 시설 ... 538
6. 봉수제의 실태 ... 542
7. 봉수망의 조직과 운영 ... 552
Ⅱ. 擺撥制 ... 565
1. 성립과 조직 ... 565
1) 성립 ... 565
2) 파발 조직과 파발군 신분 ... 570
(1) 파발 조직 ... 570
(2) 파발군의 신분 ... 575
2. 파발의 실태 ... 577
1) 속도 ... 577
2) 遞送 방법 ... 580
3. 立撥 문제 ... 581
4. 이점과 폐단 ... 58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