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일러두기 ... 6
Ⅰ. 序論 ... 13
Ⅱ. 두레의 形成과 展開 ... 19
1. 두레의 起源과 語源 ... 20
1) 두레의 起源과 共同體 問題 ... 20
2) 두레의 語源 ... 25
2. 朝鮮 後期 鄕村社會變化와 두레 ... 32
1) 香徒의 分化와 두레 ... 32
2) 洞契의 性格變化와 村契의 成長 ...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일러두기 ... 6
Ⅰ. 序論 ... 13
Ⅱ. 두레의 形成과 展開 ... 19
1. 두레의 起源과 語源 ... 20
1) 두레의 起源과 共同體 問題 ... 20
2) 두레의 語源 ... 25
2. 朝鮮 後期 鄕村社會變化와 두레 ... 32
1) 香徒의 分化와 두레 ... 32
2) 洞契의 性格變化와 村契의 成長 ... 38
3. 朝鮮 後期 農法의 변화와 두레 ... 47
1) 移秧法의 확산과 두레의 체계화 ... 47
2) 乾畓直播法과 황두 ... 53
4. 19세기 變革運動과 두레 ... 62
1) 19세기 鄕村社會의 動向과 變革運動 ... 62
2) 鄕村社會의 模擬鬪爭과 凡 地域村 連帶 ... 68
3) 農民抗爭過程에서 두레의 쓰임새 ... 71
5. 日帝時期 마을共同體의 分化와 두레의 退場 ... 81
1) 農民層 分解와 두레의 退場 ... 81
2) 두레 소멸의 시기와 소멸양상 ... 90
3) 두레 소멸의 결과 ... 92
Ⅲ. 두레와 共同勞動 ... 99
1. 두레의 分布界線과 공동노동의 지역적 분포 ... 100
1) 논농사와 밭농사지대의 界線 ... 100
2) 두레노동과 稻作文化의 界線 ... 102
2. 두레의 목적과 유형 ... 106
1) 두레의 목적 ... 106
2) 두레의 유형 ... 110
3. 두레의 勞動對象과 勞動慣行 ... 115
1) 세벌김매기와 두레 이용 ... 115
2) 김매기 勞動慣行 ... 131
4. 두레의 공동노동과 놀이의 결합 ... 141
1) 두레풍장의 편성 ... 141
2) 일과 놀이의 순환 ... 144
3) 풍물굿의 확대 발전과 완성 과정 ... 150
4) 두레와 공동식사 ... 154
5. 품앗이類 勞動 ... 161
1) 一般的 품앗이 ... 161
2) 소겨리 ... 171
3) 수눌음 ... 181
4) 길쌈두레 ... 188
6. 雇只類 勞動 ... 193
1) 품과 팔이 ... 193
2) 雇只와 두레 ... 193
3) 雇只의 勞動慣行 ... 198
Ⅳ. 두레의 組織과 會議 ... 205
1. 두레의 組織 ... 206
1) 두레의 組織圈域 ... 206
2) 두레의 組織規模 ... 218
3) 두레의 運營組織 ... 220
2. 두레의 會議 ... 229
1) 두레會議의 性格 ... 229
2) 두레農事 前의 會議 ... 232
3) 두레農事 後의 會議 ... 237
Ⅴ. 두레의 祭儀와 놀이 ... 243
1. 歲時節氣와 두레의 祭儀·놀이 ... 244
1) 移秧法과 歲時의 變化 ... 244
2) 두레의 定着과 마을굿·두레굿의 二重構造 ... 246
3) 머슴날의 農民祝祭化 ... 252
4) 七夕과 百中의 農民祝祭化 ... 259
2. 農旗 儀禮와 놀이 ... 267
1) 農旗의 性格과 形式 ... 267
2) 農旗告祀 ... 271
3) 旗歲拜와 두레싸움 ... 274
4) 令旗 ... 284
3. 두레의 新入禮 ... 283
1) 新入禮의 性格과 形式 ... 283
2) 진서턱과 꽁배술 ... 285
3) 들돌들기 ... 287
4. 七夕과 百中의 두레먹기 ... 290
1) 두레먹기의 性格과 種類 ... 290
2) 만두레와 壯元禮 ... 295
3) 호미걸이와 술멕이, 풋굿, 질먹기 ... 297
4) 우물告祀 ... 303
Ⅵ. 두레와 文學 ... 307
1. 두레의 文學史的 의미 ... 308
1) 移秧法과 勞動謠 ... 308
2) 『衿陽雜錄』에 나타난 朝鮮 前期 勞動謠 ... 313
3) 황두의 잔존과 乾畓直播地帶의 勞動謠 ... 321
4) 두레의 정착과 새로운 文學社會集團의 출현 ... 331
5) 품앗이類 勞動과 勞動謠 ... 356
2. 두레의 文學的 形象化 ... 369
1) 『故鄕』에 나타난 두레 ... 369
2) 「公事마당」과 「풍문」에 나타난 두레 ... 380
Ⅶ. 結論 ... 389
도판목록 ... 395
參考文獻 ... 397
英文抄錄 ... 409
別添資料 ... 415
찾아보기 ... 451
圖表 目次
(表 1) 水利安全畓率 ... 49
(표 2) 年度別 두레소멸 진행상황 ... 91
(表 3) 일과 놀이의 分離 過程 ... 93
(表 4) 水田과 旱田地帶의 二毛作과 付種法 比較 ... 101
(表 5) 道別 풍물굿·호미씻이 分布圖 ... 105
(表 6) 김매기 日程表 ... 131
(表 7) 두레와 품앗이 比較 ... 166
(表 8) 道別 畜牛數 및 戶當 平均數 ... 171
(表 9) 解放 以後 소겨리班 및 努力班 組織 ... 181
(表 10) 濟州道 內 연자매 分布圖 ... 184
(表 11) 地域別 두레먹기 分布圖 ... 291
(表 12) 김매기와 모내기노래의 變遷過程 ... 312
(表 13) 두레 논매기노래의 變化樣相 ... 336
別添資料 目次
(資料1) 두레 現地調査 資料目錄 一覽表 ... 417
(資料2) 두레 現地調査 調査項目 ... 420
(資料3) 두레의 消滅過程 ... 422
(資料4) 김매기 作業對象別 勞動慣行과 두레 ... 425
(資料5) 논의 區分과 名稱 ... 427
(資料6) 두레의 풍장굿과 일반 풍물굿 편성 ... 429
(資料7) 두레의 共同食事 ... 431
(資料8) 두레의 役員 ... 433
(資料9) 두레 役員의 所任 ... 436
(資料10) 두레먹기 ... 444
(資料11) 夏節期 우물告祀 ... 448
더보기 닫기